[ 변수의 개념 및 변수의 기능에 따른 분류와 제3의 변수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변수의 개념 및 변수의 기능에 따른 분류와 제3의 변수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독립변수
(2) 종속변수
(3) 제3의 변수
(i) 매개변수
(ii) 조절변수
(iii) 외생변수
(iv) 통제변수
(4) 연구 예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이하게 사용된다.
제3의 변수의 예를 들어보자. 선행연구의 이론에 따라 매개변수로 애착 유형이라는 변수를 설정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애착 유형은 이 연구에서 매개변수로서 매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매개효과에 대한 가설은 “매일 칭찬을 받았을 때, 부모와 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이는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이보다 학업 성적이 더 우수할 것이다”, 라고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여자아이와 남자아이의 칭찬에 따른 학업 성적이 큰 차이를 보인다면, 이 연구에서 성별은 조절 변수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칭찬을 매일 받는 여자아이는 칭찬을 매일 받는 남자아이보다 학업 성적이 우수하다”라는 하위 가설을 추가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 칭찬 이외에 학업 성적에 영향을 주는 변수, 예를 들면 과외 유무, 학교 출석률, 선행학습의 유무 등이 외생변수에 포함된다. 이런 변수를 일정하게 통제할 수 있다면 이 변수는 더 이상 외생변수가 아닌 통제변수가 된다.
3. 결론
변수는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할 때 설정하는 매우 기초적이면서 중요한 개념이다. 따라서 그 종류와 개념을 정확하게 정의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변수의 역할을 이해하여 연구에 활용해야만 연구 가설을 보다 정교하고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 8판」, Allen Rubin & Earl R. Babbie 지음, 김기덕 외 5명 옮김, Cengage Learning, 2016
「알기 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2판」, 황성동, 학지사, 2020
  • 가격4,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4.12.02
  • 저작시기202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2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