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국내 자원봉사활동의 동향과 과제
II. 분야별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
III. 결 론
II. 분야별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
III. 결 론
본문내용
최. 현재 자원봉사 지도자 교육 및 전국센터 모델 개발중.
◇ 한국자원봉사포럼 : 1995년 설립. 자원봉사 관련 사회적 이슈(특히 청소년 자원봉사)에 대한 포럼과 세미나 개최. 삼성사회봉사단에서 재정 지원.
◇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 1996년 설립. 대학생 자원봉사 지원을 위한 대학 총장들의 모임. 봉사학습 방안 연구 및 세미나 개최. 여름방학 국내·외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지원.
◇ 볼런티어 21 : 1996년 설립. 자원봉사 관리자 양성.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자원봉사 전담자 및 전문가들의 네트웍 형성. 격주 세미나 실시 및 회지 발간.
◇ V-타운 21세기 운동 : 1997년 시작. 지역사회 문제를 자원봉사로 해결하자는 주민 운동. 전국 35개 도시에서 활동중.
8. 중앙일보사 주최 '자원봉사 대축제'
신문사로서는 초유의 자원봉사 사무국을 설치하고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활동으로 국내 자원봉사 붐 조성에 큰 기여를 하였다.
첫 해(1994년) 32만 명에서 금년 118만 여명이 참석. 선진국 자원봉사 인프라 시찰단 구성, 파견으로 두 개의 전문 단체가 설립되는데 공헌하였고, 자원봉사 활성화를 각종 세미나 및 전시회 실시, 청소년 자원봉사 지도 교사 교육과 참고 서적 출판 등으로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III. 결 론
자원봉사는 성격상 민간 영역에 속한다. 비록 지원(재정 포함)을 한다 할지라도 지나친 계도와 간섭은 역효과를 낳는다. 가장 좋은 것은 동등한 파트너로서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미국의 장래와 당면한 사회 문제(청소년, 어린이)를 위한 지난 4월의 정상회담과 그 이전에 있었던 미시건주의 지도자 대회를 잘 연구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자원봉사활동도 시민의 책임으로서 자신의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조직적이며 창의적인 활동이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간 짧은 시일내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인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은 앞으로 성숙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한국사회를 새로운 공동체로 건설하고 국제사회에도 기여하는 질적 성숙을 도모해야 한다.
공동체의 성공 기준은 모든 부문에서 문제 해결에 얼마나 많은 자원이 동원되었는가이다. 이를 위해 정부의 지원을 받지만 독립되고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민간 주도의 자원봉사 전국센터와 지역센터의 설립 및 운영, 전문 지도력의 육성이 필요하며 여러 섹터들과의 원활한 파트너쉽과 네트워킹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부문간의 효과적인 파트너쉽 형성은 우리 시대 우리 사회에서 정치·경제·사회적으로 가장 큰 난제이다. 비록 효과적인 파트너쉽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보여주는 선명한 청사진은 없지만, 우리는 함께 이 사회에 있고 그리고 누구도 혼자서 할 수 없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문제의 심각성은 우리에게 서두룰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 이미 성공적인 사례들도 많다. 사회적 신뢰가 낮은 지금 정부가 취할 최선의 길은 먼저 모범을 그리고 사회 부문에 과감한 투자를 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우리 사회가 신용사회 또는 열린사회가 될 것이다.
◇ 한국자원봉사포럼 : 1995년 설립. 자원봉사 관련 사회적 이슈(특히 청소년 자원봉사)에 대한 포럼과 세미나 개최. 삼성사회봉사단에서 재정 지원.
◇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 1996년 설립. 대학생 자원봉사 지원을 위한 대학 총장들의 모임. 봉사학습 방안 연구 및 세미나 개최. 여름방학 국내·외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지원.
◇ 볼런티어 21 : 1996년 설립. 자원봉사 관리자 양성.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자원봉사 전담자 및 전문가들의 네트웍 형성. 격주 세미나 실시 및 회지 발간.
◇ V-타운 21세기 운동 : 1997년 시작. 지역사회 문제를 자원봉사로 해결하자는 주민 운동. 전국 35개 도시에서 활동중.
8. 중앙일보사 주최 '자원봉사 대축제'
신문사로서는 초유의 자원봉사 사무국을 설치하고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활동으로 국내 자원봉사 붐 조성에 큰 기여를 하였다.
첫 해(1994년) 32만 명에서 금년 118만 여명이 참석. 선진국 자원봉사 인프라 시찰단 구성, 파견으로 두 개의 전문 단체가 설립되는데 공헌하였고, 자원봉사 활성화를 각종 세미나 및 전시회 실시, 청소년 자원봉사 지도 교사 교육과 참고 서적 출판 등으로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III. 결 론
자원봉사는 성격상 민간 영역에 속한다. 비록 지원(재정 포함)을 한다 할지라도 지나친 계도와 간섭은 역효과를 낳는다. 가장 좋은 것은 동등한 파트너로서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미국의 장래와 당면한 사회 문제(청소년, 어린이)를 위한 지난 4월의 정상회담과 그 이전에 있었던 미시건주의 지도자 대회를 잘 연구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자원봉사활동도 시민의 책임으로서 자신의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조직적이며 창의적인 활동이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간 짧은 시일내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인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은 앞으로 성숙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한국사회를 새로운 공동체로 건설하고 국제사회에도 기여하는 질적 성숙을 도모해야 한다.
공동체의 성공 기준은 모든 부문에서 문제 해결에 얼마나 많은 자원이 동원되었는가이다. 이를 위해 정부의 지원을 받지만 독립되고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민간 주도의 자원봉사 전국센터와 지역센터의 설립 및 운영, 전문 지도력의 육성이 필요하며 여러 섹터들과의 원활한 파트너쉽과 네트워킹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부문간의 효과적인 파트너쉽 형성은 우리 시대 우리 사회에서 정치·경제·사회적으로 가장 큰 난제이다. 비록 효과적인 파트너쉽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보여주는 선명한 청사진은 없지만, 우리는 함께 이 사회에 있고 그리고 누구도 혼자서 할 수 없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문제의 심각성은 우리에게 서두룰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 이미 성공적인 사례들도 많다. 사회적 신뢰가 낮은 지금 정부가 취할 최선의 길은 먼저 모범을 그리고 사회 부문에 과감한 투자를 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우리 사회가 신용사회 또는 열린사회가 될 것이다.
추천자료
대학생의 자원봉사의 현황과 문제점 정리
자원봉사 관리자 교육 현황 및 과제
국가 주도의 근대화와 한국의 자원봉사 현황 및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A+평가 레포트]자원봉사센터의 역할, 기능, 현황
[A+평가 레포트]자원봉사의 개념, 특성, 기대효과, 현황, 문제점, 활성화 방안
자원봉사의 개념, 발달배경, 현황과 자원봉사의 주요쟁점과 과제
시민운동과 시민단체(NGO)의 발전과 자원봉사로서의 시민단체 활동현황 및 과제
여성 자원봉사활동의 의의, 필요성, 실태, 현황, 문제점, 활성화 방안
지역 아동, 청소년 센터 방문 분석_ 서울 관악구 꿈나무 공부방의 현황, 자원봉사체계에 대한...
지역 아동, 청소년 센터 방문 분석_ 서울 관악구 꿈나무 공부방의 현황, 자원봉사체계에 대한...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개념, 재가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과기술, 지역사회복...
미국, 영국, 호주, 일본,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의 발전과 현황.ppt
자원봉사론_본인이 관심있는 외국의 자원봉사 활동 사례를 선정하여 1). 선정이유와 배경, 2)...
공통교양=자원봉사론=1 본인이 관심있는 외국의 자원봉사 활동 사례를 선정하여 1) 선정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