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펩 접속기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프리펩 접속기술이란?
프리펩 접속기술의 필요성
프리펩 접속부의 구조
프리펩 접속의 신뢰성 확보
프리펩 접속기술의 적용과 앞으로의 과제

본문내용

도 조립에 있어서 주의를 요한다. 이들을 완전하게 관리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프리패브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
프리펩 접속기술의 적용과 앞으로의 과제
프리패브 접속기술은 각재료성능, 계면거동의 파악등, 각구성요소의 기초적 데이타를 기준으로 고전압화되어, 현재 275kV급까지 적용이 가능해 지고 있다. 이 접속기술의 특성인 현지 시공시간의 단축, 접속기술의 간이성은 특히 초고압 케이블 선로건설에 있어서, 공기단축과 그에 따른 건설코스트 절감등 적용 메리트는 크다. 더우기 장기적 안목에서 장시간 취업의 배제등, 노동조건의 개선, 특수기능자의 감소에 따른 시공능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앞으로 프리패브 접속방식은 초고압 케이블에의 적용이 확대될 것이고, 상위전압인 500kV에 적용도 가능해 질 것이다. 그러나 구조, 규격면에서는 현상의 절연설계 답습으로는 접속부가 상당히 커지기 때문에, 각구성부품의 절연특성 향상에 의한 콤팩트화가 앞으로의 과제가 된다.
한편 작업면에 있어서는, 현재의 275kV급에서 프리패브 접속방식의 특성인 작업간이화를 더욱 추진하는 것, 접속작업자에 의한 시공레벨의 균일화 도모를 목적으로 케이블외부 반도전층 깍는작업 및 프리몰드 절연체의 장착작업등, 일부 작업공정에 기계화공법(사진1)을 받아들이고 있는데, 앞으로도 더욱 기계화 작업의 확대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또 초고압 케이블선로의 중요성으로 인해 현지 접속작업의 건전성을 확인하는 일도 송전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필요하고, 시공결함을 정도좋게 검출하는 준공시험방법의 검토도 앞으로의 과제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1.30
  • 저작시기20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