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II. 대안적 정치 패러다임으로서의 페미니즘
III. 한국적 현실에서의 페미니스트 정치 : 가능성과 딜레마
IIV. 여성의 힘갖추기를 위하여
II. 대안적 정치 패러다임으로서의 페미니즘
III. 한국적 현실에서의 페미니스트 정치 : 가능성과 딜레마
IIV. 여성의 힘갖추기를 위하여
본문내용
와 여성], 미래인력연구센터.
이은영(1996), "일에서의 여성의 법적 지위", [양성 평등과 한국 법체계], 조형 엮음. 이화여대 출판부.
이재경(1996), "가족법상의 가족 개념과 여성학적 대안", [양성 평등과 한국 법체계], 조형 엮음, 이화여대 출판부.
이효재(1990), "한국 가부장제의 확립과 변형", [한국가족론],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까치.
______(1995),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가족",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사회문화연구소.
장경섭(1995), "가족과 정치생활", [가족과 한국사회],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서울:경문사.
장필화(1996), "아시아의 가부장제와 公私 영역 연구의 의미", [여성학 논집], 제13집,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재거,A.M.(1983), [여성해방론과 인간본성], 공미혜, 이한옥 역(1992), 이론과 실천.
정강자(1997), "여성의 경제세력화", [김영삼정부 여성정책 평가 및 여성정책 발전방향 토론회], 한국여성단체연합.
정문길(1998), "삶의 정치", 정문길 외, [삶의 정치], 서울:대화출판사.
조순경(1994), "고용과 평등의 딜레마?", [한국여성학], 제 10집, 한국여성학회.
______(1998), "경제위기와 여성 고용 정치", [한국여성학], 제14권 2호, 한국여성학회
조주현(1996a), "여성주의에서 본 평등문제:대안적 다름의 정치학", [양성 평등과 한국 법체계], 조형 엮음, 서울:이화여대 출판부.
______(1996b),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80-90년대 한국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한국여성학회.
조형(1996), "법적 양성 평등과 성의 정치", [양성 평등과 한국 법체계], 조형 엮음, 이화여대 출판부.
조혜정(1986), "가부장제의 변형과 극복", [한국여성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II], 한국여성학, 제2집.
______(1996a), "남자중심공화국의 결혼이야기 1",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1], 또 하나의 문화.
______(1996b), "남자중심공화국의 결혼이야기 2",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2], 또 하나의 문화
최홍기(1993), "유교와 가족", 한국가족학회 편, [현대가족과 사회], 교육과학사.
홍미영(1994), "0.9%의 서러움", [지방자치 3년: 0.9%의 도전], 서울:여성단체연합.
Barns,I(1996), "Environment, Democracy and Community", in F.Mathews(ed.), Ecology and Democracy,
London:Newbury House
Diamond,I.& Hartsock,N.(1998), "Beyond Interests in Politics", in A.Phillips, Feminism & Politics, Oxford:Oxford
University Pess.
Hirschmann,N.J&C.D.Stefano(1996),"Introduction:Revision,Reconstructiom, and the Challenge of the New, in
N.J.Hirschmann & C.D.Stefano(eds.), Revisioning the Political:Feminist Reconstructions of
Traditional Concepts in Western Political Theory, Westview Press.
Littleton, C.(1987), "Reconstructing Sexual Equality", California Law Review 75(July), in I.M.Young(1990).
Mansbridge,J.(1998), "Feminism and Democracy", in A.Phillips, Feminism & Politics,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Pateman,C.(1992), "Equality, difference, subordination:the politics of motherhood and women's citizenship", in
G.Bock & S.James(eds.), Beyond Equality & Difference, London and New York:Routledge.
Phillips,A.(1998), Feminism & Politics,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Pringle,R. & Watson,S.(1998), "'Women's Interests' and the Poststructuralist State", in A.Phillips, Feminism &
Politics,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Shanley, M.L. & Pateman,C.(eds.)(1991), Feminist Interpretations and Political Theory,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Sunstein, C.R.(ed.)(1990), Feminism & Political Theory,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Young, I.M.(1990), Justice and the Politics of Differnec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____________(1997), Intersecting Voices, Dilemmas of Gender, Political Philosophy, and Policy, Princeton:Princeton
University Press.
Weintraub,J.(1997), "The Theory and Politics of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in J.Weintraub & K.Kumar, Public
and Private in Thoughr and Practice, Chicagp: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이은영(1996), "일에서의 여성의 법적 지위", [양성 평등과 한국 법체계], 조형 엮음. 이화여대 출판부.
이재경(1996), "가족법상의 가족 개념과 여성학적 대안", [양성 평등과 한국 법체계], 조형 엮음, 이화여대 출판부.
이효재(1990), "한국 가부장제의 확립과 변형", [한국가족론],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까치.
______(1995),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가족",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사회문화연구소.
장경섭(1995), "가족과 정치생활", [가족과 한국사회],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서울:경문사.
장필화(1996), "아시아의 가부장제와 公私 영역 연구의 의미", [여성학 논집], 제13집,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재거,A.M.(1983), [여성해방론과 인간본성], 공미혜, 이한옥 역(1992), 이론과 실천.
정강자(1997), "여성의 경제세력화", [김영삼정부 여성정책 평가 및 여성정책 발전방향 토론회], 한국여성단체연합.
정문길(1998), "삶의 정치", 정문길 외, [삶의 정치], 서울:대화출판사.
조순경(1994), "고용과 평등의 딜레마?", [한국여성학], 제 10집, 한국여성학회.
______(1998), "경제위기와 여성 고용 정치", [한국여성학], 제14권 2호, 한국여성학회
조주현(1996a), "여성주의에서 본 평등문제:대안적 다름의 정치학", [양성 평등과 한국 법체계], 조형 엮음, 서울:이화여대 출판부.
______(1996b),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80-90년대 한국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한국여성학회.
조형(1996), "법적 양성 평등과 성의 정치", [양성 평등과 한국 법체계], 조형 엮음, 이화여대 출판부.
조혜정(1986), "가부장제의 변형과 극복", [한국여성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II], 한국여성학, 제2집.
______(1996a), "남자중심공화국의 결혼이야기 1",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1], 또 하나의 문화.
______(1996b), "남자중심공화국의 결혼이야기 2",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2], 또 하나의 문화
최홍기(1993), "유교와 가족", 한국가족학회 편, [현대가족과 사회], 교육과학사.
홍미영(1994), "0.9%의 서러움", [지방자치 3년: 0.9%의 도전], 서울:여성단체연합.
Barns,I(1996), "Environment, Democracy and Community", in F.Mathews(ed.), Ecology and Democracy,
London:Newbury House
Diamond,I.& Hartsock,N.(1998), "Beyond Interests in Politics", in A.Phillips, Feminism & Politics, Oxford:Oxford
University Pess.
Hirschmann,N.J&C.D.Stefano(1996),"Introduction:Revision,Reconstructiom, and the Challenge of the New, in
N.J.Hirschmann & C.D.Stefano(eds.), Revisioning the Political:Feminist Reconstructions of
Traditional Concepts in Western Political Theory, Westview Press.
Littleton, C.(1987), "Reconstructing Sexual Equality", California Law Review 75(July), in I.M.Young(1990).
Mansbridge,J.(1998), "Feminism and Democracy", in A.Phillips, Feminism & Politics,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Pateman,C.(1992), "Equality, difference, subordination:the politics of motherhood and women's citizenship", in
G.Bock & S.James(eds.), Beyond Equality & Difference, London and New York:Routledge.
Phillips,A.(1998), Feminism & Politics,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Pringle,R. & Watson,S.(1998), "'Women's Interests' and the Poststructuralist State", in A.Phillips, Feminism &
Politics,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Shanley, M.L. & Pateman,C.(eds.)(1991), Feminist Interpretations and Political Theory,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Sunstein, C.R.(ed.)(1990), Feminism & Political Theory,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Young, I.M.(1990), Justice and the Politics of Differnec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____________(1997), Intersecting Voices, Dilemmas of Gender, Political Philosophy, and Policy, Princeton:Princeton
University Press.
Weintraub,J.(1997), "The Theory and Politics of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in J.Weintraub & K.Kumar, Public
and Private in Thoughr and Practice, Chicagp: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