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번역 소개에 앞서서 ⅲ
서 론 ⅳ
제1장 총 괄 1
I. 독일 포장폐기물 규제 문제 3
1. 포장폐기물 정령의 요점 3
2. 듀얼시스템(Dual System) 운영 상황 4
3. 플라스틱 포장폐기물의 Feed Stock Recucle 동향 5
4. 순환경제 폐기물법 제정과 금후의 동향 5
II. 프랑스 포장폐기물 규제 문제 6
1. 포장폐기물 정령의 요점 6
2. Eco-Emballages 방식의 운영 상황 6
3. Eco-Emballages 방식의 금후에 주목할 점 7
Ⅲ. 오스트리아 포장폐기물 규제 문제 7
1. 포장폐기물 정령의 요점 7
2. ARA System의 운영 상황 8
3. 독일 DSD와 오스트리아 ARA 비교 8
4. 포장정령 및 포장목표정령의 개정과 금후 과제 9
Ⅳ. EU 포장 및 포장폐기물 지령(指令)의 발효와 금후의 동향 9
제2장 방문조사 개별보고서 11
I. BASF (독일) 13
II. SPMP / Valorplast (프랑스) 17
III . DSD (독일) 26
IV. ARA / KK (오스트리아) 33
V. 호텔, 슈퍼마케트, 거리에서 40
참고 문헌 자료 편 53
참고 문헌 및 자료 일람 55
서 론 ⅳ
제1장 총 괄 1
I. 독일 포장폐기물 규제 문제 3
1. 포장폐기물 정령의 요점 3
2. 듀얼시스템(Dual System) 운영 상황 4
3. 플라스틱 포장폐기물의 Feed Stock Recucle 동향 5
4. 순환경제 폐기물법 제정과 금후의 동향 5
II. 프랑스 포장폐기물 규제 문제 6
1. 포장폐기물 정령의 요점 6
2. Eco-Emballages 방식의 운영 상황 6
3. Eco-Emballages 방식의 금후에 주목할 점 7
Ⅲ. 오스트리아 포장폐기물 규제 문제 7
1. 포장폐기물 정령의 요점 7
2. ARA System의 운영 상황 8
3. 독일 DSD와 오스트리아 ARA 비교 8
4. 포장정령 및 포장목표정령의 개정과 금후 과제 9
Ⅳ. EU 포장 및 포장폐기물 지령(指令)의 발효와 금후의 동향 9
제2장 방문조사 개별보고서 11
I. BASF (독일) 13
II. SPMP / Valorplast (프랑스) 17
III . DSD (독일) 26
IV. ARA / KK (오스트리아) 33
V. 호텔, 슈퍼마케트, 거리에서 40
참고 문헌 자료 편 53
참고 문헌 및 자료 일람 55
본문내용
필요도 없다.
- 이 상 -
<사진> 파리 한 호텔의 미니바 (PVC병, 유리병도 보이나 알루미늄 캔도 많다.)
<사진> 섬유제인 쇼핑백 (「REDUCE REUSE RECYCLE」라고 쓴 플레이즈가 보인다)
<사진>밀크 컵과 포도주 캡 (GP 마크가 보인다)
<사진> DSD의 쓰레기 통 (좌측 3개가 유리용, 우측 끝이 폐지용, 우축에서 2번째가 플라스틱.금속.복합재료 용)
<사진> 폴리프로필렌(PP) 서류 봉투 ( 「PVC」 「PP」 재질표시가 보인다)
<사진> 접착용 소형 견출지 플리스타 용기 (「PVC-frei, PVC-free」 표시가 보인다)
<사진> 유아용 과자의 낱포장 (앞에 「Trolli BURGER GUMMIBONBONN」, 뒤에 「PP」와 GP 마크 표시가 있다)
<사진> 「allkauf」의 비닐 주머니 (우측 상단에 GP마크와 「Wertstoff Recycling 100%」 표시가 있다.
<사진> 「allkauf」 별도 건물의 음료 매장 (「Leergutannahme」 표시가 보인다.)
<사진> 일본에서 수입한 「감 씨앗」 포장 (품명과 GP마크를 표시한 라벨이 붙어 있다)
<사진> ARA의 쓰레기 통 (좌측에서 2번째, 3번째가 「플라스틱.복합재료용」)
<사진> ARA의 「플라스틱.복합재료」용 쓰레기통 (해당한 품목이 정면에 그려져 있다.)
<사진> ARA용과는 별도의 철제 쓰레기통
<사진> ARA용과는 별도의 플라스틱제 쓰레기통
<사진> ARA용과는 별도의 쓰레기통에 표시된 쓰레기 흐름도
<사진> 비인 시내에서 발견한 쓰레기 수집차 (차색은 오렌지색이고 측면에 「쓰레기 전화」의 번호가 크게 써 있다)
<사진> 비인 공항에서 얻은 비닐주머니 (「환경에 친밀한 비닐주머니.이 비닐주머니로 수목을 보호하고.몇번이고 사용할 수 있다」라고 씌어져 있다)
<사진> 암스텔담 공항에서 얻은 비닐 주머니 (「이 쇼핑주머니는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합성수지는 소각이나 다른 파괴 방법으로도 유해한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습니다」라고 씌어져 있다)
참고 문헌.자료편
참고 문헌 및 자료 일람표
이번 유럽 포장폐기물 규제문제 조사의 계획, 실시, 보고서 작성에 있어서 방문조사 시에 입수한 자료 외에 방문 전후에 입수한 많은 참고 문헌 및 자료들을 참조한 바 이를 아래에 소개한다. 이 중에는 개인적으로도 자료를 제공받았는 바, 이 자리를 빌어 관계자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① 대망의 EU포장.폐기물지령의 발효로 신국면을 맞은 유럽의 환경포장문제. 저널리스트 다까노.가츠히꼬(鷹野克彦), P 54∼, 포장기술 1995년 4월호
② 플라스틱 포장 재활용 현상 독일 DSD/DKR 시스템 중심으로 보다. 저널리스트 다까노.가츠히꼬(鷹野克彦), P 35∼, PLASPIA '95 No. 90
③ Packaging Recycling Worldwide, DER GR NE PUNKT-FACTS AND FIGURES (1995.3.DSD)
④ THE AUSTRIAN REGULATIONS ON PACKAGING WASTE, Evi Wolfslehner, Head of Waste Management Unit, Austrian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Packaging Law in Europe
⑤ The 2nd Anual Conference, 29th & 30th March 1995 Sheraton Hotel, Brussels PRIME TIME FOR POSTCONSUMER RECYCLING-In the U.S.,MSW recycling rate have nore than doubled in the past decade, and may be reaching their limit, Nicholas Basta with Ken Fouhy and Stephen Moore, P31-, CHEMICAL ENGINEERING/FEB.1995
⑥ Wastershed year for German recycling, Mark Hamond, P39-, European Chemical News 20-25 March 1995
⑦ Incineration group aids EC on co-firing study, p.23-, European Chemical News 13-19 March 1995
⑧ 강연록 「프랑스 가정포장폐기물 재활용 계획」 2002년까지 75% 에너지 이용을 포함한 재활용, E.E.사 사장 에릭.기용씨, P45∼, 월간폐기물 1995-1
⑨ 단독 인터뷰 「"순환경제.폐기물법"이 목표로 하는 것」, 독일 연방환경.자연보전.원자로안전성 상급행정관(고문) 헤닝.폰.켈라 박사에게 듣다, P36∼ 월간폐기물 1995-1
⑩ 독일 「폐기물재활용촉진법」의 개요, P18∼, JETRO 유로트렌드 94.12
⑪ EUROPEAN PALIAMENT AND COUNCIL DIRECTIVE 94/62/EC of 20 Dcember 1994 on packaging and packaging waste
⑫ 유럽에서의 포장폐기물처리 시스템 개요 - APME 자료 (1994년 9월)
⑬ 회수 대상인 가정용 플라스틱 포장재 (ECO-EMBALLAGES S.A.)
⑭ "A MIDDLE WAY BETWEEN THE FRENCH AND THE GERMAN SYSTEMS - THE AIMS OF THE AUSTRIAN PACKAGING ORDINANCE", Dr. H. Prazak, PCD POLYMERE, RECYCLE '94 DAVOS GLOBAL FORUM AND EXPOSITION, March 14-18, 1994
⑮ Die Umsetzung der osterreichischen Verpackungsverordnung durch die Altstoff Recycling Austria AG (ARA) im Vergleich zum DSD, Dr. Stephan Schwarzer, Bundeswirtschaftskammer, Wien, EUROFORUM-Konferenz "Das Dual System vor dem Ende?!" am 19. und 20. Januar 1994
- 끝 -
- 이 상 -
<사진> 파리 한 호텔의 미니바 (PVC병, 유리병도 보이나 알루미늄 캔도 많다.)
<사진> 섬유제인 쇼핑백 (「REDUCE REUSE RECYCLE」라고 쓴 플레이즈가 보인다)
<사진>밀크 컵과 포도주 캡 (GP 마크가 보인다)
<사진> DSD의 쓰레기 통 (좌측 3개가 유리용, 우측 끝이 폐지용, 우축에서 2번째가 플라스틱.금속.복합재료 용)
<사진> 폴리프로필렌(PP) 서류 봉투 ( 「PVC」 「PP」 재질표시가 보인다)
<사진> 접착용 소형 견출지 플리스타 용기 (「PVC-frei, PVC-free」 표시가 보인다)
<사진> 유아용 과자의 낱포장 (앞에 「Trolli BURGER GUMMIBONBONN」, 뒤에 「PP」와 GP 마크 표시가 있다)
<사진> 「allkauf」의 비닐 주머니 (우측 상단에 GP마크와 「Wertstoff Recycling 100%」 표시가 있다.
<사진> 「allkauf」 별도 건물의 음료 매장 (「Leergutannahme」 표시가 보인다.)
<사진> 일본에서 수입한 「감 씨앗」 포장 (품명과 GP마크를 표시한 라벨이 붙어 있다)
<사진> ARA의 쓰레기 통 (좌측에서 2번째, 3번째가 「플라스틱.복합재료용」)
<사진> ARA의 「플라스틱.복합재료」용 쓰레기통 (해당한 품목이 정면에 그려져 있다.)
<사진> ARA용과는 별도의 철제 쓰레기통
<사진> ARA용과는 별도의 플라스틱제 쓰레기통
<사진> ARA용과는 별도의 쓰레기통에 표시된 쓰레기 흐름도
<사진> 비인 시내에서 발견한 쓰레기 수집차 (차색은 오렌지색이고 측면에 「쓰레기 전화」의 번호가 크게 써 있다)
<사진> 비인 공항에서 얻은 비닐주머니 (「환경에 친밀한 비닐주머니.이 비닐주머니로 수목을 보호하고.몇번이고 사용할 수 있다」라고 씌어져 있다)
<사진> 암스텔담 공항에서 얻은 비닐 주머니 (「이 쇼핑주머니는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합성수지는 소각이나 다른 파괴 방법으로도 유해한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습니다」라고 씌어져 있다)
참고 문헌.자료편
참고 문헌 및 자료 일람표
이번 유럽 포장폐기물 규제문제 조사의 계획, 실시, 보고서 작성에 있어서 방문조사 시에 입수한 자료 외에 방문 전후에 입수한 많은 참고 문헌 및 자료들을 참조한 바 이를 아래에 소개한다. 이 중에는 개인적으로도 자료를 제공받았는 바, 이 자리를 빌어 관계자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① 대망의 EU포장.폐기물지령의 발효로 신국면을 맞은 유럽의 환경포장문제. 저널리스트 다까노.가츠히꼬(鷹野克彦), P 54∼, 포장기술 1995년 4월호
② 플라스틱 포장 재활용 현상 독일 DSD/DKR 시스템 중심으로 보다. 저널리스트 다까노.가츠히꼬(鷹野克彦), P 35∼, PLASPIA '95 No. 90
③ Packaging Recycling Worldwide, DER GR NE PUNKT-FACTS AND FIGURES (1995.3.DSD)
④ THE AUSTRIAN REGULATIONS ON PACKAGING WASTE, Evi Wolfslehner, Head of Waste Management Unit, Austrian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Packaging Law in Europe
⑤ The 2nd Anual Conference, 29th & 30th March 1995 Sheraton Hotel, Brussels PRIME TIME FOR POSTCONSUMER RECYCLING-In the U.S.,MSW recycling rate have nore than doubled in the past decade, and may be reaching their limit, Nicholas Basta with Ken Fouhy and Stephen Moore, P31-, CHEMICAL ENGINEERING/FEB.1995
⑥ Wastershed year for German recycling, Mark Hamond, P39-, European Chemical News 20-25 March 1995
⑦ Incineration group aids EC on co-firing study, p.23-, European Chemical News 13-19 March 1995
⑧ 강연록 「프랑스 가정포장폐기물 재활용 계획」 2002년까지 75% 에너지 이용을 포함한 재활용, E.E.사 사장 에릭.기용씨, P45∼, 월간폐기물 1995-1
⑨ 단독 인터뷰 「"순환경제.폐기물법"이 목표로 하는 것」, 독일 연방환경.자연보전.원자로안전성 상급행정관(고문) 헤닝.폰.켈라 박사에게 듣다, P36∼ 월간폐기물 1995-1
⑩ 독일 「폐기물재활용촉진법」의 개요, P18∼, JETRO 유로트렌드 94.12
⑪ EUROPEAN PALIAMENT AND COUNCIL DIRECTIVE 94/62/EC of 20 Dcember 1994 on packaging and packaging waste
⑫ 유럽에서의 포장폐기물처리 시스템 개요 - APME 자료 (1994년 9월)
⑬ 회수 대상인 가정용 플라스틱 포장재 (ECO-EMBALLAGES S.A.)
⑭ "A MIDDLE WAY BETWEEN THE FRENCH AND THE GERMAN SYSTEMS - THE AIMS OF THE AUSTRIAN PACKAGING ORDINANCE", Dr. H. Prazak, PCD POLYMERE, RECYCLE '94 DAVOS GLOBAL FORUM AND EXPOSITION, March 14-18, 1994
⑮ Die Umsetzung der osterreichischen Verpackungsverordnung durch die Altstoff Recycling Austria AG (ARA) im Vergleich zum DSD, Dr. Stephan Schwarzer, Bundeswirtschaftskammer, Wien, EUROFORUM-Konferenz "Das Dual System vor dem Ende?!" am 19. und 20. Januar 1994
- 끝 -
키워드
추천자료
제지 슬러지의 재활용
폐콘크리트재활용
자원재활용
일회용품에 대한 환경성 연구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자발적 협약
토양오염
유해 물질 사용 제한 지침(RoHS 지침)에 대한 조사
[유럽연합][EU]유럽연합(EU)의 기구와 무역 및 한국의 대응(유럽연합(EU) 기구, 유럽연합(EU)...
국제환경문제와 그 해결을 위한 무역정책 및 환경과 연계된 무역 분쟁 주요사례와 대응방안에...
(환경경영) ISO-14000 인증의 실례 분석
우리나라 환경정책 문제점과 개선방안
PE필름의 분해기간 및 토양오염과의 관계
[재활용][재활용 종류][재활용 의의][재활용 효과][재활용 현황][법률]재활용의 종류, 재활용...
우리나라의 자원 순환 정책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