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화감독형
● 맹모학습형
● 울며겨자먹기형
● 계절형
● 얼굴비치기형
● 대리형
● 주객전도형
● 고래사냥형
● 대중매체 신봉형
● 맹모학습형
● 울며겨자먹기형
● 계절형
● 얼굴비치기형
● 대리형
● 주객전도형
● 고래사냥형
● 대중매체 신봉형
본문내용
움을 줄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인 경우다.
● 따지기형
후원금이 밀리면 방문하여 후원금이 밀린다고 따지며 당장 해결하라는 경우이다.
● 무심형
후원금을 주거나 말거나 신경을 쓰지않고 주면 받고 안주면 안받는 경우다. 이경우는 워커가 전화연락을 하여야만 온다.
● 폭행형
후원금이 들어가지 않거나 물품제공시 본인 빠졌을 경우 워커에게 욕설이나 폭행을 하는 경우다.
● 딱잡아 떼는형
후원금이 잘들어가도 담당자가 아닌 다른 워커나 봉사자가 연락할 경우 지원금이 없다고 딱! 잡아 떼며 모른체하는경우이다.
● 사오정형
워커가 전달사항을 얘기하면 알아듣지 못하고 엉뚱한 소리를 하며 잠시후 또 전화걸어 확인하면 엉뚱한 소리를 하는 경우다.
● 물빠진 독에 물붓기형
후원금이 지급되면 인출하여 교회헌금을 낸다거나 술,사치로 탕진하는 경우다.
● 요구형
후원금이나 물품을 주어도 항상 부족하다고 요구하는 경우다.
● 처녀형
도움을 받고 싶은데 부끄러워 얘기를 못하고 방문요청을 하여도 부끄러워 몇번의 요청을 하여야만 방문하는 경우다.
● 고분고분형
워커의 전화 한마디면 다음날로 해결되는 경우다.
● 오! 하느님형
후원자가 도움을 주는데도 본인이 하느님께 기도를 열심히 하여 이 모든 것이 하느님의 은총이라고 생각하며 후원금 인출시 기도를 하는 경우이다.
● 포교/전도형
워커를 방문하여 워커에게 종교를 묻고 포교활동이나 전도를 하는 경우이며 들어오거나 귀가시에는 꼭! 기도를 하는 경우다.
● Give and Take형
대상자가 도움을 받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거나 대상자 아동이 졸업을 하여 취업을 하였을 경우 후원자나 봉사활동을 하는 경우다.
● 양심형
대상자가 사망하였을 경우 대상자가 없기 때문에 보호자나 친인척들이 양심적으로 후원금을 다른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달하라고 하는 경우다.
● 챙기기형
대상자가 사망하였을 경우나 대상자가 자퇴,퇴학,졸업을 하여 대상자가 직접 후원금을 관리를 하지 못하는 상황하에서도 보호자나 친인척들이 한푼도 남기지 않고 꼭! 인출하여 가는 경우다.
● 막무가내형
시설이나 기관에 방문하여 " 나 예전에 이러 이러한 사람인데 " 하면서 자신의 잘나갔던 과거사를 얘기하며 막무가내로 물품이나 후원금을 내놓으라고 하면서 직원들의 업무를 방해하는 경우
● 관장 나오라형
대상자가 담당직원의 의사소통이 안되고 약간의 불만이 있으며 무조건 " 관장나오라고 해" 하면서 상위직원과 해결하려는 경우다.
● 따지기형
후원금이 밀리면 방문하여 후원금이 밀린다고 따지며 당장 해결하라는 경우이다.
● 무심형
후원금을 주거나 말거나 신경을 쓰지않고 주면 받고 안주면 안받는 경우다. 이경우는 워커가 전화연락을 하여야만 온다.
● 폭행형
후원금이 들어가지 않거나 물품제공시 본인 빠졌을 경우 워커에게 욕설이나 폭행을 하는 경우다.
● 딱잡아 떼는형
후원금이 잘들어가도 담당자가 아닌 다른 워커나 봉사자가 연락할 경우 지원금이 없다고 딱! 잡아 떼며 모른체하는경우이다.
● 사오정형
워커가 전달사항을 얘기하면 알아듣지 못하고 엉뚱한 소리를 하며 잠시후 또 전화걸어 확인하면 엉뚱한 소리를 하는 경우다.
● 물빠진 독에 물붓기형
후원금이 지급되면 인출하여 교회헌금을 낸다거나 술,사치로 탕진하는 경우다.
● 요구형
후원금이나 물품을 주어도 항상 부족하다고 요구하는 경우다.
● 처녀형
도움을 받고 싶은데 부끄러워 얘기를 못하고 방문요청을 하여도 부끄러워 몇번의 요청을 하여야만 방문하는 경우다.
● 고분고분형
워커의 전화 한마디면 다음날로 해결되는 경우다.
● 오! 하느님형
후원자가 도움을 주는데도 본인이 하느님께 기도를 열심히 하여 이 모든 것이 하느님의 은총이라고 생각하며 후원금 인출시 기도를 하는 경우이다.
● 포교/전도형
워커를 방문하여 워커에게 종교를 묻고 포교활동이나 전도를 하는 경우이며 들어오거나 귀가시에는 꼭! 기도를 하는 경우다.
● Give and Take형
대상자가 도움을 받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거나 대상자 아동이 졸업을 하여 취업을 하였을 경우 후원자나 봉사활동을 하는 경우다.
● 양심형
대상자가 사망하였을 경우 대상자가 없기 때문에 보호자나 친인척들이 양심적으로 후원금을 다른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달하라고 하는 경우다.
● 챙기기형
대상자가 사망하였을 경우나 대상자가 자퇴,퇴학,졸업을 하여 대상자가 직접 후원금을 관리를 하지 못하는 상황하에서도 보호자나 친인척들이 한푼도 남기지 않고 꼭! 인출하여 가는 경우다.
● 막무가내형
시설이나 기관에 방문하여 " 나 예전에 이러 이러한 사람인데 " 하면서 자신의 잘나갔던 과거사를 얘기하며 막무가내로 물품이나 후원금을 내놓으라고 하면서 직원들의 업무를 방해하는 경우
● 관장 나오라형
대상자가 담당직원의 의사소통이 안되고 약간의 불만이 있으며 무조건 " 관장나오라고 해" 하면서 상위직원과 해결하려는 경우다.
추천자료
봉사활동의 경험사례와 자원봉사자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에 대한 고찰 및 복지
종합사회복지관 자원봉사자 서비스
기관에서 자원봉사자 관리
프로그램개발- 인자원봉사자 육성 프로그램
유치원에 배치된 보조인력-종일반시간강사,3세대하모니자원봉사자
공적조서 작성-자원봉사자,상담사
다문화가정을 위한 자원봉사자교육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재해피해복구와 자원봉사자의 활용방안
지역사회복지와 자원봉사자 요약정리
[자원봉사자관리론] 사랑샘 (미혼의 임산부 시설, 미혼모)
사회복지현장실습_실습기관에서의 실습생과 자원봉사자를 구분하여 각각의 역할을 비교하여 ...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