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상품매매기업 회계의 특징
2) 계속기록법
3) 실지재고조사법
3. 결론
출처
2. 본론
1) 상품매매기업 회계의 특징
2) 계속기록법
3) 실지재고조사법
3. 결론
출처
본문내용
기말 재고자산을 먼저 측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매출원가를 측정해야 한다.
계속기록법을 사용할 경우 번거로움을 피하고자 매입 시에는 상품계정이 아닌 매입 계정으로 회계 처리를 하고 매출 시에는 매출만 인식하고 매출원가로 대체하는 회계 처리를 하지 않는다. 또한 계속기록법을 사용하면 매출원가 계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말에 이 계정 차변 합계를 구해 당기 매출원가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실사법을 사용할 때는 결산일에 상품은 기초계정 그대로 표시되고, 매출원가는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실사\'를 통해 기말재고가 얼마 남았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출처 : NEW 회계원리, 김권중, 창민사, 2020.10
IFRS 밀레니엄 회계원리, 김현식, 탐진, 2020.01
[참고 표]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의 비교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1. 기말재고량을 장부에서 파악하는 방법.
2. 상품매입을 자산증가로 보고, 자산계정인 상품계정에 기록.
3. 상품매출 시 매출액 분개 외에 매출원가를 추가로 분개.
4. 기말의 상품계정 차변 잔액은 상품의 기말재고액.
5. 매출원가계정을 통해 당기 매출원가를 즉시 계산.
6. 취급 상품별로 상품재고장을 기록.
1. 기말재고량을 장부가 아닌 창고에서 직접 눈으로 파악하는 방법.
2. 상품매입을 비용 발생으로 보고 비용계정인 매입 계정에 기록.
3. 상품매출 시 매출 분개만 하고, 매출원가 분개는 하지 않음.
4. 상품계정은 기초재고액만을 나타냄.
5. 장부에서는 상품의 기말재고액과 매출원가를 알 수 없음.
6. 기말 결산시점에서 수정분개를 통하여 매출원가를 계산함.
계속기록법을 사용할 경우 번거로움을 피하고자 매입 시에는 상품계정이 아닌 매입 계정으로 회계 처리를 하고 매출 시에는 매출만 인식하고 매출원가로 대체하는 회계 처리를 하지 않는다. 또한 계속기록법을 사용하면 매출원가 계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말에 이 계정 차변 합계를 구해 당기 매출원가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실사법을 사용할 때는 결산일에 상품은 기초계정 그대로 표시되고, 매출원가는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실사\'를 통해 기말재고가 얼마 남았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출처 : NEW 회계원리, 김권중, 창민사, 2020.10
IFRS 밀레니엄 회계원리, 김현식, 탐진, 2020.01
[참고 표]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의 비교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1. 기말재고량을 장부에서 파악하는 방법.
2. 상품매입을 자산증가로 보고, 자산계정인 상품계정에 기록.
3. 상품매출 시 매출액 분개 외에 매출원가를 추가로 분개.
4. 기말의 상품계정 차변 잔액은 상품의 기말재고액.
5. 매출원가계정을 통해 당기 매출원가를 즉시 계산.
6. 취급 상품별로 상품재고장을 기록.
1. 기말재고량을 장부가 아닌 창고에서 직접 눈으로 파악하는 방법.
2. 상품매입을 비용 발생으로 보고 비용계정인 매입 계정에 기록.
3. 상품매출 시 매출 분개만 하고, 매출원가 분개는 하지 않음.
4. 상품계정은 기초재고액만을 나타냄.
5. 장부에서는 상품의 기말재고액과 매출원가를 알 수 없음.
6. 기말 결산시점에서 수정분개를 통하여 매출원가를 계산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