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득처분의 종류 및 개념에 대해 서술하고 유보를 사후관리하여야 하는 이유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소득처분의 종류 및 개념에 대해 서술하고 유보를 사후관리하여야 하는 이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소득처분의 규정
2. 소득처분의 대상(종류)
3. 유보의 정의
4. 유보 사후관리의 필요성
III. 결론
IV .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w.html?idxno=11724
유보 혹은 △유보로 처분된 금액은 세무회계상의 자기자본을 계산하는 서식인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 적립금 조정명에서(을)」에서 관리하는데 증감란에 기재한 후에 기초 유보와 가감해서 기말 유보를 계산한다.
III. 결론
법인세법상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에서 세무조정이 발생할 시 세무조정 사항의 귀속을 확정시키는 절차를 소득처분이라 한다. 세무조정 사항에 관한 소득처분의 유형으로는 기타 사외유출, 배당, 상여, 유보 등이 있다. 소득처분에서 소득처분은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해서 법인세 납세의무가 있는 모든 법인에 적용되기에 비영리법인과 외국 법인도 소득처분이 필요이다. 특히 유보나 △유보의 발생 시, 유보로 이월된 금액이 당 사업연도 소득금액에 영향을 주어 당초 세무조정의 반대되는 결과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유보로 이월된 금액이 세법상 손금산입 한도액에 반영되기에 세무상의 자산과 부채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한도액에도 영향을 미쳐 소득금액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유보의 사후관리는 세무조정으로 인한 소득처분에서 필수적인 절차이다.
IV . 출처 및 참고문헌
소득처분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서윤식,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소득처분제도의 문제점과 합리적 개선방안, 윤석남 and 서희열, 조세연구, 13(3), 2013
법인세법 소득처분, http://www.law.go.kr/main.html/, 법제처 법령정보센터
유보 사후관리, https://www.in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24 일간NTN국세신문

키워드

  • 가격4,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4.12.03
  • 저작시기202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9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