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전우치의 설화
2.전우치전의 형성
(1)도술 습득 경위
(2)윤군평과 도술내기
(3)서화담과 도술내기
(4)전우치의 시와 문장
(5)전우치에 대한 평
3.전우치전의 이본
4.전우치전의 성격과 주제
5.결론
2.전우치전의 형성
(1)도술 습득 경위
(2)윤군평과 도술내기
(3)서화담과 도술내기
(4)전우치의 시와 문장
(5)전우치에 대한 평
3.전우치전의 이본
4.전우치전의 성격과 주제
5.결론
본문내용
격 및 주제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전우치전》의 소재가 된 전우치라는 인물의 설화를 중심으로 그가 어떠한 모습으로 실존하였던가를 더듬어 보았다. 최초로 나타난 서설형식은 17세기 초반에 출현된 이덕형의 한문본《전우치전》이다. 그 발상이 매우 허구적이고 당대의 설화를 소설로 허구화시켰다.
일사본 《뎐운치전》은 한문본 《전우치전》의 영향을 받아 한글본 소설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전우치전》의 이본은 일사본계와 나손본계로 양분할 수 있다. 일사본은 한글본 중 가장 先本으로, 경판본 《뎐운치전》 은 일사본 내용 일부를 빼버리고 뒷부분을 생략해 버렸다. 《전우치전》의 여러 이본 중 정통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일사본 《뎐운치전》이라고 생각한다. 이 작품은 민중들의 소박한 흥미 본위의 쾌락성이 그 바탕을 형성하여 자연스러운 민담적인 요소들을 엿 볼 수 있다.
小技를 가지고 날뛰다가 그는 도인의 술에 걸려 혼이 난다. 자기의 술법이 迷妄인 것을 깨달은 전우치는 서화담의 권유를 받아들여 입상수도의 길을 택한다. 선도에의 귀의, 곧 무상한 세속의 명리를 초월하여 신서으로서의 영원한 삶을 지향한다고 하는 것이 이 작품의 참다운 주제라고 해야 할 것이다.
먼저 《전우치전》의 소재가 된 전우치라는 인물의 설화를 중심으로 그가 어떠한 모습으로 실존하였던가를 더듬어 보았다. 최초로 나타난 서설형식은 17세기 초반에 출현된 이덕형의 한문본《전우치전》이다. 그 발상이 매우 허구적이고 당대의 설화를 소설로 허구화시켰다.
일사본 《뎐운치전》은 한문본 《전우치전》의 영향을 받아 한글본 소설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전우치전》의 이본은 일사본계와 나손본계로 양분할 수 있다. 일사본은 한글본 중 가장 先本으로, 경판본 《뎐운치전》 은 일사본 내용 일부를 빼버리고 뒷부분을 생략해 버렸다. 《전우치전》의 여러 이본 중 정통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일사본 《뎐운치전》이라고 생각한다. 이 작품은 민중들의 소박한 흥미 본위의 쾌락성이 그 바탕을 형성하여 자연스러운 민담적인 요소들을 엿 볼 수 있다.
小技를 가지고 날뛰다가 그는 도인의 술에 걸려 혼이 난다. 자기의 술법이 迷妄인 것을 깨달은 전우치는 서화담의 권유를 받아들여 입상수도의 길을 택한다. 선도에의 귀의, 곧 무상한 세속의 명리를 초월하여 신서으로서의 영원한 삶을 지향한다고 하는 것이 이 작품의 참다운 주제라고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