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목차
1. 서론
2. 분석틀
3. 공·사 개념의 재정의
4. 평등 개념
5. 결론
2. 분석틀
3. 공·사 개념의 재정의
4. 평등 개념
5. 결론
본문내용
.부정 부패의 정부는 풀뿌리민주주의의 요구를 파악하고 수용하는 공공선의 중심 주체로 되고 있지 못하다. 정부는 비정부 조직의 요구를 수용함으로써 정당성을 확보하고, 비정부 조직은 정부의 활동에 동참함으로써 민주화에 기여하는, 새로운 민주주의의 형태를 발전시켜야할 것이다.
그에는 무엇보다 비정부 조직의 연합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상황에서 비정부 조직은 각 비정부 조직의 사안의 실천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우선 비정부 조직의 의미와 역할을 정부와 사회에 알리는 것이 선결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를 위해서 비정부 조직은 '보편화될 수 있는 이익'을 대변하는 행위의 주체자들로서 연대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문규, "민주적 사회 창출을 위한 정부와 시민 조직와의 바람직한 관계 모색", (한국시민단체 협의회 발표문)(1996)
김용학, 『사회 구조와 행위』, (나남, 1992)
김혁래, 문태훈, 정영국, "한국의 이익 갈등의 양태와 조정 제도", 『이익 집단 정치와 이익 갈등』, 김영래 엮음 (1997)
알렝 뚜렌, "노동 운동의 제도화와 새로운 사회 운동의 전개",『새로운 사회 운동과 참여 민주주의』 정수복 편역, (문학과지성, 1993)
박재창, "21세기 한국시민운동의 전개 방향과 과제", (한국시민단체협의회 발표문)(1996)
제프리 알렉산더, (1987) 『현대 사회 이론의 흐름』, 이윤희 옮김, (민영, 1993)
엘마 알트파터, (1994) "합리적 세계지배 질서?", 문순홍 옮김, (나라사랑, 1995)
클라우스 오페, (1985) "새로운 사회운동 : 제도 정치의 경계에 대한 도전", 『후기 자본주의와 사회 운동의 전망』, 이병천, 박형준, 편저, (의암, 1993)
(1985) "통치 불가능성의 명제와 보수주의적 위기 이론의 르네상스", 『국가 이론과 위기 분석』, 한상진 편, (전예원, 1988)
유팔무, "한국의 시민 사회론과 시민 사회 분석을 위한 개념틀의 모색",『한국 정치.사회의 새흐름』 (나남)
볼프강 작스, (1993) "지구 생태계와 발전의 그림자",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생태 전략』, 도날드 워스터 외 지음, 문순홍 옮김, (나라사랑, 1995)
정수복, 『참여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단체의 역할과 정책 과제』, (박영률출판, 1996)
Bowden, Peter, "NGOs in Asia: issues in development", Pubil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1990).
Brett, Rachel, "The Role and Limits of Human Rights NGOs at the United Nations", Political Studies, (1987).
Brodhead, Tim, "Ngos: In One Year, Out the Other?", World Development, (1987).
Charlton, Roger, & May, Roy, NGOs, politics, projects and probity: a policy implementation perspective,
Domini, Antonio, "The Bureaucracy and the free spirits: stagnation and inno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 and NGOs", World Quaterly, (1995). Fox, Leslie M., "Sustaining Civil Society: Identifying Funding Strategies & Mechanism", CIVICUS, (1996)
Fox, Thomas, H., "NGOs from the United States", World Development, (1987).
Garliao, Ernesto, D., "Indegenous NGOs as Strategic Institutions: Managing the Relatopnship with Government and Resource Agencies, World Development, (1987).
Ghils, Paul, "International civil society: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1992).
Gordenker, Leon, & Weiss, Thomas, G., "Pluralisierung Global Governance: Analytical Approach and Dimension", Third World Quaterly (1995).
Nogueria, Roberto, Martinez, "Life Cycle and Learning in Grassroots Development Organisations", World Development (1987).
Sollis, Peter, "Partners in Development? The State, NGOs, and the UN in the Central America, NGOs The UN, & Global Governance, Weiss, Th. G., Gordenker, L.(ed.), (1996).
Uvin, Peter, "Scaling Up the Grassroots and Scaling Down the Summit: The Relations Between Third World and the UN", World Quarterly, (1995).
Wiggins, Steven, & Cromwell, Elisabeth, "NGOs and Seed Provision to Smallholders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 Development, (1995).
Wolch, Jennifer, R., The Shadow State, Governemnt and Voluntary Sector in Transition, (New York 1990).
그에는 무엇보다 비정부 조직의 연합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상황에서 비정부 조직은 각 비정부 조직의 사안의 실천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우선 비정부 조직의 의미와 역할을 정부와 사회에 알리는 것이 선결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를 위해서 비정부 조직은 '보편화될 수 있는 이익'을 대변하는 행위의 주체자들로서 연대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문규, "민주적 사회 창출을 위한 정부와 시민 조직와의 바람직한 관계 모색", (한국시민단체 협의회 발표문)(1996)
김용학, 『사회 구조와 행위』, (나남, 1992)
김혁래, 문태훈, 정영국, "한국의 이익 갈등의 양태와 조정 제도", 『이익 집단 정치와 이익 갈등』, 김영래 엮음 (1997)
알렝 뚜렌, "노동 운동의 제도화와 새로운 사회 운동의 전개",『새로운 사회 운동과 참여 민주주의』 정수복 편역, (문학과지성, 1993)
박재창, "21세기 한국시민운동의 전개 방향과 과제", (한국시민단체협의회 발표문)(1996)
제프리 알렉산더, (1987) 『현대 사회 이론의 흐름』, 이윤희 옮김, (민영, 1993)
엘마 알트파터, (1994) "합리적 세계지배 질서?", 문순홍 옮김, (나라사랑, 1995)
클라우스 오페, (1985) "새로운 사회운동 : 제도 정치의 경계에 대한 도전", 『후기 자본주의와 사회 운동의 전망』, 이병천, 박형준, 편저, (의암, 1993)
(1985) "통치 불가능성의 명제와 보수주의적 위기 이론의 르네상스", 『국가 이론과 위기 분석』, 한상진 편, (전예원, 1988)
유팔무, "한국의 시민 사회론과 시민 사회 분석을 위한 개념틀의 모색",『한국 정치.사회의 새흐름』 (나남)
볼프강 작스, (1993) "지구 생태계와 발전의 그림자",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생태 전략』, 도날드 워스터 외 지음, 문순홍 옮김, (나라사랑, 1995)
정수복, 『참여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단체의 역할과 정책 과제』, (박영률출판, 1996)
Bowden, Peter, "NGOs in Asia: issues in development", Pubil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1990).
Brett, Rachel, "The Role and Limits of Human Rights NGOs at the United Nations", Political Studies, (1987).
Brodhead, Tim, "Ngos: In One Year, Out the Other?", World Development, (1987).
Charlton, Roger, & May, Roy, NGOs, politics, projects and probity: a policy implementation perspective,
Domini, Antonio, "The Bureaucracy and the free spirits: stagnation and inno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 and NGOs", World Quaterly, (1995). Fox, Leslie M., "Sustaining Civil Society: Identifying Funding Strategies & Mechanism", CIVICUS, (1996)
Fox, Thomas, H., "NGOs from the United States", World Development, (1987).
Garliao, Ernesto, D., "Indegenous NGOs as Strategic Institutions: Managing the Relatopnship with Government and Resource Agencies, World Development, (1987).
Ghils, Paul, "International civil society: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1992).
Gordenker, Leon, & Weiss, Thomas, G., "Pluralisierung Global Governance: Analytical Approach and Dimension", Third World Quaterly (1995).
Nogueria, Roberto, Martinez, "Life Cycle and Learning in Grassroots Development Organisations", World Development (1987).
Sollis, Peter, "Partners in Development? The State, NGOs, and the UN in the Central America, NGOs The UN, & Global Governance, Weiss, Th. G., Gordenker, L.(ed.), (1996).
Uvin, Peter, "Scaling Up the Grassroots and Scaling Down the Summit: The Relations Between Third World and the UN", World Quarterly, (1995).
Wiggins, Steven, & Cromwell, Elisabeth, "NGOs and Seed Provision to Smallholders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 Development, (1995).
Wolch, Jennifer, R., The Shadow State, Governemnt and Voluntary Sector in Transition, (New York 1990).
추천자료
농민운동과 노동운동의 사례와 성격 및 의의
미국의 노동운동
한국의 노동운동
[공공부문][비정규직][구조조정][노동조합운동][용역제도][생산성]공공부문의 기관, 공공부문...
[공공부문][간접고용][비정규직][구조조정][노사관계][노동조합운동][내부통제제도]공공부문 ...
[공공부문][비정규직][간접고용][구조조종][노동운동][내부통제제도][자체감사]공공부문의 비...
노동운동의 본질과 노사갈등의 사회적 해결방안
[일본][일본인재파견][산업][노동운동][일본인재파견의 현황][일본인재파견의 사례]일본의 산...
19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우리나라 노동운동에서 이전에 비해 달라진 점 & 주요 특징과...
전태일과 한국의 노동운동
프랑스의 산업화와 노동운동
[일제하, 식민지시대]일제하(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의 유기체적 연대론, 동화주의, 일제하(...
[노사관계론] 19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우리나라 노동운동이 그 전에 비해 달라진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