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동북아 안보환경과 한,러 협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지전, 종족갈등이나 독립분리운동과 연계된 내전, 그리고 국제테러, 국제범죄, 사이버전쟁과 같은 동시다발적인 복합적 위협이 이미 현실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불특정 테러집단이나 범지구적 범죄조직들과 같이 비국가행위자로부터의 위협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21세기 이러한 새로운 안보위협 도전에 대응하기 위하여 주요국가들은 군사적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가운데 군전력, 군사전략, 무기체계 및 군사교리 등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군사력을 건설하기 위한 군사혁신(RMA)을 중심으로 현대화된 통합전력 건설, 신속이동전력과 조기경보능력의 강화, 그리고 고밀도 무기체계 확립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군사기술혁신(MTR)과 정보통신기술(ICT)을 극대화하여 국지전, 저강도 분쟁, 비전투 군사작전 등 비재래식 안보위협에 대처하는 다양한 작전에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융합전력(Fusion Capabilities) 증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군사기술혁신이 과연 비재래식 안보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아직도 유효한 질문이라고 봅니다.
21세기 새로운 안보환경하에 한·러 양국의 안보 및 군사협력을 모색하는 제3차 국방학술회의는 여러 의미에서 매우 시이 적절하며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하겠습니다. 본 회의에서 푸틴-김대중 정상회담과 푸틴-김정일 정상회담 이후 동북아 안보환경을 진단하고, 한·러의 21세기 군사전략 발전방향을 분석조망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러 안보 및 군사협력의 중요한 현안 중의 하나인 방위산업협력에 대하여 토론하게 될 것입니다. 많은 성과가 있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3.25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