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장 연구문제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Ⅱ장 김영삼 정부 경제정책의 기본배경
제1절 한국경제의 구조변화
제2절 경제개혁의 필요성
1. 경제발전의 새로운 원동력
2. 규제완화와 경제정의의 실현
제2절 금융실명제
제3절 금리자유화
제4절 UR과 쌀시장
제Ⅳ장 김영삼 정부 경제정책의 문제점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Ⅱ장 김영삼 정부 경제정책의 기본배경
제1절 한국경제의 구조변화
제2절 경제개혁의 필요성
1. 경제발전의 새로운 원동력
2. 규제완화와 경제정의의 실현
제2절 금융실명제
제3절 금리자유화
제4절 UR과 쌀시장
제Ⅳ장 김영삼 정부 경제정책의 문제점
본문내용
야 한다.
중소기업청의 설치와 함께 절실한 것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위상을 강화하는 것이다. 재벌기업의 문어발식 확장이 계속되면서 1개 기업의 매출액이 우리나라 예산을 상회할 만큼 경제력 집중현상이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공정거래위원회는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재벌기업의 경제력 집중에 의한 산업구조의 왜곡을 시정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위상을 감사원 수준으로 격상시켜 명실상부한 공정시장경쟁체제의 수호자로서 역할을 하게 할 필요가 있다.
여섯 번째, 세제 개혁이다. 금융실명제는 금융자산에 대한 소유자의 이름을 투명하게 밝혀 불법적 금융자산의 증식과 탈세를 방지하는 데 있다. 금융실명제 관련 세제개혁으로는 금융소득종합과세가 있는데, 이 제도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금액 부부합산 4,000만 원은 너무 높기 때문에 낮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빠른 시간 내에 모든 금융소득(5년 이상 장기채권이자소득, 주식과 채권의 양도차익 포함)을 종합과세대상에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모든 금융소득의 종합과세 실효성 제고를 위해 이자지급자와 채권을 만기 전에 매입하는 법인으로 하여금 이자소득세를 원천징수하게 할 뿐 아니라 통장거래를 의무화해야 하고, 이자소득 미신고시 가산세율을 최소한 50%이상으로 올려야 한다.
부동산실명제는 토지나 건물과 같은 부동산소유자의 신분을 확실히 노출시켜서 부동산투기와 불법적인 자산의 축적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서 탈세를 방지하려는 것이다. 이 제도의 핵심은 명의신탁, 즉 소유자가 자기 명의가 아닌 다른 사람의 명의를 빌어 부동산을 실제적으로 소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부동산실명제 관련세제는 종합토지세인데, 현재 종합토지세의 문제점은 그 실효세율이 너무 낮다는 것이고 별도합산과세(영업용건축물의 부속토지), 분리과세(생산성 토지, 사치성 토지)와 같은 과세대상의 세분화로 인한 과세의 비효율성이 초래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합토지세의 과표를 빠른 시간 내에 100% 공시지가로 전환하고 그에 따라 세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과세의 비효율성을 완화하기 위해 별도합산과세와 분리과세제도를 폐지하여 가능하면 모든 토지를 종합합산과세해야 한다.
투명한 경제를 통한 정경유착의 근절은 금융.부동산실명제 자체의 강화가 가장 중요하고 이것이 관련세제와 세정의 강화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증권시장개혁이다. 우리나라 증권시장은 불공정거래가 많아 정상적인 시장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본격적인 금융개방시대을 맞아 국제투기자금유입에 따른 희생이 클 것으로 보인다. 더욱 큰 문제는 정부가 증권시장을 개혁의 사각지대로 만듦으로써 증권시장이 비리의 온상이 되고 있다.
증권시장에서 불공정비리를 제거하고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금융개혁의 강화이다. 우선 금융실명제의 보완책으로 차.도명 거래를 불법화해야 한다. 그리하여 증권시장에서 불법변칙 거래를 차단해야 한다. 여기서 금융실명제 위반시 증권기관뿐만 아니라 거래자도 엄한 벌칙을 과해야 한다.
증권의 공정거래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더욱 중요한 개선책으로 요구되는 것이 증권감독원의 중립화와 전문화이다. 사실상 그 동안 증권감독원은 정치논리지배를 받음에 따라 불공정거래의 감시자가 아니라 방조자 역할을 해 왔다. 따라서 증권감독원의 정치적 독립과 업무의 전문화는 증권시장의 공정거래질서확립과 선진화에 필수 불가결하다. 현재 증권시장의 규제기구인 증권관리위원회는 완전히 제정경제원의 통제하에 있다. 증권관리위원회는 정치적으로 중립적이고 전문적인 의견을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
1. 국내문헌
강광하 (1994), "한국의 「신경제」 개혁", 「한국의 신경제와 각국의 경제개혁」, 서울: 박영사.
국무총리 행정조정실 (1995), 「김영삼 정부 2년6개월 무엇을 개혁하였는가」.
국회도서관 입법조사분석실 (1996), 「제15대국회 국정현안 100대과제」.
김적교 (1996), 「경제정책론」, 서울: 박영사.
김현대 (1994), "검은돈 햇빛 쬐기엔 역부족", 「한겨레21」 제21호, 서울: 한겨레신문사.
노화준 (1993), 「정책평가론」, 서울: 법문사.
서울사회경제연구소 (1994), 「한국경제의 새로운 발전방향 모색」, 서울: 유풍출판사.
이성원 (1993), "실명제 이후 중소기업의 현주소", 「말」 1993년 11월호, 서울: 월간 말.
이코노미스트, "특집 호황산업, 불황산업", 「이코노미스트」 제247호, 서울: 중앙일보사.
장지상 外(1994), 「손바닥 한국경제」, 서울: 사계절.
정태인 (1993),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개혁과제", 「신경제정책과 한국경제의 미래」, 서울: 녹두.
주종환 (1988), "한국독점자본주의의 전개와 대응", 「사회경제평론」 제1집, 서울: 한울아카데미.
한국경제정책연구회 (1995), 「한국경제의 새 패러다임 모색」, 서울: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과학연구소 (1993), 「다이어그램 한국경제」, 서울: 의암출판.
허범 外(1991), 「행정학개론」,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서울: 대영문화사.
2. 국외문헌
Bailey, K.D. (1982), Methods of Social Research,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Brian, W.H. & Lewis, A.G. (1984), Policy Analysis for the Real Worl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Dunn, W.N. (1981),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tion, New Jersey: Prentice-Hall.
Nachmias, D. (1980), The Practice of Policy Evaluation, New York: St. Martin's Press.
Stockey, E. & Zeckhauser, R. (1978), A Primer for Policy Analysis, New York:
Norton & Company. Inc.
중소기업청의 설치와 함께 절실한 것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위상을 강화하는 것이다. 재벌기업의 문어발식 확장이 계속되면서 1개 기업의 매출액이 우리나라 예산을 상회할 만큼 경제력 집중현상이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공정거래위원회는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재벌기업의 경제력 집중에 의한 산업구조의 왜곡을 시정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위상을 감사원 수준으로 격상시켜 명실상부한 공정시장경쟁체제의 수호자로서 역할을 하게 할 필요가 있다.
여섯 번째, 세제 개혁이다. 금융실명제는 금융자산에 대한 소유자의 이름을 투명하게 밝혀 불법적 금융자산의 증식과 탈세를 방지하는 데 있다. 금융실명제 관련 세제개혁으로는 금융소득종합과세가 있는데, 이 제도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금액 부부합산 4,000만 원은 너무 높기 때문에 낮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빠른 시간 내에 모든 금융소득(5년 이상 장기채권이자소득, 주식과 채권의 양도차익 포함)을 종합과세대상에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모든 금융소득의 종합과세 실효성 제고를 위해 이자지급자와 채권을 만기 전에 매입하는 법인으로 하여금 이자소득세를 원천징수하게 할 뿐 아니라 통장거래를 의무화해야 하고, 이자소득 미신고시 가산세율을 최소한 50%이상으로 올려야 한다.
부동산실명제는 토지나 건물과 같은 부동산소유자의 신분을 확실히 노출시켜서 부동산투기와 불법적인 자산의 축적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서 탈세를 방지하려는 것이다. 이 제도의 핵심은 명의신탁, 즉 소유자가 자기 명의가 아닌 다른 사람의 명의를 빌어 부동산을 실제적으로 소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부동산실명제 관련세제는 종합토지세인데, 현재 종합토지세의 문제점은 그 실효세율이 너무 낮다는 것이고 별도합산과세(영업용건축물의 부속토지), 분리과세(생산성 토지, 사치성 토지)와 같은 과세대상의 세분화로 인한 과세의 비효율성이 초래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합토지세의 과표를 빠른 시간 내에 100% 공시지가로 전환하고 그에 따라 세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과세의 비효율성을 완화하기 위해 별도합산과세와 분리과세제도를 폐지하여 가능하면 모든 토지를 종합합산과세해야 한다.
투명한 경제를 통한 정경유착의 근절은 금융.부동산실명제 자체의 강화가 가장 중요하고 이것이 관련세제와 세정의 강화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증권시장개혁이다. 우리나라 증권시장은 불공정거래가 많아 정상적인 시장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본격적인 금융개방시대을 맞아 국제투기자금유입에 따른 희생이 클 것으로 보인다. 더욱 큰 문제는 정부가 증권시장을 개혁의 사각지대로 만듦으로써 증권시장이 비리의 온상이 되고 있다.
증권시장에서 불공정비리를 제거하고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금융개혁의 강화이다. 우선 금융실명제의 보완책으로 차.도명 거래를 불법화해야 한다. 그리하여 증권시장에서 불법변칙 거래를 차단해야 한다. 여기서 금융실명제 위반시 증권기관뿐만 아니라 거래자도 엄한 벌칙을 과해야 한다.
증권의 공정거래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더욱 중요한 개선책으로 요구되는 것이 증권감독원의 중립화와 전문화이다. 사실상 그 동안 증권감독원은 정치논리지배를 받음에 따라 불공정거래의 감시자가 아니라 방조자 역할을 해 왔다. 따라서 증권감독원의 정치적 독립과 업무의 전문화는 증권시장의 공정거래질서확립과 선진화에 필수 불가결하다. 현재 증권시장의 규제기구인 증권관리위원회는 완전히 제정경제원의 통제하에 있다. 증권관리위원회는 정치적으로 중립적이고 전문적인 의견을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
1. 국내문헌
강광하 (1994), "한국의 「신경제」 개혁", 「한국의 신경제와 각국의 경제개혁」, 서울: 박영사.
국무총리 행정조정실 (1995), 「김영삼 정부 2년6개월 무엇을 개혁하였는가」.
국회도서관 입법조사분석실 (1996), 「제15대국회 국정현안 100대과제」.
김적교 (1996), 「경제정책론」, 서울: 박영사.
김현대 (1994), "검은돈 햇빛 쬐기엔 역부족", 「한겨레21」 제21호, 서울: 한겨레신문사.
노화준 (1993), 「정책평가론」, 서울: 법문사.
서울사회경제연구소 (1994), 「한국경제의 새로운 발전방향 모색」, 서울: 유풍출판사.
이성원 (1993), "실명제 이후 중소기업의 현주소", 「말」 1993년 11월호, 서울: 월간 말.
이코노미스트, "특집 호황산업, 불황산업", 「이코노미스트」 제247호, 서울: 중앙일보사.
장지상 外(1994), 「손바닥 한국경제」, 서울: 사계절.
정태인 (1993),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개혁과제", 「신경제정책과 한국경제의 미래」, 서울: 녹두.
주종환 (1988), "한국독점자본주의의 전개와 대응", 「사회경제평론」 제1집, 서울: 한울아카데미.
한국경제정책연구회 (1995), 「한국경제의 새 패러다임 모색」, 서울: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과학연구소 (1993), 「다이어그램 한국경제」, 서울: 의암출판.
허범 外(1991), 「행정학개론」,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서울: 대영문화사.
2. 국외문헌
Bailey, K.D. (1982), Methods of Social Research,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Brian, W.H. & Lewis, A.G. (1984), Policy Analysis for the Real Worl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Dunn, W.N. (1981),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tion, New Jersey: Prentice-Hall.
Nachmias, D. (1980), The Practice of Policy Evaluation, New York: St. Martin's Press.
Stockey, E. & Zeckhauser, R. (1978), A Primer for Policy Analysis, New York:
Norton & Company. Inc.
추천자료
두발자유화 문제를 통한 중고교생의 인권활성화 방안
(통일 정책) 김영삼 대통령이 이룩한 사업과 대북 통일 정책
바이아메리칸조항-무역자유화VS보호무역 논란
무역자유화(FTA)와 한국수산업
70년대 유신 체제와 양김(김영삼, 김대중)의 행보
금융자유화와 금융위험 및 금융제도의 안전성
[수산물][수산물 생산현황][수산물 교역][수산물 무역수지][수산물 무역자유화][수산물 관세...
역대 대통령의 리더십 평가 분석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탈냉전체제(탈냉전시대)와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 탈냉전체제(탈냉전시대)와 한국 대통...
[자본거래][자본][거래][자본거래 유형][자본거래 자유화][자본거래 규제방식][자본거래 현황...
[어업자원관리][어업자원관리 수산물무역 자유화][어업자원관리 일본제도][어업자원관리 사례...
[시장개방][경제개방]러시아 시장개방(자본자유화, 경제개방)에 따른 기업환경, 중국 시장개...
[시장개방][자본자유화]헝가리 시장개방(자본자유화, 경제개방)에 따른 기업환경, 베트남 시...
<거시 건전성 규제를 통한 자본유출입 안정화 방안> 거시 건전성 규제,자본유출입 안정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