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제1장 일본경제의 장기침체
1. 거품의 형성과 붕괴 과정
1) 거품의 형성
2) 거품의 붕괴
2. 장기침체
3. 경제개혁을 위한 노력과 평가
1) 정부의 정책
2) 최근의 동향
제2장 장기침체의 원인: 일본의 정치경제구조
1. 경제위기에 대한 기존 설명들
1) 정책실패론
2) 구조적 한계론
2. 일본의 정치경제구조
1) 정계(政界)
2) 관계(官界)
3) 재계(財界)
4) 정치경제구조
3. 정치경제구조와 장기침체: 정책실패, 정책전환의 지연
1) 하시모토의 개혁
2) 오부치 정권과 정책결정의 난관
4. 발전국가로서의 일본
1) 발전지향형 국가 개념의 도입배경
2) 발전지향형 국가 일본과 그 특징
3) 발전국가 모델의 한계
Ⅲ. 결론: 정치경제구조의 개혁
Ⅱ. 본 론
제1장 일본경제의 장기침체
1. 거품의 형성과 붕괴 과정
1) 거품의 형성
2) 거품의 붕괴
2. 장기침체
3. 경제개혁을 위한 노력과 평가
1) 정부의 정책
2) 최근의 동향
제2장 장기침체의 원인: 일본의 정치경제구조
1. 경제위기에 대한 기존 설명들
1) 정책실패론
2) 구조적 한계론
2. 일본의 정치경제구조
1) 정계(政界)
2) 관계(官界)
3) 재계(財界)
4) 정치경제구조
3. 정치경제구조와 장기침체: 정책실패, 정책전환의 지연
1) 하시모토의 개혁
2) 오부치 정권과 정책결정의 난관
4. 발전국가로서의 일본
1) 발전지향형 국가 개념의 도입배경
2) 발전지향형 국가 일본과 그 특징
3) 발전국가 모델의 한계
Ⅲ. 결론: 정치경제구조의 개혁
본문내용
이처럼, 발전국가 모델은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가져오며 또한 엘리트계층의 도덕적 해이를 초래하기 쉽기 때문에 구조적인 문제점들이 불거져 나옴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정치경제구조의 개혁이 어려워진다는 이중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지금 일본의 구조개혁의 걸림돌이 되는 것은 바로 국가의 자율성이라는 문제이다. 발전국가 모델에서는 국가의 자율성이 강할수록 보다 효율적인 정책의 수립과 실행이 가능해 진다. 이를 위해 우선 전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국가의 투명성이다. 일부 정치인과 관료, 그리고 일본의 재계와 같은 액터들이 개별 액터들의 이익보다는 국익을 우선하는 청렴성과, 기왕의 정책에서 보였던 것과 같은 소수 거대 기업에 대한 특혜 없이 국내적으로나 국제적으로 경쟁하도록 하는 공정한 제도 등이 필요한 것이다.
현재의 일본은 국가의 자율성도 이전보다 매우 약화되었고, 투명성 역시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자율성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각 액터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는커녕 오히려 그 액터들의 이익에 좌우되고 만다. 이로 인해 투명성은 점점 부족해지게 되고, 그것은 다시 자율성의 약화라는 악순환을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의 자율성을 재정립하고, 자유시장경제 메커니즘이 잘 작동될 수 있도록 제도의 보완이 시급하다. 이것이 가능할 때에만이 일본은 장기 침체의 늪에서 빠져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시금 경제성장의 길로 들어설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국문 자료
김기석,『일본의 경제위기: 국제화와 국내적 대응의 접근법』, 세종연구소, 1999.
(http://web.sejong.org/englishsejong/englishsejong/psj/nationstrategy/990501/990501-03.htm#01)
윤영관, 『21세기 한국정치경제모델』, 신호서적, 1999.
『전환기 국제정치경제와 한국』, 민음사, 1996.
사카키바라 에이스케, 다하라 소이치로 지음, 『일본재생』, 한울, 1999.
김범식 외, 『21세기 국가전략과 기업과제』, 삼성경제연구소, 1998. (http://seriecon.seri21.org)
이숙종, 『일본의 금융위기:불량채권 문제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999.
송명주, 『일본의 경제위기와 '봉합'의 정치적 대응』, 세종연구소, 1999.
권혁기 외 1,『일본형 자본주의』, 럭키금성경제연구소, 1993.
김도형, 『일본의 변화: 정치·관료·경제·기업개혁』, 산업경제연구원, 1994.
노구치유키오(野口悠紀雄), 소정선 옮김, 『버블경제』, 말길, 1993.
성재상 옮김, 『여전히 전치체제하에 있는 일본의 경제구조』, 비봉출판사, 1996.
무라마쯔미찌오(村松岐夫) 외 2, 조규철 외 1 옮김, 『일본의 정치』, 푸른산, 1989.
사이토세이치로(齋藤精一郞), 신한종합연구소 옮김, 『일본경제 왜 무너졌나』들녘, 1999.
신한종합연구소, 『일본의 미래』, 신한종합연구소, 1997.
이숙종, 『일본의 신정치경제: 대안적 패러다임을 찾아』, 세종연구소, 1998.
장달중, 『高度經濟成長의 政治的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1955-1973』.
크리스토퍼 우드(Christopher Wood), 황홍선 옮김, 『일본경제 실상과 허상』, 매일경제신문사, 1993.
2. 영문 자료
Adam Posen,『Restoring Japan's Economic Growth』, 1998. (http://207.238.152.36/publications/ publication.cfm?pub_id=35)
Albert O. Hirshman, 『Exit, Voice and Loyalt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
Chalmers Johnson, 『Political Institu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Governmentbusiness
Relationship in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Japan, Who Governs?: the Rise of the Developmental State』, New York, Norton, 1995.
Daniel I. Okimoto, 『Between MITI and the Market: Japanese Industrial Policy for High Technolog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Jacob Schelsinger,『Shadow Shoguns: The Origins and Crisis of Japan Inc.』,
Washington Quarterly 21:2, 1998.
Ozawa Terutomo,『The New Economic Nationalism and the ‘Japanese Disease’: The Conundrum of Managed Economic Growth』, Journal of Economic Issues 30:2, June 1996.
Paul Krugman,『The Myth of Asia's Miracle: A Cautionary Fable』, Foreign Affairs, 1994.
Richard Katz,『Japan, the System That Soured: The Rise and Fall of the Japanese Economic Miracle』, Sharp, 1998.
T. J. Pempel, 『From Exporter to Investor: Japanese Foreign Economic Policy』, 1993
[목 차]
[부록] : 참고 문헌 ………………………………………………………………………………… 25
學士 學位 論文
2001년 2월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 동 규
<아시아 현안의 이해 2>
▲▽▲▽▲▽▲▽▲▽▲▽▲▽▲▽▲▽▲▽▲▽
[일본의 신화는 끝났는가?]
- 1990년대 10년여간의 일본 장기 불황에 대한 분석
▲▽▲▽▲▽▲▽▲▽▲▽▲▽▲▽▲▽▲▽▲▽
과 목 : 아시아 현안의 이해 2
담당교수 : 이성량 교수님
전 공 : 정치외교학과
학 번 : 19610833
이 름 : 이 동 규
지금 일본의 구조개혁의 걸림돌이 되는 것은 바로 국가의 자율성이라는 문제이다. 발전국가 모델에서는 국가의 자율성이 강할수록 보다 효율적인 정책의 수립과 실행이 가능해 진다. 이를 위해 우선 전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국가의 투명성이다. 일부 정치인과 관료, 그리고 일본의 재계와 같은 액터들이 개별 액터들의 이익보다는 국익을 우선하는 청렴성과, 기왕의 정책에서 보였던 것과 같은 소수 거대 기업에 대한 특혜 없이 국내적으로나 국제적으로 경쟁하도록 하는 공정한 제도 등이 필요한 것이다.
현재의 일본은 국가의 자율성도 이전보다 매우 약화되었고, 투명성 역시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자율성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각 액터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는커녕 오히려 그 액터들의 이익에 좌우되고 만다. 이로 인해 투명성은 점점 부족해지게 되고, 그것은 다시 자율성의 약화라는 악순환을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의 자율성을 재정립하고, 자유시장경제 메커니즘이 잘 작동될 수 있도록 제도의 보완이 시급하다. 이것이 가능할 때에만이 일본은 장기 침체의 늪에서 빠져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시금 경제성장의 길로 들어설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국문 자료
김기석,『일본의 경제위기: 국제화와 국내적 대응의 접근법』, 세종연구소, 1999.
(http://web.sejong.org/englishsejong/englishsejong/psj/nationstrategy/990501/990501-03.htm#01)
윤영관, 『21세기 한국정치경제모델』, 신호서적, 1999.
『전환기 국제정치경제와 한국』, 민음사, 1996.
사카키바라 에이스케, 다하라 소이치로 지음, 『일본재생』, 한울, 1999.
김범식 외, 『21세기 국가전략과 기업과제』, 삼성경제연구소, 1998. (http://seriecon.seri21.org)
이숙종, 『일본의 금융위기:불량채권 문제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999.
송명주, 『일본의 경제위기와 '봉합'의 정치적 대응』, 세종연구소, 1999.
권혁기 외 1,『일본형 자본주의』, 럭키금성경제연구소, 1993.
김도형, 『일본의 변화: 정치·관료·경제·기업개혁』, 산업경제연구원, 1994.
노구치유키오(野口悠紀雄), 소정선 옮김, 『버블경제』, 말길, 1993.
성재상 옮김, 『여전히 전치체제하에 있는 일본의 경제구조』, 비봉출판사, 1996.
무라마쯔미찌오(村松岐夫) 외 2, 조규철 외 1 옮김, 『일본의 정치』, 푸른산, 1989.
사이토세이치로(齋藤精一郞), 신한종합연구소 옮김, 『일본경제 왜 무너졌나』들녘, 1999.
신한종합연구소, 『일본의 미래』, 신한종합연구소, 1997.
이숙종, 『일본의 신정치경제: 대안적 패러다임을 찾아』, 세종연구소, 1998.
장달중, 『高度經濟成長의 政治的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1955-1973』.
크리스토퍼 우드(Christopher Wood), 황홍선 옮김, 『일본경제 실상과 허상』, 매일경제신문사, 1993.
2. 영문 자료
Adam Posen,『Restoring Japan's Economic Growth』, 1998. (http://207.238.152.36/publications/ publication.cfm?pub_id=35)
Albert O. Hirshman, 『Exit, Voice and Loyalt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
Chalmers Johnson, 『Political Institu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Governmentbusiness
Relationship in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Japan, Who Governs?: the Rise of the Developmental State』, New York, Norton, 1995.
Daniel I. Okimoto, 『Between MITI and the Market: Japanese Industrial Policy for High Technolog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Jacob Schelsinger,『Shadow Shoguns: The Origins and Crisis of Japan Inc.』,
Washington Quarterly 21:2, 1998.
Ozawa Terutomo,『The New Economic Nationalism and the ‘Japanese Disease’: The Conundrum of Managed Economic Growth』, Journal of Economic Issues 30:2, June 1996.
Paul Krugman,『The Myth of Asia's Miracle: A Cautionary Fable』, Foreign Affairs, 1994.
Richard Katz,『Japan, the System That Soured: The Rise and Fall of the Japanese Economic Miracle』, Sharp, 1998.
T. J. Pempel, 『From Exporter to Investor: Japanese Foreign Economic Policy』, 1993
[목 차]
[부록] : 참고 문헌 ………………………………………………………………………………… 25
學士 學位 論文
2001년 2월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 동 규
<아시아 현안의 이해 2>
▲▽▲▽▲▽▲▽▲▽▲▽▲▽▲▽▲▽▲▽▲▽
[일본의 신화는 끝났는가?]
- 1990년대 10년여간의 일본 장기 불황에 대한 분석
▲▽▲▽▲▽▲▽▲▽▲▽▲▽▲▽▲▽▲▽▲▽
과 목 : 아시아 현안의 이해 2
담당교수 : 이성량 교수님
전 공 : 정치외교학과
학 번 : 19610833
이 름 : 이 동 규
추천자료
국제정치의 변화와 한반도(북핵문제와 통일문제 중심으로)
현대국제정치론-5.16과 케네디
이안고프의 사회복지의 정치경제학을 읽고
정치경제학의 세 가지 이데올로기
[레포트]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와 국제정치
제1차 세계대전이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ㆍ여성에게 미친 영향
비교역사적 방법론, 정치경제론, 현대발전이론
[국제정치]세기전환기 한반도 주변정세와 내부동향 비교 분석
국제정치 행위자로서의 초국가적 행위
[정치학][정치][정치론][정치과정][정치학의 연구][국제정치론][정치과정론][정치방법론]정치...
[정치생태학, 정치생태학과 정치경제학, 환경문제, 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민족주의]정치생...
[국제정치][국제][정치][국제정치 분류]국제정치의 분류, 국제정치의 형성, 국제정치의 이론...
[기업과 경제][기업과 시장경제][기업과 세계경제][기업과 지역경제][기업과 정치경제]기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