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언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중국의 언어
□ 총 페이지수 : 8p
□ 목 차:
1. 중국어의 특성
1) 구조적 특성
2) 중국어의 종류

2. 중국과 대만의 어문정책
1) 중국의 어문정책
2) 대만의 어문정책

3. 중국인의 언어문화
1) 전통적 언어문화
2) 현대중국의 변화
3) 양안간 언어의 이질성

본문내용

영대용법사전]에 의하면 문학혁명기간중 15개의 '흑'자를 사용한 신조어가 출현한것
셋째는 당시의 문풍변화를 들수 있다. 당시에는 '모택동어록'인용, 崔崔崔'등의 축송사, 두가단,
혈가류(목을 자를수 있고,피를 흘릴수 있다.)'천부파,귀부파,일체도부파(하늘도 귀신도 어떠한것
도 두렵지 않다)'등의 과장된 언어들이 각종 혁명성 문서에 범람하였다.
으로 나타난다. 파생어를 생각하다면 그 쓰임새의 광범위함을 짐작할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허장성세 전투성을 강조하는 언어들은 일반대중의 과장, 거짓말,비현실성등을
초래하였으니 언어환경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알수 있다.
2) 개혁,개방시기의 외래어증가
중국어에 있어서의 새로운 외래어란 새로운 역사시기에 중국의 민족문화간의 접촉교류와 융합
의 산물이다. 중국의 언어학자인 왕철곤이 [신사신어사전: 어문출판사,1989]의 새로운 단어들을
분석해 본 결과 1949~88년까지의 5300여개단어들 중 외래어가 381개로 백개의 단어당 1.5개가
외래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79년 개혁개방이후 88년까지의 10년동안 외래어의 증가는 개혁,개방이전의 30년(1949
~78)간 보다 월등히 많았다. 외래어의 급속한 확산은 광동성,복건성등의 초기 개방지역에서
활발했다.
이렇게 수입된 외래어들은 점차 '보통화(표준중국어)'의 어휘체계로 진입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巴士(bus의 음역),的士(taxi의 음역)등 국제공용어인 영어단어들을 들수 있다.
여기에서 중국인들은 다시 한번 그들의 조어능력을 발휘한다.
즉 '大巴(大버스),小巴(小버스),中巴(中버스),打的(타다라는 타동사)등 반음반역 형태의어휘들을
들수 있는데 벽력무(브레이크 댄싱),상나욕(사우나)등도 여기에 속한다.
이밖에도 음역,반음역,반의역과정을 거쳐 결국 의역화되는 외래어도 있다.
예를들면 평납도(훌라후프의 반음반의역)가 '手身圈으로, 迷稱裙(미니스커트)등이다.
이러한 외국어의 도입은 서양의 '舶來品'에 대한 심적 숭배감이 사람들의 마음에 자리잡고 있기
대문에, 동시에 현대 중국인(특히 젊은층)들의 서방문물에 대한 동경과 추국 때문이라고 할수
있다.
최근 외래어 도입에서 관심을끄는 부분은 영어알파벳이 중국어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쓰이는
점이다. 즉' SOS 兒童村), T血(티샤츠),BB機(삐삐),三S혁명,TDK杯등에서 볼수 있듯이 한자와
외국어의 접촉이 이미 상당한 정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수 잇다.
이역시 현대중국인들의 서양문물에 대한 동경과 추구를 나타내는 심리표현으로 그정도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개혁,개방이후의 외래어는 상당부분이 중국전통문화의 개조와 소화를 거쳐 도입
되고 있다. 그러나ㅓ '남과 다른 심리'를 추구하는 경향이 댜두됨에 따라 무분별한 외래어의
범람도 예상된다.
즉 한쪽에서 '再見'하면 이쪽에서는 拜拜(bye-bye)의 음역의 의미상 의역음역의 공동구성이라고
한다든가 택시타는것도 '打的'라고 하는것등은 좋은 현상이라 할수없다.
3) 양안간 언어의 이질성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과 더불어 당시까지 중국을 지배하던 국민당정부는
대만에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여 서로 상이한 체제에서 40여 대만해협사이에 두고 양안에
격리된 채로 지내왔다.
언어는 역사성,사회성,문화성등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이에 다라 완전히 다른제도하에서 양안간에는 자연스럽게 언어문화의 이질성이 출현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한 언어상의 문제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우선 가장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는것이 바로 변체자(대만)와 간체자(중국)의 사용이다.
둘재는 사회의 개방성이나 재도적차이로 인한 외래어의 심한 이질성을 들수 있다.
1987년 대만당국이 자국민들의 대중국친지방문을 허가한 이후 급속히 확대되기 시작한
쌍방간의 교류에서 상이한 단어의사용은 불필요한 오해나 상호이해를 저해하는 작용을
하기도 하였다.
이와같은 언어의 차이는 쉽게 오해를 야기할수 있다.
예를들어 중국의 '입면'은 대만의 '입면',즉 우리의라면을 일컫는다.
그러나 대만사람들이 단순히 글자의 뜻만을 생각한다면 '얼굴을 정형한다'라는 뜻으로 받아들일
소지가 다분히 있다. 동일 언어권에서 스스로의 필요에 따른 자의적인 신조어의 확대는 상당한 문제
가 있다. 실제로 현재 중국본토에서는 과다한 간체자 작업으로 위대한 중국의 문화유산이자 인류의
문화유산인 주옥같은 고대중국의 경전들을 읽지 못하는 가ㅏ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같은 현상은 남북으로 분단되어 있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바가 크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3.27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