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투스 Spec 및 다른 무선 방식과 비교 내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 통신 부품 및 시스템 연구분야
□ 총 페이지수 : 7
□ 목 차:

(가)연구의 필요성
나)연구목표 및 내용
○ 연구의 최종 목표
○ 1차년도 연구 내용
○ 2차년도 연구 내용
○ 3차년도 연구 내용
○ 추진 전략
○ 추진 체계
라)세부과제와의 연관성
마)기대효과
다른 무선방식과 비교 내용

본문내용

rd, Toshiba사의 PABTC001 Bluetooth PC
Card 등 지원
- Bluetooth 드라이버 기술 제공 (Linux용, Windows용)
- 무선 통신망에 적합한 WAP Protocol 사용 (WAP SPEC 1.1)
- Bluetooth와 WAP 연동 기술 제공
- WAP Gateway 구축 기술
- KIOSK용 Information Contents 구축 기술 (WAP과 DB 연동)
- 다수의 서비스 이용자 동시 지원 (기존 KIOSK 공간 제약 극복)
- KIOSK를 인터넷 Access Point로 사용 가능
적용분야
- 도서관 및 서점 : 무선단말기로 책의 위치, 내용 등 탐색
- 관광안내소 : 각종 관광정보를 무선단말기로 탐색
- 무선인터넷카페 : 카페 내부에서는 무료로 무선인터넷을 즐길 수 있음
- Show Window : 심야에 점원부재의 가게에서도 제품가격 등을 알 수 있음
● 다른 무선통신
Bluetooth가 무선통신의 중심에서기 이전에도 무선통신에 대한 개발은 계속되어 왔다.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PIAFS(PHS Internet Access Forum Standard:피아프),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무선LAN (IEEE802.11b)등이 있다.
이들 중 IrDA의 경우 1990년대 초반에 실용화되어 현재에도 많은 부분에 이용이 되고 있으나, 1:1통신으로 제한 된다는 점과 적외선의 특성상 미세한 대응 각도의 차이에도 쉽게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한다는 점등 이로 인해 사용성이 제한되었다.
PIAFS는 일본의 PHS 인터넷 엑세스 포럼이 1996년에 정한 PHS를 사용한 규격으로 가정의 전화회선에 무선 모뎀(TA)를 연결하고, PC로부터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식이나 일본내 일부에서만 사용되고있다.
이외에 SWAP(HomeRF)의 경우 아직 실용화 되지 못했으며, 무선LAN은 PC의 LAN선을 무선화함으로써 PC들의 통신을 무선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대의 기기가 동시에 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로 오피스내의 유선랜의 대채기술로서 보급되어지고 있으며, PC카드형태로 개발되어 랜선이 없는 네트워크 환경을 실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luetooth가 무선네트워크 혁명의 진정한 기술로서 기대되고 있는 것은 첫째 현재까지 발표되어있는 Bluetooth 스팩이 위의 여러가지 기술들에 비해 획기적인 통신속도와 동시접속 가능 기기의 수가 여러대라는 점 등이고, 둘째 이동통신시장이 확대되어가는 현시점에서 단말기에 블루투스 탑재를 통한 단기간 대량생산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 근거로 세계이동통신 단말기 업체들이 모두 블루투스의 채용을 표명하고 있으며, 세계 이동통신 단말기 시장의 40%이상을 장악하고있는 Ericsson과 Nokia가 적극적으로 탑재할 것임을 명확히 하고 있다는 점을 들수 있다.
무선 통신 비교표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4.03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