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Ⅰ. 서 론
1. 운영의 필요성
2. 운영의 목적
3. 실태 조사 및 분석
4. 용어의 정의
5. 운영의 범위
Ⅱ. 이론적 배경
1. 문헌 연구
2. 선행 연구의 고찰
Ⅲ. 중점 과제
Ⅳ. 운영의 방법
1. 대상 및 기간
2. 운영의 조직
3. 운영의 절차
Ⅴ. 운영의 실제
1. 중점 과제 1의 실행
2. 중점 과제 2의 실행
3. 중점 과제 3의 실행
Ⅵ. 운영의 결과
Ⅶ.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1. 운영의 필요성
2. 운영의 목적
3. 실태 조사 및 분석
4. 용어의 정의
5. 운영의 범위
Ⅱ. 이론적 배경
1. 문헌 연구
2. 선행 연구의 고찰
Ⅲ. 중점 과제
Ⅳ. 운영의 방법
1. 대상 및 기간
2. 운영의 조직
3. 운영의 절차
Ⅴ. 운영의 실제
1. 중점 과제 1의 실행
2. 중점 과제 2의 실행
3. 중점 과제 3의 실행
Ⅵ. 운영의 결과
Ⅶ.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본문내용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많은 성과가 있어 학생이 모든 면에 자신감을 갖는 것 같다.
② 크게 나타나지는 않으나 조금은 자신감이 생긴 것 같다.
③ 지금 현재는 효과가 없으나 계속 인성지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④ 더 내성적으로 변하는 것 같아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11. 기초학력 부진 학생의 학교생활의 부적응 해소, 공동체 의식 및 이웃사랑을 배양하기 위해 현장 체험학습을 실시한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많은 성과가 있었다.
②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다.
③ 성과가 없었다.
④ 잘 모르겠다.
기초학력 책임 지도 효과 검증용 설문지 (학생용)
본교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2001. 3. 1 - 2002. 2. 28까지 1년간 '배움실에서의 개별화 학습을 통한 기초학력 책임 지도제 운영'이라는 주제로 시교육청 지정 시범학교 운영을 하고, 그 결과를 알고자 여러 선생님들께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본 설문에 솔직하게 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학생 여러분은 학기초에 기초학력 부진 학생반 (솔·향반)에 선정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보충지도를 받을 수 있어서 좋았다.
② 부끄러웠지만 해야한다고 생각했다.
③ 보충지도를 전혀 받고 싶지 않았다.
④ 아무 생각도 없었다.
2. 지금 학교에서 방과후에 특별보충 지도를 하는데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수업이 아주 재미있고 도움이 된다.
②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조금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③ 선생님들께서 열심히 가르치지만 도움이 안되고 재미가 없다.
④ 잘 모르겠다.
3. 교과 배움실에서의 특별보충 학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일반 교실에서 보다 수업 환경이 좋아서 공부가 더 잘 된다.
② 배움실에서의 환경은 좋으나 학습 면에서는 잘 모르겠다.
③ 일반 교실이나 배움실이나 별 차이가 없다.
④ 일반교실에서의 수업이 훨씬 좋다.
4. 특별보충 시 활용한 학습 자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단계별 학습지 및 다양한 학습자료가 학습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되었다.
② 학습지나 자료에 흥미가 있지만 학습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③ 학습지 내용이 어려워 학습에 도움이 전혀 되지 않았다.
④ 잘 모르겠다.
5. 소집단 협력 수업으로 하는 학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수업이 재미가 있고 도움이 되었다.
② 조금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③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④ 재미가 없고 시끄럽기만 하다.
6. 선생님들의 개별 지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지도받는 과목이 좋아졌다.
②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된다.
③ 개별지도가 없다고 생각한다.
④ 잘 모르겠다.`
7. 학교 홈페이지 활용으로 자율학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까?
① 도움이 많이 되었다.
② 다소 도움이 되었다.
③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④ 관심이 없었다.
8. 학생 자신들의 자아의식 확립을 위한 심성계발 훈련을 해보니 어떻습니까?
① 자신감과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
②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자신감이 생겼다.
③ 전혀 달라진 것이 없다.
④ 잘 모르겠다
기초학력 책임 지도 효과 검증용 설문지 (학부모용)
본교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2001. 3. 1 - 2002. 2. 28까지 1년간 '배움실에서의 개별화 학습을 통한 기초학력 책임 지도제 운영'이라는 주제로 시교육청 지정 시범학교 운영을 하고, 그 결과를 알고자 여러 선생님들께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본 설문에 솔직하게 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귀댁의 자녀가 학기초에 기초학력 부진 학생으로 선정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셨습니까?
① 지도할 길이 막막했는데 잘 됐다고 생각했다.
② 부끄러웠지만 잘된 일이라고 생각하였다.
③ 그다지 반갑지 않았지만 지도하면 조금은 나아지지 않을까 기대하였다.
④ 상당히 섭섭하고 부끄럽고 화가 났다.
2. 지금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특별보충 지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지도한 성과가 조금은 보이는 것 같아 희망을 가지고 있다.
② 아직은 성과가 보이지 않지만, 희망이 있어 보인다.
③ 교사들이 노력은 하고 있지만, 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
④ 크게 기대하지 않고 있다.
3. 귀댁의 자녀가 어느 면이 가장 크게 달라졌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기초학력이 다소 향상되었다.
② 생활태도가 달라졌다.
③ 학습태도가 달라졌다.
④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4. 귀댁의 자녀를 방과후에 과목별로 교사가 기초학력을 책임 지도한 결과 성적이 향상되고 있다고 보십니까?
① 많이 향상되었다.
② 조금 향상되었다.
③ 별 효과가 없다.
④ 아직은 잘 모르겠다.
5. 학습태도 면에서 귀댁의 자녀가 달라진 점은 어느 것입니까?
① 학습태도가 아주 좋아졌다.
② 열심히 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다소 보인다.
③ 전과 별 다른 점이 없다.
④ 학습태도가 더 나빠졌다.
6. 생활태도 면에서 귀댁의 자녀가 달라진 점은 어느 것입니까?
① 자긍심과 자신감이 크게 향상되었다.
② 아직은 부족하지만 어느 정도 자신감을 지니게 된 것 같다.
③ 별로 달라진 게 없다.
④ 생활태도가 전반적으로 더 나빠졌다.
7.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의식 확립을 위한 심성계발 훈련을 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아이가 자신감을 갖는 것 같아 대찬성이다.
② 크게 나타나지는 않으나 조금은 자신감이 생긴 것 같다.
③ 지금 현재는 효과가 없으나 계속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④ 더 내성적으로 변하는 것 같아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8. 기초학력 부진 학생의 학교생활의 부적응 해소, 공동체 의식 및 이웃사랑을 배양하기 위해 현장 체험학습을 실시한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아주 좋다고 생각하며 더 많이 실시했으면 한다.
② 약간 좋다고 생각한다.
③ 그저 그렇다고 생각한다.
④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한다.
9. 학부형님은 학교에서 계획을 세워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지도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잘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② 계획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③ 성과도 없는 일에 교사와 학생들만 고생한다.
④ 쓸데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① 많은 성과가 있어 학생이 모든 면에 자신감을 갖는 것 같다.
② 크게 나타나지는 않으나 조금은 자신감이 생긴 것 같다.
③ 지금 현재는 효과가 없으나 계속 인성지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④ 더 내성적으로 변하는 것 같아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11. 기초학력 부진 학생의 학교생활의 부적응 해소, 공동체 의식 및 이웃사랑을 배양하기 위해 현장 체험학습을 실시한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많은 성과가 있었다.
②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다.
③ 성과가 없었다.
④ 잘 모르겠다.
기초학력 책임 지도 효과 검증용 설문지 (학생용)
본교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2001. 3. 1 - 2002. 2. 28까지 1년간 '배움실에서의 개별화 학습을 통한 기초학력 책임 지도제 운영'이라는 주제로 시교육청 지정 시범학교 운영을 하고, 그 결과를 알고자 여러 선생님들께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본 설문에 솔직하게 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학생 여러분은 학기초에 기초학력 부진 학생반 (솔·향반)에 선정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보충지도를 받을 수 있어서 좋았다.
② 부끄러웠지만 해야한다고 생각했다.
③ 보충지도를 전혀 받고 싶지 않았다.
④ 아무 생각도 없었다.
2. 지금 학교에서 방과후에 특별보충 지도를 하는데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수업이 아주 재미있고 도움이 된다.
②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조금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③ 선생님들께서 열심히 가르치지만 도움이 안되고 재미가 없다.
④ 잘 모르겠다.
3. 교과 배움실에서의 특별보충 학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일반 교실에서 보다 수업 환경이 좋아서 공부가 더 잘 된다.
② 배움실에서의 환경은 좋으나 학습 면에서는 잘 모르겠다.
③ 일반 교실이나 배움실이나 별 차이가 없다.
④ 일반교실에서의 수업이 훨씬 좋다.
4. 특별보충 시 활용한 학습 자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단계별 학습지 및 다양한 학습자료가 학습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되었다.
② 학습지나 자료에 흥미가 있지만 학습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③ 학습지 내용이 어려워 학습에 도움이 전혀 되지 않았다.
④ 잘 모르겠다.
5. 소집단 협력 수업으로 하는 학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수업이 재미가 있고 도움이 되었다.
② 조금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③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④ 재미가 없고 시끄럽기만 하다.
6. 선생님들의 개별 지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 지도받는 과목이 좋아졌다.
②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된다.
③ 개별지도가 없다고 생각한다.
④ 잘 모르겠다.`
7. 학교 홈페이지 활용으로 자율학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까?
① 도움이 많이 되었다.
② 다소 도움이 되었다.
③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④ 관심이 없었다.
8. 학생 자신들의 자아의식 확립을 위한 심성계발 훈련을 해보니 어떻습니까?
① 자신감과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
②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자신감이 생겼다.
③ 전혀 달라진 것이 없다.
④ 잘 모르겠다
기초학력 책임 지도 효과 검증용 설문지 (학부모용)
본교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2001. 3. 1 - 2002. 2. 28까지 1년간 '배움실에서의 개별화 학습을 통한 기초학력 책임 지도제 운영'이라는 주제로 시교육청 지정 시범학교 운영을 하고, 그 결과를 알고자 여러 선생님들께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본 설문에 솔직하게 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귀댁의 자녀가 학기초에 기초학력 부진 학생으로 선정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셨습니까?
① 지도할 길이 막막했는데 잘 됐다고 생각했다.
② 부끄러웠지만 잘된 일이라고 생각하였다.
③ 그다지 반갑지 않았지만 지도하면 조금은 나아지지 않을까 기대하였다.
④ 상당히 섭섭하고 부끄럽고 화가 났다.
2. 지금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특별보충 지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지도한 성과가 조금은 보이는 것 같아 희망을 가지고 있다.
② 아직은 성과가 보이지 않지만, 희망이 있어 보인다.
③ 교사들이 노력은 하고 있지만, 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
④ 크게 기대하지 않고 있다.
3. 귀댁의 자녀가 어느 면이 가장 크게 달라졌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기초학력이 다소 향상되었다.
② 생활태도가 달라졌다.
③ 학습태도가 달라졌다.
④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4. 귀댁의 자녀를 방과후에 과목별로 교사가 기초학력을 책임 지도한 결과 성적이 향상되고 있다고 보십니까?
① 많이 향상되었다.
② 조금 향상되었다.
③ 별 효과가 없다.
④ 아직은 잘 모르겠다.
5. 학습태도 면에서 귀댁의 자녀가 달라진 점은 어느 것입니까?
① 학습태도가 아주 좋아졌다.
② 열심히 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다소 보인다.
③ 전과 별 다른 점이 없다.
④ 학습태도가 더 나빠졌다.
6. 생활태도 면에서 귀댁의 자녀가 달라진 점은 어느 것입니까?
① 자긍심과 자신감이 크게 향상되었다.
② 아직은 부족하지만 어느 정도 자신감을 지니게 된 것 같다.
③ 별로 달라진 게 없다.
④ 생활태도가 전반적으로 더 나빠졌다.
7.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의식 확립을 위한 심성계발 훈련을 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아이가 자신감을 갖는 것 같아 대찬성이다.
② 크게 나타나지는 않으나 조금은 자신감이 생긴 것 같다.
③ 지금 현재는 효과가 없으나 계속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④ 더 내성적으로 변하는 것 같아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8. 기초학력 부진 학생의 학교생활의 부적응 해소, 공동체 의식 및 이웃사랑을 배양하기 위해 현장 체험학습을 실시한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아주 좋다고 생각하며 더 많이 실시했으면 한다.
② 약간 좋다고 생각한다.
③ 그저 그렇다고 생각한다.
④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한다.
9. 학부형님은 학교에서 계획을 세워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지도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잘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② 계획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③ 성과도 없는 일에 교사와 학생들만 고생한다.
④ 쓸데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