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머리말
II. 근원적 인플레이션율 추정방법
III.우리나라의 근원적 인플레이션율 추정결과
IV. 맺음말
II. 근원적 인플레이션율 추정방법
III.우리나라의 근원적 인플레이션율 추정결과
IV. 맺음말
본문내용
-- (1995) "Measures of Underlying Inflation in New Zealand, 1981-95", Reserve Bank of New Zealand Discussion Paper G95/5, September.
--------- (1997) "A Robust Measure of Core Inflation in New Zealand, 1949-96", Reserve Bank of New Zealand Discussion Paper G97/7, March.
Stock, J. H. and M. W. Watson(1988) "Testing for Common Trend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3 pp.1097-1107.
----------- and ------------ (1991) "A Probability Model of the Coincident Economic Indicators", in Lahiri and Moore eds. Leading Indicators: New Approaches and Forecasting Recor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63-89.
粕谷宗久(1990) "物價上昇壓力指標ピスタの意義と課題", 金融財政事情硏究會 金融財政事情 5月, pp.80-83.
日本銀行(1990) "物價上昇壓力指標 檢討-P*(ピスタ)の紹介と分析", 調査月報 1月, pp.24-33.
------- (1989) "マクロ需給ギャプの計測について-「輸入の安全弁」を考慮した生産關數アプッロチ ", 調査月報 2月號, pp. 31-39.
------- (1981) "生産關數の計測について" , 調査月報 9月號, pp.75-79.
木村 武(1995) "季節調整の方法とその評價について--各種手法の紹介と理論·實證分析のサベイ ",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金融硏究 第14卷 第4 12月.
------- (1996) "最終移動平均型季節調整法X-12-ARIMAについて",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金融硏究 第15卷 第2 12月.
白塚重典(1995) "消費者物價指數の計測誤差--その問題点と改善に向けての方策--",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金融硏究 第14卷 第2 7月.
--------(1996) "インンフェション·タケッチング對象物價指標を巡る論点整理",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IMES Discussion Paper No. 96-J-15.
--------(1997) "物價の基調的な變動を捕捉する指標の構築とその含意",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金融硏究 第16卷 第3 9月.
<附錄>
根源的 인플레이션율 測定指標의 評價結果
1. 通貨政策과의 聯關性 比較
通貨와 根源的 인플레이션율간의 短期的1) 關係 比較
(1991년 1·4분기∼97년 4·4분기중)
M2
---------------------
先行時差2) 相關係數
(分期)
MCT
--------------------
先行時差2) 相關係數
(分期)
M3
--------------------
先行時差2) 相關係數
(分期)
CPI 총지수
5 0.2781
1 0.3521
1 0.6107
CPI ex AE3)
CPI ex APE4)
조정평균
가중중위수
4 0.2791
3 0.2259
5 0.2759
2 0.3286
1 0.4432
1 0.3813
3 0.3865
2 0.4487
1 0.6602
1 0.5841
1 0.6187
1 0.6634
주 : 1) 이론적 모형에 의한 추정치는 長期趨勢値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단기적 상관관계 분석시 제외
2) 通貨供給增加率과 根源的 인플레이션율간의 時差相關係數가 가장 높았던 시기
3) 농축수산물·에너지 제외
4) 농축수산물·에너지·공공요금 제외
通貨와 根源的 인플레이션율간의 長期的 關係 比較1)
(1992년 1·4분기∼97년 4·4분기중)
M2
MCT
M3
CPI 총지수
0.7193
0.8289
0.9289
理論的 推定値
통화론자모형
케인지언모형
P-star모형
0.7653
0.8059
0.3263
0.8861
0.9464
0.8860
0.8702
0.9157
0.5543
實務的 測定値
CPI ex APE2)
조정평균
가중중위수
0.7121
0.7505
0.8082
0.8951
0.9204
0.9514
0.8497
0.8781
0.9674
주 : 1) 6分期前의 通貨供給增加率과 當分期의 根源的 인플레이션율간의 相關係數로서 통화공급증가율은 6분기 이동평균, 소비자물가지수 및 근원적 인플레이션율 지표는 4분기 이동평균을 각각 이용
2) 농축수산물, 에너지, 공공요금제외
2. 豫測力 比較
根源的 인플레이션율의 實務的 測定指標의 豫測誤差1) 比較
(1991년 1·4∼97년 4·4분기)
(RMSE 기준)
----------------------------------------------------------------- M2 MCT M3
-----------------------------------------------------------------
농축수산물· 0.33 0.33 0.17
에너지 제외
농축수산물· 0.41 0.41 0.21
공공요금·
에너지 제외
조정평균(20%) 0.23 0.29 0.19
가중중위수 0.26 0.29 0.29
-----------------------------------------------------------------
주 : 1) RMSE =
SQRT {1 over 표본개수 SUM (예측치 - 실제치) }^2
예측치는 아래 식에 의해 1991년 1·4∼96년 4·4분기 기간을 대상으로 계수를 추정한 뒤 이를 이용하여 1997년중의 예측오차를 계산(시차는 자유도 부족을 감안하여 4분기를 가정)
DELTA Pi = alpha_0 + SUM_i=1^k alpha_Pii cdot DELTA Pi_t-i + SUM_i=1^k alpha_Mi cdot DELTA M_t-i + SUM_i=1^k alpha_Yi cdot DELTA Y_t-i
단, △ : 상승률(4분기 이동평균), ∏ : 근원적 인플레이션율
M : 통화지표, Y : 초과수요압력(잠재GNP-실제GNP 단, M2의 경우
가동률)
--------- (1997) "A Robust Measure of Core Inflation in New Zealand, 1949-96", Reserve Bank of New Zealand Discussion Paper G97/7, March.
Stock, J. H. and M. W. Watson(1988) "Testing for Common Trend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3 pp.1097-1107.
----------- and ------------ (1991) "A Probability Model of the Coincident Economic Indicators", in Lahiri and Moore eds. Leading Indicators: New Approaches and Forecasting Recor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63-89.
粕谷宗久(1990) "物價上昇壓力指標ピスタの意義と課題", 金融財政事情硏究會 金融財政事情 5月, pp.80-83.
日本銀行(1990) "物價上昇壓力指標 檢討-P*(ピスタ)の紹介と分析", 調査月報 1月, pp.24-33.
------- (1989) "マクロ需給ギャプの計測について-「輸入の安全弁」を考慮した生産關數アプッロチ ", 調査月報 2月號, pp. 31-39.
------- (1981) "生産關數の計測について" , 調査月報 9月號, pp.75-79.
木村 武(1995) "季節調整の方法とその評價について--各種手法の紹介と理論·實證分析のサベイ ",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金融硏究 第14卷 第4 12月.
------- (1996) "最終移動平均型季節調整法X-12-ARIMAについて",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金融硏究 第15卷 第2 12月.
白塚重典(1995) "消費者物價指數の計測誤差--その問題点と改善に向けての方策--",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金融硏究 第14卷 第2 7月.
--------(1996) "インンフェション·タケッチング對象物價指標を巡る論点整理",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IMES Discussion Paper No. 96-J-15.
--------(1997) "物價の基調的な變動を捕捉する指標の構築とその含意", 日本銀行 金融硏究所 金融硏究 第16卷 第3 9月.
<附錄>
根源的 인플레이션율 測定指標의 評價結果
1. 通貨政策과의 聯關性 比較
通貨와 根源的 인플레이션율간의 短期的1) 關係 比較
(1991년 1·4분기∼97년 4·4분기중)
M2
---------------------
先行時差2) 相關係數
(分期)
MCT
--------------------
先行時差2) 相關係數
(分期)
M3
--------------------
先行時差2) 相關係數
(分期)
CPI 총지수
5 0.2781
1 0.3521
1 0.6107
CPI ex AE3)
CPI ex APE4)
조정평균
가중중위수
4 0.2791
3 0.2259
5 0.2759
2 0.3286
1 0.4432
1 0.3813
3 0.3865
2 0.4487
1 0.6602
1 0.5841
1 0.6187
1 0.6634
주 : 1) 이론적 모형에 의한 추정치는 長期趨勢値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단기적 상관관계 분석시 제외
2) 通貨供給增加率과 根源的 인플레이션율간의 時差相關係數가 가장 높았던 시기
3) 농축수산물·에너지 제외
4) 농축수산물·에너지·공공요금 제외
通貨와 根源的 인플레이션율간의 長期的 關係 比較1)
(1992년 1·4분기∼97년 4·4분기중)
M2
MCT
M3
CPI 총지수
0.7193
0.8289
0.9289
理論的 推定値
통화론자모형
케인지언모형
P-star모형
0.7653
0.8059
0.3263
0.8861
0.9464
0.8860
0.8702
0.9157
0.5543
實務的 測定値
CPI ex APE2)
조정평균
가중중위수
0.7121
0.7505
0.8082
0.8951
0.9204
0.9514
0.8497
0.8781
0.9674
주 : 1) 6分期前의 通貨供給增加率과 當分期의 根源的 인플레이션율간의 相關係數로서 통화공급증가율은 6분기 이동평균, 소비자물가지수 및 근원적 인플레이션율 지표는 4분기 이동평균을 각각 이용
2) 농축수산물, 에너지, 공공요금제외
2. 豫測力 比較
根源的 인플레이션율의 實務的 測定指標의 豫測誤差1) 比較
(1991년 1·4∼97년 4·4분기)
(RMSE 기준)
----------------------------------------------------------------- M2 MCT M3
-----------------------------------------------------------------
농축수산물· 0.33 0.33 0.17
에너지 제외
농축수산물· 0.41 0.41 0.21
공공요금·
에너지 제외
조정평균(20%) 0.23 0.29 0.19
가중중위수 0.26 0.29 0.29
-----------------------------------------------------------------
주 : 1) RMSE =
SQRT {1 over 표본개수 SUM (예측치 - 실제치) }^2
예측치는 아래 식에 의해 1991년 1·4∼96년 4·4분기 기간을 대상으로 계수를 추정한 뒤 이를 이용하여 1997년중의 예측오차를 계산(시차는 자유도 부족을 감안하여 4분기를 가정)
DELTA Pi = alpha_0 + SUM_i=1^k alpha_Pii cdot DELTA Pi_t-i + SUM_i=1^k alpha_Mi cdot DELTA M_t-i + SUM_i=1^k alpha_Yi cdot DELTA Y_t-i
단, △ : 상승률(4분기 이동평균), ∏ : 근원적 인플레이션율
M : 통화지표, Y : 초과수요압력(잠재GNP-실제GNP 단, M2의 경우
가동률)
추천자료
세계적인 디플레이션 현상(경기침체)에 따른 기업의 대응전략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전략 ★A+레포트★
세계경제7대 불안요인
아동수당제도
빈곤의 종말 독후감
[저축률]저축률(저축성향) 산출방식과 저축률(저축성향) 결정요인, 저축률(저축성향)과 저축...
[투자론A+] 증권산업의 이해와 해외증권시장 사례 및 한국 증권시장의 현황/자본시장통합법 분석
실질임금상승률과 노동생산성상승률의 관계(노동자,인권,임금,인상)
향후 주택가격에 대한 전망
[부채비율][부채비율 구축효과][부채비율 추정 사례][주가수익률]부채비율의 축소정책, 부채...
국제 경제론 [국제경제관련 레포트] 주제 : 아베노믹스(Abe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