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언
2. 진단
3. 부가적 편익의 문제
4. 상품측면: 인터넷에서 무엇이 주로 팔리는가
4. 환경측면: 시장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5. 짧은 결어
2. 진단
3. 부가적 편익의 문제
4. 상품측면: 인터넷에서 무엇이 주로 팔리는가
4. 환경측면: 시장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5. 짧은 결어
본문내용
둘째, 이러한 전문 쇼핑몰의 약진과 더불어, 쇼핑과 컨텐트가 결합하고 틈새시장(niche market)을 개발하며, 소비자들의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쇼핑몰이 구축되고 있다. 특히 초고속통신망이나 하드웨어(운영서버들), 소프트웨어(머쳔트 서버 프로그램 등)가 저렴한 가격에 강화되면서 경쟁력있는 소형 쇼핑몰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섬유산업 관련품목은 소량다품종 상품이 주된 판매대상이고 유행의 주기가 짧고 개성이 다양화함에 따라 틈새시장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전자상거래 업계의 이러한 변화는 섬유산업 E-Business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는 쇼핑몰과 포탈사이트의 제휴와 통합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기존의 포탈사이트가 전문 쇼핑몰과 M&A를 하기도 하고, 포탈사이트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바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현재 실험적 단계에 있는 결제수단이 다양화하면서 더욱 두드러지리라고 생각된다. Yahoo, Daum, ILoveSchool, Damoim 등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이트들은 커뮤니티 형성기능에 큰 강조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전술한 의류상품의 부가편익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의류전문 쇼핑몰과 포털사이트와의 활발한 제휴는 양자에게 큰 시너지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로, 사이버공간에서만 제공하던 쇼핑서비스를 실제공간에서도 중복적으로 제공하는 등 on-line only service에서 on-off line의 결합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이러한 경향은 롯데백화점이나 신세계와 같이 실제 매장을 가지고 있으면서 인터넷상으로 쇼핑몰을 개점하는 초기의 경우에서 발견할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인터파크, 골드뱅크, 이지클럽 등의 인터넷에서만 존재하던 쇼핑몰들이 실제매장을 새로 만드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 이러한 경향은 미국에서도 두드러진다. 예컨대 미국의 유명한 경매사이트 eBay 는 피아노, 자동차와 같이 우편으로 판매할 수 없는 물건들도 온라인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eBay LA지점을 개설하였는데 이후 매출액이 30%나 증가하여 향후 미국 52개 주마다 eBay 지점을 개설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고, 온라인 증권거래의 대명사로 알려진 찰스스왑의 경우에도 70%이상이 PC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고객은 한번이라도 증권사로 찾아와서 자신의 돈을 관리하고 있는 담당자의 얼굴을 보기를 원한다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의류제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의류전문 전자쇼핑몰도 압구정동이나 명동 등에 실제로 매장을 두어 on-line과 off-line이 유기적 연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최근 여성전용 사이트의 증가에서 보듯이 여성 특히 주부계층의 인터넷인구가 매우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우리나라의 주부계층은 자신이 큰 의류 소비자이면서 다른 가족구성원의 의류구매 대행자로서 잠재적 구매력이 매우 크다. 따라서 그동안 컴퓨터관련제품과 같이 젊은 남성위주의 전자상거래 매출이 의복과 같이 주부위주의 그것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우리나라 섬유산업 E-Business의 밝은 면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5. 짧은 결어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새로운 환경적 변화와 더불어 부흥의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섬유산업의 E-Business는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가장 각광받는 영역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하게 강조되어야 할 것은 E-Business 시장을 소비자지향적으로 신뢰성있게 키워야 한다는 산업계 전체의 컨센서스와 자율규제 노력이다. 지금과 같이 일부 업체에 의하여 소비자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어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어간다면 장기적으로는 산업과 시장 전체의 손실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모두의 각오와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
참고문헌
강진영.윤한희 "패션-감성 비즈니스의 접근과 이해" 섬유기술과 산업, 2:4, 1998.
김기옥.김난도.이승신, 소비자정보론 (시그마프레스) 근간.
www.ec-union.co.kr
www.cpb.or.kr
www.forrester.com
www.kriec.or.kr
www.i-biznet.com/news
www.itchosun.com/web
www.mgt.gatech.edu
www.nso.go.kr/report/data
www.pcdataonline.com
셋째는 쇼핑몰과 포탈사이트의 제휴와 통합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기존의 포탈사이트가 전문 쇼핑몰과 M&A를 하기도 하고, 포탈사이트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바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현재 실험적 단계에 있는 결제수단이 다양화하면서 더욱 두드러지리라고 생각된다. Yahoo, Daum, ILoveSchool, Damoim 등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이트들은 커뮤니티 형성기능에 큰 강조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전술한 의류상품의 부가편익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의류전문 쇼핑몰과 포털사이트와의 활발한 제휴는 양자에게 큰 시너지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로, 사이버공간에서만 제공하던 쇼핑서비스를 실제공간에서도 중복적으로 제공하는 등 on-line only service에서 on-off line의 결합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이러한 경향은 롯데백화점이나 신세계와 같이 실제 매장을 가지고 있으면서 인터넷상으로 쇼핑몰을 개점하는 초기의 경우에서 발견할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인터파크, 골드뱅크, 이지클럽 등의 인터넷에서만 존재하던 쇼핑몰들이 실제매장을 새로 만드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 이러한 경향은 미국에서도 두드러진다. 예컨대 미국의 유명한 경매사이트 eBay 는 피아노, 자동차와 같이 우편으로 판매할 수 없는 물건들도 온라인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eBay LA지점을 개설하였는데 이후 매출액이 30%나 증가하여 향후 미국 52개 주마다 eBay 지점을 개설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고, 온라인 증권거래의 대명사로 알려진 찰스스왑의 경우에도 70%이상이 PC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고객은 한번이라도 증권사로 찾아와서 자신의 돈을 관리하고 있는 담당자의 얼굴을 보기를 원한다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의류제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의류전문 전자쇼핑몰도 압구정동이나 명동 등에 실제로 매장을 두어 on-line과 off-line이 유기적 연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최근 여성전용 사이트의 증가에서 보듯이 여성 특히 주부계층의 인터넷인구가 매우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우리나라의 주부계층은 자신이 큰 의류 소비자이면서 다른 가족구성원의 의류구매 대행자로서 잠재적 구매력이 매우 크다. 따라서 그동안 컴퓨터관련제품과 같이 젊은 남성위주의 전자상거래 매출이 의복과 같이 주부위주의 그것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우리나라 섬유산업 E-Business의 밝은 면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5. 짧은 결어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새로운 환경적 변화와 더불어 부흥의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섬유산업의 E-Business는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가장 각광받는 영역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하게 강조되어야 할 것은 E-Business 시장을 소비자지향적으로 신뢰성있게 키워야 한다는 산업계 전체의 컨센서스와 자율규제 노력이다. 지금과 같이 일부 업체에 의하여 소비자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어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어간다면 장기적으로는 산업과 시장 전체의 손실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모두의 각오와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
참고문헌
강진영.윤한희 "패션-감성 비즈니스의 접근과 이해" 섬유기술과 산업, 2:4, 1998.
김기옥.김난도.이승신, 소비자정보론 (시그마프레스) 근간.
www.ec-union.co.kr
www.cpb.or.kr
www.forrester.com
www.kriec.or.kr
www.i-biznet.com/news
www.itchosun.com/web
www.mgt.gatech.edu
www.nso.go.kr/report/data
www.pcdataonli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