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일인들에 의한 방송
Ⅱ.식민지 홍보기관
1.총독부 체신국과 조선일보의 시험방송
2.사단법인 경성방송국 개국
3.조선방송협회로 개칭, 2중 방송 실시
4.한국어 방송인들
Ⅲ.새로운 매체로 정착
1.지방 방송망의 확충
2.식민지 정책과 전쟁 수행의 도구
3.단파방송 사건
Ⅱ.식민지 홍보기관
1.총독부 체신국과 조선일보의 시험방송
2.사단법인 경성방송국 개국
3.조선방송협회로 개칭, 2중 방송 실시
4.한국어 방송인들
Ⅲ.새로운 매체로 정착
1.지방 방송망의 확충
2.식민지 정책과 전쟁 수행의 도구
3.단파방송 사건
본문내용
단파방송 도청사건'이었다. 단파방송의 도청은 경성방
송국에 근무하던 성기석, 이이석 등이 1940년부터 시작하였다는데, 그들은 개성방송소로
전근한 뒤로도 이를 도청하던 중에 1942년 일제 고등경찰이 대대적인 검거를 시작하였다.
방송국 직원 가운데 붙잡혀간 사람이 가장 많은 부서는 사업부였다. 사업부는 라디오 수신
기의 성능검사로부터 설치공사와 라디오 수신기의 고장수리까지 맡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직
원이 한국인들이었다. 이 사건은 조선방송협회의 경성중앙방송국을 비롯한 지방방송국에 근
무하던 한국인들이 비록 그 조직체제상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선전하고 침략전쟁의 도구였
던 방송에서 근무하였지만 국외의 독립운동 소식에 목말라하면서 위험을 무릅쓰고 비밀리에
이를 전파하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송국에 근무하던 성기석, 이이석 등이 1940년부터 시작하였다는데, 그들은 개성방송소로
전근한 뒤로도 이를 도청하던 중에 1942년 일제 고등경찰이 대대적인 검거를 시작하였다.
방송국 직원 가운데 붙잡혀간 사람이 가장 많은 부서는 사업부였다. 사업부는 라디오 수신
기의 성능검사로부터 설치공사와 라디오 수신기의 고장수리까지 맡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직
원이 한국인들이었다. 이 사건은 조선방송협회의 경성중앙방송국을 비롯한 지방방송국에 근
무하던 한국인들이 비록 그 조직체제상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선전하고 침략전쟁의 도구였
던 방송에서 근무하였지만 국외의 독립운동 소식에 목말라하면서 위험을 무릅쓰고 비밀리에
이를 전파하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추천자료
【21세기, 지역방송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법론적 고찰】
화법의 유형- 방송에서의 축구경기해설자의 진행화법
뉴미디어의 대표주자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광고학] 위성방송과 광고에 대해서
파일럿 프로그램, 방송사의 끊임없는 실험
한국, 미국, 영국 방송국별 송출자료
한국,미국,영국의 방송국명과 송출출력을 조사
[KBS수신료][TV방송수신료]KBS수신료(TV수신료)의 변화, KBS수신료(TV수신료)의 주요 쟁점, K...
텔레비전 [한국 방송 역사]
최초의 라디오 방송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접근하는 방송에서의 시장원리
[공학] 위성DMB(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지상파 재전송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