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현장에서 바라본 한국영화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세계 영화산업의 환경 - IT와 경제질서에 영향을 받으며

2. 90년대 한국영화흐름 - 길고도 짧은(?) 역사

3. 1999년 충무로 - 과도기적 상황 속에서 공세적인 성장

4. 2000년 충무로 예상 -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하여

본문내용

제고 및 국제교류 확대
·제5회부산영화제와 부천 및 전주영화제 등 3개의 국제영화제
·대종상, 청룡, 백상 등 국내영화제
·제27회 한국독립단편영화제 등 인디영화제
5. 영화진흥위와 정부의 백업기능 중 시급한 사안
·극장전산화와 유통환경 개선
·세계 영화산업에 대한 정보와 지식 축적, 해외수출 지원
·기술적 자산의 축적과 파급
< 강사 약력 >
1961년생
1989년 중앙대 영화학과 졸업
1990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화학과 석사과정 수료
1987년 독립영화 연출 및 프로듀서 활동
주요 연출작품 <공장의 불빛>, <오! 꿈의나라>
주요 제작작품 <파업전야>, <닫힌 교문을 열며>
1995년 명필름 설립
1996년 창립작품<코르셋>제작
1997년 두 번째 작품 <접속> 제작
1998년 세 번째 작품 <조용한 가족> 제작
1998년 네 번째 작품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 연출
1999년 다섯 번째 작품 <해피엔드> 제작
중앙대 예술대학원 '영상산업론' 출강
2000년 현재 김기덕 감독의 <섬>, 박찬욱 감독의 <공동경비구역> 제작 중
서울 종로구 명륜동1가 36-5 / T766-7406 / F3673-3286
leeeun@myungfilm.co.kr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4.26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3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