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써 더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그는 바로 이 원리를 중국 제국의 全 사회적, 정치적 질서의 초석으로 삼았다."
) 같은 책.
V.S. 솔로비에프는 유교의 계율인 일반적인 도덕법칙의 미캐니즘과 이 계율의 영향을 받은 중국 사회생활의 변화과정을 발견하였다. V.S. 솔로비에프에 의하면 공자는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고 믿었다. 즉 어떤 사람이든지 자기와 비슷한 존재들 사이에서 살고 있으며 種으로서의 그의 생물학적인 존재는 그와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과의 관계, 즉 사회적 상황에 달렸다는 것이다. 효도의 원리를 기초로 한 가족은 사회생활의 본래의 세포가 되었다. V.S. 솔로비에프가 지적한 바에 의하면 "인간은 오직 사회적 존재로서만 그의 존재와 번영을 이용할 수 있다. 가족은 사회생활의 기본적 형식이다. 반면에 가족은 효도 덕분에 성립되는 것이다."
) 같은 책, p.126.
V.S. 솔로비에프는 효도가 중국 사회생활 전반의 도덕적 배경이 되는 것으로 귀착되는 과정을 정의할 때의 이 복잡한 개념을 설명하지 않는다. "효도는 가족이라는 불씨로부터 국부의 왕좌에 이르기까지 수면 위의 잔물결처럼 퍼져서 유교적, 즉 중국의 윤리학의 정수가 되었다."
) 같은 책, p.129.
그것은 많은 이유 때문에 보편적인 것인 척할 수 없다고 V.S. 솔로비에프는 믿고 있다. 왜냐하면, 보편적 사랑의 계율을 지닌 기독교적 윤리와 대조해 볼 때 유교의 윤리는 공리주의적이고 선택적이며, 전체로서의 인민이 아닌 이런 저런 類의 사람들에 관해서 어떤 책임들만을 지게 되기 때문이다.
) 같은 책, p131.
더구나 "보편적 사랑의 사상과 자기희생의 사상은 공자의 추종자들에게는 똑같이 혐오스럽다."
) 같은 책, p.134.
공자는 극복되어야 할 惡의 목록에 있어서는 불완전하다. "유교의 가르침에는 의식과 예식의 과장된 중요성과 더불어 우리는 거짓과 잔인을 경멸하는 말을 발견하지 못할 것"이라고 V.S. 솔로비에프는 말한다.
) 같은 책, p.130.
마침내 중국인들 자신들은 그들의 공식적 민족 국가 종교와는 별도로 존재의 다른 방법들을 탐색하고 있다.
) 같은 책, p.140.
V.S. 솔로비에프에 의하여 언급된 이 방법들. 가운데에는 물질적, 정신적 수단이 똑같이 있다. 첫째 경우에 그것은 마약 흡연이고 두 번째 경우는, 도교와 불교로서 둘 다 유교와는 성질이 다르다.
) 같은 책.
-566-
(유 철 준 譯)
) 같은 책.
V.S. 솔로비에프는 유교의 계율인 일반적인 도덕법칙의 미캐니즘과 이 계율의 영향을 받은 중국 사회생활의 변화과정을 발견하였다. V.S. 솔로비에프에 의하면 공자는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고 믿었다. 즉 어떤 사람이든지 자기와 비슷한 존재들 사이에서 살고 있으며 種으로서의 그의 생물학적인 존재는 그와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과의 관계, 즉 사회적 상황에 달렸다는 것이다. 효도의 원리를 기초로 한 가족은 사회생활의 본래의 세포가 되었다. V.S. 솔로비에프가 지적한 바에 의하면 "인간은 오직 사회적 존재로서만 그의 존재와 번영을 이용할 수 있다. 가족은 사회생활의 기본적 형식이다. 반면에 가족은 효도 덕분에 성립되는 것이다."
) 같은 책, p.126.
V.S. 솔로비에프는 효도가 중국 사회생활 전반의 도덕적 배경이 되는 것으로 귀착되는 과정을 정의할 때의 이 복잡한 개념을 설명하지 않는다. "효도는 가족이라는 불씨로부터 국부의 왕좌에 이르기까지 수면 위의 잔물결처럼 퍼져서 유교적, 즉 중국의 윤리학의 정수가 되었다."
) 같은 책, p.129.
그것은 많은 이유 때문에 보편적인 것인 척할 수 없다고 V.S. 솔로비에프는 믿고 있다. 왜냐하면, 보편적 사랑의 계율을 지닌 기독교적 윤리와 대조해 볼 때 유교의 윤리는 공리주의적이고 선택적이며, 전체로서의 인민이 아닌 이런 저런 類의 사람들에 관해서 어떤 책임들만을 지게 되기 때문이다.
) 같은 책, p131.
더구나 "보편적 사랑의 사상과 자기희생의 사상은 공자의 추종자들에게는 똑같이 혐오스럽다."
) 같은 책, p.134.
공자는 극복되어야 할 惡의 목록에 있어서는 불완전하다. "유교의 가르침에는 의식과 예식의 과장된 중요성과 더불어 우리는 거짓과 잔인을 경멸하는 말을 발견하지 못할 것"이라고 V.S. 솔로비에프는 말한다.
) 같은 책, p.130.
마침내 중국인들 자신들은 그들의 공식적 민족 국가 종교와는 별도로 존재의 다른 방법들을 탐색하고 있다.
) 같은 책, p.140.
V.S. 솔로비에프에 의하여 언급된 이 방법들. 가운데에는 물질적, 정신적 수단이 똑같이 있다. 첫째 경우에 그것은 마약 흡연이고 두 번째 경우는, 도교와 불교로서 둘 다 유교와는 성질이 다르다.
) 같은 책.
-566-
(유 철 준 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