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징과 자연의 조화색채 - 단청(丹靑)
자연 친화적 색채 - 한국의 살림집
자연 친화적 색채 - 한국의 살림집
본문내용
리 전통 생활색채는 담백의 미로 표현된다. 또한 바로 입힌 색보다는 몇살 먹은 나무와 몇 개월 지난 잘 삵은 빛을 사랑한다. 이것이 우리의 전통색채 의식의 기본이 된다. 지나친 양념이나 장식 없이 차려진 음식의 색채에서 보이듯 거짓없이 순수한 것과 생활과 관련된 백자의 은은한 미학이 담백의 미학이라면 잘 익은 김치 등 발효음식에서 보여지는 곰삭은 색채가 우리의 시김의 색채미 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밖에도 우리의 색채미는 절로의 미처럼 자연 그대로의 조형과 색채를 사용하고 감상하는 형태도 있다. 자연에 살면서 자연을 소중히 하고 결대로 행동하는 우리의 사상을 좀더 이해하려면 도가의 양생주, 변무, 마제를 음미하면서 읽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우리의 미학을 색채를 통해 느낄 것을 권하고 싶다
추천자료
시집 <질마재 신화>등에 나타나는 후기 미당시의 토속성에 대해
[생활 속의 언어, A+ 레포트] 한ㆍ미 FTA 반대하는 해괴한 논리들
전통미술, 건축, 음악, 복식에 나타난 미의식
[경제,경영]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관한 논의 -한 &#8259; 미FTA를 중심으로
한국종교(우리나라종교)의 역사, 한국종교(우리나라종교)의 분포와 영향, 한국종교(우리나라...
[추상미술][수화 김환기][추상미술 배경][수화 김환기 추상미술][수화 김환기 평가]추상미술 ...
[일본지방, 일본지역]일본지방(일본지역)의 지역화교육, 일본지방(일본지역)의 지역연구, 일...
개념의 의미, 특성과 종류, 개념과 오개념, 미개념, 자기개념, 자아개념(자기개념), 개념과 ...
한국 근대사(근현대사) 성격, 한국 근대사(근현대사) 5 18광주민주화운동 배경, 한국 근대사(...
한국 근현대사(근대사) 연혁, 사상, 한국 근현대사(근대사) 미군정 형성, 6 25전쟁 미국개입,...
[가사, 가사문학, 문학]가사(가사문학)의 의미, 가사(가사문학)의 기원, 가사(가사문학)의 율...
쌀의 사회사 - 벼의 기원과 전래, 벼농사 시작, 조선시대의 토지제도, 이앙법의 발달과 영향,...
누구를 위한 기독교 인가?:미군정기 한경직 목사 전도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국제경제환경론 공통) 한&#61600;미 FTA에 있어 기존 FTA의 문제점과 개정(협상) FTA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