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논
Ⅱ. 효과적인 학습방법
1. 강화계획
2. 행동조형
3. 조작적 조건형성
4. 벌과 학습된 무역감
5. 관찰학습
6. 인지학습
Ⅲ. 결 논
Ⅱ. 효과적인 학습방법
1. 강화계획
2. 행동조형
3. 조작적 조건형성
4. 벌과 학습된 무역감
5. 관찰학습
6. 인지학습
Ⅲ. 결 논
본문내용
제를 해결함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문제해결은 이것저것 해보는 試行錯誤의 과정이 아니라 갑자기 일어났다. 수단과 목적의 관계가 하나의 인지구조로서 머릿속에 자리잡는 순간 아하! 하는 결정의 경험을 맛보게 되면서 문제를 해결하게 된 것이다.
2) 認 知 度
우리는 학교에서 집으로 갈 때 어느 지점에서는 오른쪽으로 돌고, 어느 지점에서는 왼쪽으로 돌아야 한다고 말하면서 가지는 않는다. 학교에서 집으로 가는 길에 대한 지도가 이미 우리의 머릿속에 그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고를 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길에 대한 精神的인 그림을 認知度라 한다. 쥐를 미로에 넣어두고 학습을 통해서 문제의 해결을 할 수 있도록 최소의 노력을 하여 먹이 알갱이를 먹는 것이다.
3) 潛在學習
潛在學習이란 수행으로 옮겨지지 않는 학습을 말한다. 즉, 학습이 이루어졌지만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는 학습이다. 潛在學習의 연구는 動物學習에서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을 지적해 주었고, 또한 학습과 수행의 구분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인간에게 있어서도 잠재학습은 상위능력과 관련되어 있다. 즉각적인 보상이 없어도 미래의 보상을 기대하면서 열심히 공부한다든지. 또는 현재 하기 싫은 일이지만 미래를 위해 상사의 부탁을 기꺼이 들어준다든지 하는 행동 등은 그 예가 된다.
Ⅲ. 結 論
위의 여러 가지 學說들 중에서 아이의 행동을 效果的으로 바뀌게 하는 것은 어떤 학습방법이 적절한 것일 까에 관해서 살펴본 결과 1가지 이론만으로 딱히 꼬집어서 설명하기가 어려울 듯 싶다. 아침에 늦잠을 자는 버릇을 고치기 위해서는 우선 觀察學習을 통해서 행동을 지켜보고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의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는 일이 우선이 되어야 할 것 같다.
늦잠을 자는 버릇이 있는 어린이이기 때문에 일찍 일어나서 즐거운 마음으로 학교에 가도록 하는 행동을 조성시키기 위한 行動造型의 기본을 세워서 目標行動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하위 행동들을 段階別로 細分化시킨다.
일찍 일어나 즐거운 마음으로 學校 가기
1段階
전날 일찍 들어오기
2段階
잠옷으로 갈아입기
3段階
일찍 씻기
4段階
일찍 자기
5段階
침대에 평소 1시간전 자기
6段階
일찍 일어나기
7段階
30분 일찍 일어나기
8段階
1시간 일찍 일어나기
위와 같이 細分化된 행동들을 段階的으로 條件形成을 시켜보도록 하자.
1段階로 행동을 條件形成시키기 위해서 아이가 어떤 이유에선 전날 일찍 들어오도록 좋아하는 음식을 마련해서 집에 일찍 들어오도록 강화를 준다. 1段階 행동이 학습되어지면 곧바로 2段階 행동의 조성으로 들어간다. 일찍 들어오면 잠옷을 입도록 강화한다. 그리고 씻기를 통해서 잠자리에 들어갈 준비를 끝낸다. 평소에는 늦잠을 자기 때문에 평소에 비해서 빨리 자도록 모든 식구들이 일체의 행동(놀이)이 없이한다. 그럼 아이도 모두를 모범으로 그런 행동을 따라하게 될 것이다. 가장 중요한 段階로 일찍 일어나도록 하는 작업이다.
일찍 일어나도록 처음에는 평상시 30분 일찍 다음에는 평상시보다 1시간 먼저 일찍 깨우도록 강화시킴으로써 아이가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도록 지켜봐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無關心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8段階의 目標行動까지 점차적으로 행동을 만들어 가는 것이 行動造型의 한 방법이다. 부분강화를 통해서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있기를 기대해 보는 방법이 어떨까한다.
※ 參 考 文 獻
1. 권준모,「심리학과 교육」, 학지사, 1998
2. 송인섭 외,「인간이해를 위한 심리학」, 상조사, 1996
3. 신응섭 외,「심리학개론」, 박영사, 1997
4. 한균자, 홍순정 共著,「지상강좌」,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9
2) 認 知 度
우리는 학교에서 집으로 갈 때 어느 지점에서는 오른쪽으로 돌고, 어느 지점에서는 왼쪽으로 돌아야 한다고 말하면서 가지는 않는다. 학교에서 집으로 가는 길에 대한 지도가 이미 우리의 머릿속에 그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고를 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길에 대한 精神的인 그림을 認知度라 한다. 쥐를 미로에 넣어두고 학습을 통해서 문제의 해결을 할 수 있도록 최소의 노력을 하여 먹이 알갱이를 먹는 것이다.
3) 潛在學習
潛在學習이란 수행으로 옮겨지지 않는 학습을 말한다. 즉, 학습이 이루어졌지만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는 학습이다. 潛在學習의 연구는 動物學習에서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을 지적해 주었고, 또한 학습과 수행의 구분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인간에게 있어서도 잠재학습은 상위능력과 관련되어 있다. 즉각적인 보상이 없어도 미래의 보상을 기대하면서 열심히 공부한다든지. 또는 현재 하기 싫은 일이지만 미래를 위해 상사의 부탁을 기꺼이 들어준다든지 하는 행동 등은 그 예가 된다.
Ⅲ. 結 論
위의 여러 가지 學說들 중에서 아이의 행동을 效果的으로 바뀌게 하는 것은 어떤 학습방법이 적절한 것일 까에 관해서 살펴본 결과 1가지 이론만으로 딱히 꼬집어서 설명하기가 어려울 듯 싶다. 아침에 늦잠을 자는 버릇을 고치기 위해서는 우선 觀察學習을 통해서 행동을 지켜보고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의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는 일이 우선이 되어야 할 것 같다.
늦잠을 자는 버릇이 있는 어린이이기 때문에 일찍 일어나서 즐거운 마음으로 학교에 가도록 하는 행동을 조성시키기 위한 行動造型의 기본을 세워서 目標行動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하위 행동들을 段階別로 細分化시킨다.
일찍 일어나 즐거운 마음으로 學校 가기
1段階
전날 일찍 들어오기
2段階
잠옷으로 갈아입기
3段階
일찍 씻기
4段階
일찍 자기
5段階
침대에 평소 1시간전 자기
6段階
일찍 일어나기
7段階
30분 일찍 일어나기
8段階
1시간 일찍 일어나기
위와 같이 細分化된 행동들을 段階的으로 條件形成을 시켜보도록 하자.
1段階로 행동을 條件形成시키기 위해서 아이가 어떤 이유에선 전날 일찍 들어오도록 좋아하는 음식을 마련해서 집에 일찍 들어오도록 강화를 준다. 1段階 행동이 학습되어지면 곧바로 2段階 행동의 조성으로 들어간다. 일찍 들어오면 잠옷을 입도록 강화한다. 그리고 씻기를 통해서 잠자리에 들어갈 준비를 끝낸다. 평소에는 늦잠을 자기 때문에 평소에 비해서 빨리 자도록 모든 식구들이 일체의 행동(놀이)이 없이한다. 그럼 아이도 모두를 모범으로 그런 행동을 따라하게 될 것이다. 가장 중요한 段階로 일찍 일어나도록 하는 작업이다.
일찍 일어나도록 처음에는 평상시 30분 일찍 다음에는 평상시보다 1시간 먼저 일찍 깨우도록 강화시킴으로써 아이가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도록 지켜봐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無關心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8段階의 目標行動까지 점차적으로 행동을 만들어 가는 것이 行動造型의 한 방법이다. 부분강화를 통해서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있기를 기대해 보는 방법이 어떨까한다.
※ 參 考 文 獻
1. 권준모,「심리학과 교육」, 학지사, 1998
2. 송인섭 외,「인간이해를 위한 심리학」, 상조사, 1996
3. 신응섭 외,「심리학개론」, 박영사, 1997
4. 한균자, 홍순정 共著,「지상강좌」,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9
추천자료
직소우학습방법(Jigsaw협동학습)의 정의와 특징, 직소우학습방법(Jigsaw협동학습)의 효과, 직...
[지그소우]JIGSAW학습방법(직소우협동학습)의 발전과 특징, JIGSAW학습방법(직소우협동학습)...
[과학과교육]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특징과 필요성, 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
수산 해운계(수해양계) 고등학교의 교과성격과 교과목표, 수산 해운계(수해양계) 고등학교의 ...
NIE(신문활용교육)의 정의, NIE(신문활용교육)의 도입, NIE(신문활용교육)의 지도방침, NIE(...
역할놀이(역할극)의 개념, 역할놀이(역할극)의 특징, 역할놀이(역할극)의 기능, 역할놀이(역...
분수(수학 분수) 개념, 분수(수학 분수) 성질, 분수(수학 분수) 역사, 분수(수학 분수) 연산,...
한문과교육과정(한문교육과정)의 성격, 한문과교육과정(한문교육과정)의 개정배경과 개정내용...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의 목표와 기능,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의 수업원리, 도덕과...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성격,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원리와 과정,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초등학교체육과교육(초등체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체육과교육(초등체육)의 수업방향과 ...
영어과(영어수업, 영어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영어과(영어수업, 영어교육)의 동향과 내용 체...
영유아 과학 활동으로 요리활동을 계획하고자 할 때 탐구적 교수학습방법, 놀이와 연계한 교...
[유아수학교육]유아수학 교수-학습방법 (문제해결 접근방식의 교수-학습방법, 구성주의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