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 목 : 피터싱어의 동물학대
□ 총 페이지수 : 15
□ 목 차: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김 성 한
1
대부분의 우리 나라 사람들은 외국사람들이 개고기 먹는 것을 비난하는 데에 대해서 불쾌함을 감추지 못한다. 왜 남의 나라의 문화에 할 일 없이 간섭하느냐고 반문하고 너희들이 먹고 있는 쇠고기나 돼지고기가 개고기와 어떠한 차이가 있느냐고 신경질적으로 반응한다. 동물에 대한 도덕적인 고려에 관한 한 거의 불모지라 할 수 있는 이 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그와 같은 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외국에서 한 겨울에 모피를 입는 것에 반대한다고 맨 몸으로 드러누워 있는 사람들의 항의 시위 기사를 고개를 갸우뚱하며 읽으며 다음과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돈이 많으니까 별짓
□ 총 페이지수 : 15
□ 목 차: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김 성 한
1
대부분의 우리 나라 사람들은 외국사람들이 개고기 먹는 것을 비난하는 데에 대해서 불쾌함을 감추지 못한다. 왜 남의 나라의 문화에 할 일 없이 간섭하느냐고 반문하고 너희들이 먹고 있는 쇠고기나 돼지고기가 개고기와 어떠한 차이가 있느냐고 신경질적으로 반응한다. 동물에 대한 도덕적인 고려에 관한 한 거의 불모지라 할 수 있는 이 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그와 같은 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외국에서 한 겨울에 모피를 입는 것에 반대한다고 맨 몸으로 드러누워 있는 사람들의 항의 시위 기사를 고개를 갸우뚱하며 읽으며 다음과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돈이 많으니까 별짓
본문내용
ell, p.115, A Companion to Ethics, ed. P. Singer. Cambridge: Blackwell, p.352, Encyclopedia of Applied Ethics, ed. Ruth Chadwick, San Diego: Academic Press, pp.171-172, Encyclopedia of Ethics, ed. L. C. Becker & C. B. Becker. 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p.45.
. 가령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부정하는 폭스(M. A. Fox)마저도 인간들이 동물들을 부당하게 대우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싱어와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K. Shrader-Frechette, "The Rights of Animals", in K. S. Shrader-Frechette eds., Environmental Ethics, 1991, p102.
. 이와 관련해 포즈만(L. P. Pojman)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H. Lafollette, "Animals", in H. Lafollette eds., Ethics in Practice, p.113.
.
이제 실질적으로 모든 사람이 단지 흥미삼아 포유류나 조류를 고문하거나 죽이는 것이 잘못이라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 . . 그들에게 문제는 그러한 동물들이 도덕적인 지위를 갖느냐가 아니고, 그들이 왜, 그리고 얼마만큼 그러한 지위를 갖느냐이다.
역설적으로 들릴 지 모르겠지만 우리가 굳이 동물들과의 차별성을 나타내고자 한다면 우리에게 주어진 임무를 충실히 이행함으로써만이 우리가 평상시에 강조해 왔던 인간 아닌 동물들과의 차이를 분명히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데자르뎅, J. R. 김명식 역. 1999. 『환경윤리의 이론과 전망』. 서울: 자작아카데미.
싱어, 피터. 황경식, 김경동 역. 1992. 『실천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 정연교 역. 1996.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 서울: 세종서적.
Callicott, J. B. "Animal Liberation: A Triangular Affair" (1980)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Fox, M. A. "The Moral Community" (1997)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Frey, R. G. "Moral Standing, the Value of Lives, and Speciesism" (1997)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Gruen, Lori. "Animals" (1990) A Companion to Ethics, ed. P. Singer. Cambridge: Blackwell
Kant, Immanuel. "We Have Only Indirect Duties to Animals" (1873)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Lafollette, H. "Animals" (1997)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Plluhar, Evelyn. "Animal Rights" (1998) Encyclopedia of Applied Ethics, ed. Ruth Chadwick San Diego: Academic Press.
Pojman, L. "Animal Rights" (1994)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Regan, Tom. "The Case for Animal Rights" (1997)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 "The Radical Egalitarian Case for Animal Rights" (1985)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 "Treatment of Animals" (1992) Encyclopedia of Ethics, ed. L. C. Becker & C. B. Becker. 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Rollin, Bernard. "Sentience Is the Criterion for Moral Worth" (1988)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Shrader-Frechette, K. S. "The Rights of Animals" (1991) Environmental Ethics, ed. K. S. Shrader-Frechette. Boxwood Press.
Singer, Peter. "All Animals Are Equal" (1976)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 (1995). Animal Liberation. London: PIMLICO.
----------- (1981) Expanding Circle. Oxford: Clarendon Press.
Warren, M. A. "Difficulties with the Strong Animal Rights Position" (1987)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 가령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부정하는 폭스(M. A. Fox)마저도 인간들이 동물들을 부당하게 대우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싱어와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K. Shrader-Frechette, "The Rights of Animals", in K. S. Shrader-Frechette eds., Environmental Ethics, 1991, p102.
. 이와 관련해 포즈만(L. P. Pojman)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H. Lafollette, "Animals", in H. Lafollette eds., Ethics in Practice, p.113.
.
이제 실질적으로 모든 사람이 단지 흥미삼아 포유류나 조류를 고문하거나 죽이는 것이 잘못이라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 . . 그들에게 문제는 그러한 동물들이 도덕적인 지위를 갖느냐가 아니고, 그들이 왜, 그리고 얼마만큼 그러한 지위를 갖느냐이다.
역설적으로 들릴 지 모르겠지만 우리가 굳이 동물들과의 차별성을 나타내고자 한다면 우리에게 주어진 임무를 충실히 이행함으로써만이 우리가 평상시에 강조해 왔던 인간 아닌 동물들과의 차이를 분명히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데자르뎅, J. R. 김명식 역. 1999. 『환경윤리의 이론과 전망』. 서울: 자작아카데미.
싱어, 피터. 황경식, 김경동 역. 1992. 『실천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 정연교 역. 1996.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 서울: 세종서적.
Callicott, J. B. "Animal Liberation: A Triangular Affair" (1980)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Fox, M. A. "The Moral Community" (1997)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Frey, R. G. "Moral Standing, the Value of Lives, and Speciesism" (1997)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Gruen, Lori. "Animals" (1990) A Companion to Ethics, ed. P. Singer. Cambridge: Blackwell
Kant, Immanuel. "We Have Only Indirect Duties to Animals" (1873)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Lafollette, H. "Animals" (1997)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Plluhar, Evelyn. "Animal Rights" (1998) Encyclopedia of Applied Ethics, ed. Ruth Chadwick San Diego: Academic Press.
Pojman, L. "Animal Rights" (1994)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Regan, Tom. "The Case for Animal Rights" (1997)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 "The Radical Egalitarian Case for Animal Rights" (1985)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 "Treatment of Animals" (1992) Encyclopedia of Ethics, ed. L. C. Becker & C. B. Becker. 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Rollin, Bernard. "Sentience Is the Criterion for Moral Worth" (1988)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Shrader-Frechette, K. S. "The Rights of Animals" (1991) Environmental Ethics, ed. K. S. Shrader-Frechette. Boxwood Press.
Singer, Peter. "All Animals Are Equal" (1976) Ethics in Practice, ed. H. Lafollette. Cambridge: Blackwell.
----------- (1995). Animal Liberation. London: PIMLICO.
----------- (1981) Expanding Circle. Oxford: Clarendon Press.
Warren, M. A. "Difficulties with the Strong Animal Rights Position" (1987) Environmental Ethics, ed. L. Pojman. Bos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추천자료
아동학대의 발생 원인을 제시하고 예방대책에 대해 논하시오.
생체실험 PPT
아동학대의 현황 및 사례와 대처방안
아동학대와 아동보호사업
개구리해부-생물학실험
아동의 권리와 아동학대의 이해
일반생물학실험 report
[화공실험] 미생물 성장속도 실험 - E.coli의 성장속도 측정 : 미생물의 성장속도에 대한 개...
실험연구의 예를 찾아 수업시간에 공부한 내용이 잘 반영되었는지 분석 : 실험연구
[실천기술론] 집단사회실천 (집단, 집단모델, 아동학대, 성학대 피해 아동의 집단사회사업)
아동학대의 유형과 개념 및 아동학대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대책방안을 모색해 보자.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소음측정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환경소음측정 실험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