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케와 할레의 경건주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의 생애와 활동: 할레에서 사역 이전까지

III. 할레 경건주의의 태동과 발전,

IV. 결론

본문내용

과 용기가 경건주의를 자라게 했다.
프랑케의 지도 아래서 할레 경건주의는 세상에 대한 실천적이고 행동적인 경건을 보여 준 것이다. 교회의 영역을 넘어서서 매우 많은 자극들이 여기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프랑케의 생애 말년에 신학 연구에서뿐만 아니라 이 기관이 있는 도시의 전체적인 교육에 문제들이 나타났다. "인간의 변화를 통한 세상의 변화", 이것이 할레 경건주의의 목적이었다. 언제나 목적은 충분히 달성하였다. 학문, 특히 철학에 대한 경시, 윤리의 문제에 대한 일방적인 집중으로 할레 경건주의에는 계몽주의와의 싸움에서 존속할 수 있는 정신적인 방패가 결핍되어 있었다. 계몽주의에 대한 이해없이 마침내는 어찌할 바를 모르는 처지에 있게 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친천도르프의 형제교회와 뷰르템베르크의 경건주의는 새로운 시대에 대해 더 나은 준비가 있었다.
교회 안에서 경건주의의 주장과 확대가 성공한 것은 특히 브란덴부르크 프로이센 국가의 요청적인 후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프랑케는 이 나라의 실행력으로 선교기관들의 설립, 동양과 서양의 폭 넓은 교류 그리고 선교와 같은 새로운 사업을 착수한 것이다. 그가 세상을 떠났을 때, 경건주의는 이미 넓은 파노라마임을 나타냈다. 벌써 할레의 광범위한 영향이 지속되었다. 친첸도르프(Zinzendorf), 벵엘(Bengel) 그리고 웨슬리(Wesley)와 같은 인물들과 더불어 위대한 경건주의자들의 다음 세대가 이미 준비되어 있었다. 또한 독일 이외의 나라들에서도 각 나라의 경건주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결국 프랑케의 할레 경건주의는 교회의 개혁보다는 세상의 개혁을 달성한 것이 되었다. 여기에서 교육은 가장 큰 역할을 하였다.
IV. 결론
프랑케가 일으킨 할레의 경건주의는 슈미트(M. Schmidt) 교수가 말한 대로 "인간의 변화를 통한 세상의 변혁"이었다. 이것은 리츨이 경건주의에 대하여 평가한 탈 세상적이고 중세의 수도원적이고 신비적인 경건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세상 안에서 적극적으로 변혁을 시도했으며 실천에 옮겼다. 특히 이 실천은 할레의 고아원과 기숙학교를 통한 교육과 사회복지 영역에 여실히 나타나 있다. 프랑케의 이 사업은 사회의 소득의 분배에 또한 기여를 하였다. 그는 고아원에 들어 온 기부금과 헌금을 고아와 가난한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에 사용할 때 가난한 대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의 교육을 담당하도록 하였고 이에 대한 보수를 지급하였다. 이것은 가난한 이들에게 소득을 가질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런 점에서 부의 재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모범을 만들어 주었다. 또한 종교개혁 이후 처음으로 해외 선교를 개척함으로 개신교 선교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개신교에 선교의 가능성을 일깨워 주었다. 그러나 이런 사업은 그의 목회 현장에서 시작되었음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의 목회는 루터교 정통주의 시대에 교권적인 교회의 아성을 스스로 허물어 버린대 특색이 있다.
참고문헌
Aland, Kurt. Kirchengeschichtliche Entwurf, Guthersloh, 1960.
Beyreuther, Erich. Geschichte des Pietismus, Stuttgart, J. F. Steinkopf Verlag, 1978.
Brecht, Martin. "Das Aufkommen der neuen Frommigkeitsbewegung in Deutschland", in: Geschichte des Pietismus, Bd. 1, Go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93.
------. "August Hermann Francke und der Hallische Pietismus", in: Geschichte des Pietismus, Bd. 1, Go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93.
Deppermann, Klaus. "August Hermann Francke", in: Orthodoxie und Pietismus, Gestalten der Kirchengeschichte, Bd. 7, Sttugart, Kohlhammer, 1982.
------. "Die politischen Voraussetzungen fur die Etablierung des Pietismus in Brandenburg-PreuBen", in: Pietismus und Neuzeit, Bd. 12, Go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86.
Hinrichs, Carl. "Der Hallische Pietismus als politisch-soziale Reformbewegung des 18. Jahrhunderts", in: in: Zur neueren Pietismusforschung,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77.
Peschke, Erhard. "Die Bedeutung der Mystik fur die Bekerung August Hermann Franckes", in: Zur neueren Pietismusforschung,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77.
Schmidt, Martin. "A. H. Franckes Stellung in der pietistischen Bewegung", in: Ders., Wiedergeburt und neuer Mensch, Arbeiten zur Geschichte des Pietismus, Bd. 2, Witten, Luther-Verlag, 1969.
------. Pietismus, Stuttgart, Kohlhammer, 1983³.
Wallmann, Johannes. Der Pietismus, Go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90.
Weigelt, Horst. Pietismus-Studien, I. Teil, Der spener-hallische Pietismus, Stuttgart, Calwer Verlag, 1965.
-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5.14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