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목차
□ 제 목 : 인지이론(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총 페이지수 : 58
□ 목 차:
목차
1. 인간행동의 통합적 모색
가. 인간발달과 사회사업
나. 인간의 발달단계
2. 성격이론
가. Freud의 정신분석적 성격이론
나. Erikson의 사회심리적 성격이론
다. Jung의 분석심리적 성격이론
라. Rogers의 인본주의적 현상학적 이론
마. Skinner의 행동주의적 성격이론
바.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3. 사회체계로서의 사회환경
가. 사회체계이론의 주요 개념
나. 사회환경으로서의 가족체계
다. 사회환경으로서의 지역사회 체계
라. 사회환경으로서의 문화와 사회
□ 총 페이지수 : 58
□ 목 차:
목차
1. 인간행동의 통합적 모색
가. 인간발달과 사회사업
나. 인간의 발달단계
2. 성격이론
가. Freud의 정신분석적 성격이론
나. Erikson의 사회심리적 성격이론
다. Jung의 분석심리적 성격이론
라. Rogers의 인본주의적 현상학적 이론
마. Skinner의 행동주의적 성격이론
바.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3. 사회체계로서의 사회환경
가. 사회체계이론의 주요 개념
나. 사회환경으로서의 가족체계
다. 사회환경으로서의 지역사회 체계
라. 사회환경으로서의 문화와 사회
본문내용
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제
도는 지역사회 전체를 대표해서 실시되거나 어떤 특정 관심이나 집단을 대표
해서 행해진다.
(2) 사회화
사회화는 지역사회 생활에서 핵심적인 문제이다. 만약 새로운 성원이 새로운
에너지 공급을 위해 확보되지 않으면 그 지역사회는 사명한다. 지역사회는 새
로운 성원들에게 그 문화를 이식시켜 주어야 한다.
(3) 의사소통
지역사회 체계행동의 대단히 중요한 측면의 하나는 의사소통이다. 교회, 학교
와 같은 제도에서는 의사소통 활동이 대면관계에 있는 사람들간에 그리고 신
문, TV, 라디오와 같은 대 중매체에 의해 일어난다.
듀이( John Dewey)는 지역사회의 진수는 바로 의사소통이라고 시사했다. 그
이유는 의사소통 없이는 공통적 의미, 생각이나 공통가치가 수립될 수 없기 때
문이다.
지역사회를 하나의 체계로 그리고 특수한 관점에서 인식하기 위해 분류 기준
을 가져야 하며 가족집단 및 조직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 분류기준는
첫째 사회와 미시적 체계들의 중간체계이다.
둘째 의식적으로 동일시된 인구집단에 대해 소속감을 가진다.
셋째 공동작업을 조직하고 종사한다.
넷재 기능의 분화를 가진다.
다섯째 에너지의 교환을 통해 환경에 적응한다.
여섯째 하위체계들과 환경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조직과 제도들을 창설
하고 유지한다
라. 사회환경으로서 문화와 사회
이 장에서는 가장 광범하고 가장 일반적인 수준에서의 인간행동에 대해 고찰
하고자 한다.
인간은 독특하게 문화를 지니고 있는 사회적 존재이다. 문화 형태들은 종합
되며 전파되고 하져 가자면 소멸하지만 속성은 그렇지 않다. 사회는 함께 살
고 일하는 것을 배운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사회는 홀론으로 간주되며 문
화는 이 사회안에서 집단이 따른 생활방식으로 사회의 예절과 도덕, 도구, 기법
들을 포함한다.
1) 문화의 공통적 특성
(1) 사고력 : 인간의 가장 독특한 속성으로 생각할 수 있는 그리고 생각을 전
달할 수 있는 능력은 인간을 다른 생명체와 구별시킨다. 아동교육의 상당량은
이 능력을 더욱 발달시키는데 충당된다.
(2) 가 족 : 가족은 생물학적으로 기초되고 기본적인 사회적ㆍ사회화 가족이
다. 가족의 사실은 변화하지ꁁ 않지만 가족형태는 변화한다. 가족형태는 문화
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가족은 부분과 전체로서 동시에 존재한다. 가족의
형태는 문화에 따라, 그리고 이 문화내의 하위문화들 사이에 차이가 있다.
(3) 언 어 : 언어는 고도의 학습능력을 최대한 활용케 하며 인간만이 갖는 상
징 능력이다. 언어는 과거 미래의 논의를 가능케 하고 존재하지 않는 것, 먼거
리 등에 대해 토의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언어가 둁벗다면 이런 능력도 없고
문화는 불가능하게 된다. 인간의 경험은 학습에 의해 전승되고 문화적 행동양
식을 불가능하게 된다. 인간의 경험은 학습에 의해 전승되고 문화적 행동양식
을 구성하는 지식체계의 전승은 언어에 의해 가능하다.
(4) 영역성 : 이 개념은 사회체계의 영역을 추구하고 보전하려는 인간의 경
향이 며 상호작용적 양상을 강조한다. 영역성은 인간이 그의 우주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아내며 여러 인간체계들의 경계들을 설정하는 문화적 방법이다.
2) 문화의 분석차원
문화의 정의는 사회의 한 성원으로서의 인간이 획득한 지식, 신념, 예술, 법률,
도덕, 관습 그리고 습관들을 포함하는 복합의 전체라고 내릴 수 있다 (Edward
Taylor).
Jerome Brumer는 다섯 개의 위대한 인간화의 힘으로 5개의 문화차원을 설명
했으며 도구제작, 사회조직, 언어, 아동양육, 인간의 자기세계 설명충동 등이 바
로 그것이다.
(1) 도 구 : 도구는 발명되었거나 합성되었거나 인간능력의 확대기이다. 도구
는 인간의 자연적 능력을 연장시킨 장치이며 물체이며 절차이다. 중요한 것은
도구 그 자체가 아니라 도구의 사용이다. 따라서 도구는 문화가 분석될 수 있
는 중요 차원이다.
(2) 사회조직 : 모든 문화는 사회체계이므로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조
직되었거나 조직과정 중에 있거나 해체 과정 중에 있을 것이다. 분석에 있어
서 문화의 사회조직은 상호작용하는 요인들의 체계라는 의미에서 구조화 되어
있으며 관계의 한 요소는 다른 요소에 영향을 준다. 사회조직에 권한 좋은 개
념으로 계급, 지위 역할 등과 같은 상호 관련 개념이 사용된다.
(3) 언 어 : 여기서 언어는 좀더 넓은 의미로 즉 의미의 전달로 일컫는다. 언
어는 상징들로 구성되며 의미는 학습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전해진다(상
징적 상호작용).
사람들과 일하는데 있어 상징들을 해석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전문기법 등
에서는 분명히 언어와 상징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4) 야동양육, 아동기의 연장관리 : 인간의 연장된 아동기 관리는 모든 문화의
중요한 특성이므로 그 자체로서 다른 양상들과 조화를 이루며 상호작용 해야
한다. 문화가 복잡해지고 분화될수록 아동 교육도 그만큼 복잡해지고 분화되며
따라서 다른 사회적 대책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경제제도의 이동성으로 확대
가족이 해체되면서 아기 보는 사람의 훈련이 수반된다.
(5) 세계를 설명하려는 인간의 충동 : 문화 개념을 설명할 때 간과되기 쉬운
것이 문화차원이다. 문화체계 에너지의 많은 양이 인간실존 차원에서 소비되
는데 주로 종교, 철학, 과학, 미신 등이며 그 일부에서 부수되는 신념, 의식, 가
치 및 이론 등은 문화의 필수 부분이다. 현재 우리 문화에서 과학은 세계를
탐색하고 설명하며 변화시키는 지배적 수단이다.
문화의 개념을 적용시키는 방법은 자신의 유리한 입장과 자신의 관찰을 해석
하는데 사용하는 지식에 좌우된다. 자신의 문화체계 안에서 볼 때 몇 개 성분
은 잘 볼 수 있지만 다른 성분들은 전혀 보지 못하게 된다. 또한 자신의 문화
체계 밖에서 볼 때는 과잉 단순화에 빠져들 위험이 커진다. 원시사회, 또래집
단, 전문직 등 어떤 형태의 문화이든 그것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찰자가
체계의 성분인 경우, 객관성을 갖도록 노력해야 하며, 체계 외부인 경우 그 체
계와 연계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도는 지역사회 전체를 대표해서 실시되거나 어떤 특정 관심이나 집단을 대표
해서 행해진다.
(2) 사회화
사회화는 지역사회 생활에서 핵심적인 문제이다. 만약 새로운 성원이 새로운
에너지 공급을 위해 확보되지 않으면 그 지역사회는 사명한다. 지역사회는 새
로운 성원들에게 그 문화를 이식시켜 주어야 한다.
(3) 의사소통
지역사회 체계행동의 대단히 중요한 측면의 하나는 의사소통이다. 교회, 학교
와 같은 제도에서는 의사소통 활동이 대면관계에 있는 사람들간에 그리고 신
문, TV, 라디오와 같은 대 중매체에 의해 일어난다.
듀이( John Dewey)는 지역사회의 진수는 바로 의사소통이라고 시사했다. 그
이유는 의사소통 없이는 공통적 의미, 생각이나 공통가치가 수립될 수 없기 때
문이다.
지역사회를 하나의 체계로 그리고 특수한 관점에서 인식하기 위해 분류 기준
을 가져야 하며 가족집단 및 조직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 분류기준는
첫째 사회와 미시적 체계들의 중간체계이다.
둘째 의식적으로 동일시된 인구집단에 대해 소속감을 가진다.
셋째 공동작업을 조직하고 종사한다.
넷재 기능의 분화를 가진다.
다섯째 에너지의 교환을 통해 환경에 적응한다.
여섯째 하위체계들과 환경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조직과 제도들을 창설
하고 유지한다
라. 사회환경으로서 문화와 사회
이 장에서는 가장 광범하고 가장 일반적인 수준에서의 인간행동에 대해 고찰
하고자 한다.
인간은 독특하게 문화를 지니고 있는 사회적 존재이다. 문화 형태들은 종합
되며 전파되고 하져 가자면 소멸하지만 속성은 그렇지 않다. 사회는 함께 살
고 일하는 것을 배운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사회는 홀론으로 간주되며 문
화는 이 사회안에서 집단이 따른 생활방식으로 사회의 예절과 도덕, 도구, 기법
들을 포함한다.
1) 문화의 공통적 특성
(1) 사고력 : 인간의 가장 독특한 속성으로 생각할 수 있는 그리고 생각을 전
달할 수 있는 능력은 인간을 다른 생명체와 구별시킨다. 아동교육의 상당량은
이 능력을 더욱 발달시키는데 충당된다.
(2) 가 족 : 가족은 생물학적으로 기초되고 기본적인 사회적ㆍ사회화 가족이
다. 가족의 사실은 변화하지ꁁ 않지만 가족형태는 변화한다. 가족형태는 문화
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가족은 부분과 전체로서 동시에 존재한다. 가족의
형태는 문화에 따라, 그리고 이 문화내의 하위문화들 사이에 차이가 있다.
(3) 언 어 : 언어는 고도의 학습능력을 최대한 활용케 하며 인간만이 갖는 상
징 능력이다. 언어는 과거 미래의 논의를 가능케 하고 존재하지 않는 것, 먼거
리 등에 대해 토의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언어가 둁벗다면 이런 능력도 없고
문화는 불가능하게 된다. 인간의 경험은 학습에 의해 전승되고 문화적 행동양
식을 불가능하게 된다. 인간의 경험은 학습에 의해 전승되고 문화적 행동양식
을 구성하는 지식체계의 전승은 언어에 의해 가능하다.
(4) 영역성 : 이 개념은 사회체계의 영역을 추구하고 보전하려는 인간의 경
향이 며 상호작용적 양상을 강조한다. 영역성은 인간이 그의 우주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아내며 여러 인간체계들의 경계들을 설정하는 문화적 방법이다.
2) 문화의 분석차원
문화의 정의는 사회의 한 성원으로서의 인간이 획득한 지식, 신념, 예술, 법률,
도덕, 관습 그리고 습관들을 포함하는 복합의 전체라고 내릴 수 있다 (Edward
Taylor).
Jerome Brumer는 다섯 개의 위대한 인간화의 힘으로 5개의 문화차원을 설명
했으며 도구제작, 사회조직, 언어, 아동양육, 인간의 자기세계 설명충동 등이 바
로 그것이다.
(1) 도 구 : 도구는 발명되었거나 합성되었거나 인간능력의 확대기이다. 도구
는 인간의 자연적 능력을 연장시킨 장치이며 물체이며 절차이다. 중요한 것은
도구 그 자체가 아니라 도구의 사용이다. 따라서 도구는 문화가 분석될 수 있
는 중요 차원이다.
(2) 사회조직 : 모든 문화는 사회체계이므로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조
직되었거나 조직과정 중에 있거나 해체 과정 중에 있을 것이다. 분석에 있어
서 문화의 사회조직은 상호작용하는 요인들의 체계라는 의미에서 구조화 되어
있으며 관계의 한 요소는 다른 요소에 영향을 준다. 사회조직에 권한 좋은 개
념으로 계급, 지위 역할 등과 같은 상호 관련 개념이 사용된다.
(3) 언 어 : 여기서 언어는 좀더 넓은 의미로 즉 의미의 전달로 일컫는다. 언
어는 상징들로 구성되며 의미는 학습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전해진다(상
징적 상호작용).
사람들과 일하는데 있어 상징들을 해석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전문기법 등
에서는 분명히 언어와 상징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4) 야동양육, 아동기의 연장관리 : 인간의 연장된 아동기 관리는 모든 문화의
중요한 특성이므로 그 자체로서 다른 양상들과 조화를 이루며 상호작용 해야
한다. 문화가 복잡해지고 분화될수록 아동 교육도 그만큼 복잡해지고 분화되며
따라서 다른 사회적 대책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경제제도의 이동성으로 확대
가족이 해체되면서 아기 보는 사람의 훈련이 수반된다.
(5) 세계를 설명하려는 인간의 충동 : 문화 개념을 설명할 때 간과되기 쉬운
것이 문화차원이다. 문화체계 에너지의 많은 양이 인간실존 차원에서 소비되
는데 주로 종교, 철학, 과학, 미신 등이며 그 일부에서 부수되는 신념, 의식, 가
치 및 이론 등은 문화의 필수 부분이다. 현재 우리 문화에서 과학은 세계를
탐색하고 설명하며 변화시키는 지배적 수단이다.
문화의 개념을 적용시키는 방법은 자신의 유리한 입장과 자신의 관찰을 해석
하는데 사용하는 지식에 좌우된다. 자신의 문화체계 안에서 볼 때 몇 개 성분
은 잘 볼 수 있지만 다른 성분들은 전혀 보지 못하게 된다. 또한 자신의 문화
체계 밖에서 볼 때는 과잉 단순화에 빠져들 위험이 커진다. 원시사회, 또래집
단, 전문직 등 어떤 형태의 문화이든 그것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찰자가
체계의 성분인 경우, 객관성을 갖도록 노력해야 하며, 체계 외부인 경우 그 체
계와 연계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추천자료
[인간행동][인간행동발달][인간행동에 대한 이론][인간행동에 대한 접근][인간행동의 변화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사회복지실천기본이론과 정신건강론의 관점에서 해석(사회복지실천의 틀)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에서 바라보는 인간행동의 관점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회학습이론 - Bandura의 생애와 사회학습이론의 기본원리, 관찰학습의...
[인간행동human behavior과사회환경 E형 : 프로이트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 행동발달에 대한 ...
[상담심리학 2016]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이론을 활용하여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고 분석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방송...
인간행동과사회환경B형-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방송...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2017 생활과학과 가정복지(프로이트와 융)-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B형 2017 생활과학과가정복지(고전적조건화조작적조건화이론)-인간행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