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1. 진단 검사
혈청효소검사 Alkaline Phosphatase(ALP)
혈청 항원과 항체 검사(antinuclear antibodies, ANA)
혈청 칼슘과 인
혈청내 요산(uric acid)
LE세포 검사(lupus erythematosus cell preparation)
적혈구 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요중 칼슘
방사선 검사
골조사 Bone scan
전산화 단층 촬영술 Computerized tomography: CT)
자기공명 영상술
관절경 검사 Arthroscopy
관절천자 (Athrocentesis)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m,EMG)
생검 (Biopsy)
혈청효소검사 Alkaline Phosphatase(ALP)
혈청 항원과 항체 검사(antinuclear antibodies, ANA)
혈청 칼슘과 인
혈청내 요산(uric acid)
LE세포 검사(lupus erythematosus cell preparation)
적혈구 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요중 칼슘
방사선 검사
골조사 Bone scan
전산화 단층 촬영술 Computerized tomography: CT)
자기공명 영상술
관절경 검사 Arthroscopy
관절천자 (Athrocentesis)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m,EMG)
생검 (Biopsy)
본문내용
자의 경우에는 이상이 있을 때 곧 내원하도록 알려준다.
⑥스테로이드를 주입한 경우에는 특별히 감염에 주의한다.
15.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m,EMG)
특정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알아보기 의해 시행되는 전기 생리적 검사이다. 이 검사는
근육질환이나 근육기능에 영향을 주는 질병을 진단할 때 이용한다.
(1) 정상소견
①안정시 근육 전기 활동
·정상시에는 근육의 전기 활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침전극을 이용한 검사시 침전극을 근육 내로 삽입할 때 나타나는 삽입전위는 2~3초내에
소실된다.
②약한 운동시 근육 전기 활동
·정상운동단위의 전압을 이상성 또는 삼상성파로 나타나서 2~15msec 가량 지속되면 200
㎼~3mV의 강도를 보인다.
③강한 운동시 근육 전기 활동
·운동단위의 발현빈도가 빨라지고 운동단위이 수가 증가된다.
·수축기에 분리되어 잘 보이던 운동단위 모양은 다른 운동 단위와 섞여 그 개개의 모양구
이 어려워지고 기저선을 구별할수 없는 파형을 보인다.
(2) 영향요인
①환자가 검사과정 중 지시를 이해하지 못할 때
②출혈, 부종, 과다한 비만 및 동통이 있을 때
③고령
④근육이완제, 콜린제, 항콜린제와 같은 약제를 투여할 때
(3) 검사 목적 및 적응증
①황문근육 섬유나 세포막을 침범하는 근육 이영양증과 같은 일차 근육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②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을 진단하기 위해
·신경근 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생각되는 신경근육
성 기능 장애로 지각 장애나 위축을 동반하지 않고 장애는 근육근에 국한되며 호흡장애까
지 일으킬수 있다. 신체의 어떤 근육이든지 침습될 수 있으나 특히 눈, 얼굴, 입술, 혀,
인후, 경부의 근육을 침습하는 질환이다.
③다발성 근염(polymyosiyis), 유육종증(saroidosis)과 같은 이차적인 근육 질환을 진단하
기 위해
·다발성 근염: 몇 개 또는 여러 개의 근에 동시에 일어나는 염증으로 퇴행 및 재생성 변화
가 병행되며 조직 손실량에 비하여 훨씬 심한 근쇠약을 수반하는데, 피부병
을 동반할 때 피부근염이라 한다.
·유육종증: 원인 불명의 만성, 진행성, 범발성의 육아종성 세망증으로 피부, 폐, 림프절,
간, 비장, 눈, 손과 발의 소골을 포함한 거의 모든 장기나 조직을 침습한다.
검사소견상 고칼숨혈증과 고감마글로부린 혈증을 나타낸다.
④저칼슘혈증, 갑상선 독성, 파상풍 및 근육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
⑤당뇨병이나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말초성 신경 장애와 같은 신경근육 질환을
진단하기위해
⑥회백수염과 같이 척수각에 있는 운동성 신경원을 침범하는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회백수염:급성 바이러스 질병으로 중추신경계 장애, 목덜미 강직, 수액내 세포증감증 및
마비를 특징으로 근육들의 위축을 수반하는 질병이다.
⑦근위축성 측상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를 진단하기 위해
·추체로의 신경원 및 뇌간과 척수의 운동세포의 진행성인 병소를 특징적으로 하며 상위 및
하위 운동신경의 결손을 보이고 2~3년내에 사망하는 질병이다.
⑧Guillain-Barre증후군과 같은 신경근을 포함한 하위 운동신경원을 침범하는 근육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⑨근육질환 및 신경질환을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4) 금기
①항응고제를 투약했을 때
②전극부착 부위에 감염이 됐을 때
(5) 대상자 준비
대상자 교육: 대상자에게 다음을 설명한다.
①검사소요시간은 검사 부위에 따라 1~3시간이라는 것
②검사 전 3시간 전부터 흡연과 카페인이 섞인 음료 섭취를 금한다는 것
③바늘 삽입 부위가 주로 사지근육이라는 것
④소아는 처방된 진통제(진정제)를 투여한다는 것
신체준비
①환자의 병력과 신경근육계 상태, 질병상태 및 근육기능 정도, 활동범위 및 외상, 과거의 진단 등을 사정한다.
(6) 과정
①대상자가 앙와위로 검사 테이블에 눕도록 한다. 검사실은 소음이나 금속으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게 차단된 곳이어야 한다.
②전극을 피부에 부착한다. 미세한 wire electrode를 포함한 24G바늘을 근육에 삽입한다.
③근육에 전기적 전위를 증폭하여 증폭기를 통해 파형이 스크린에 나타나도록 하고 동시에
magnetic tape에 기록한다. 근육의 전기활동은 측정하기 위해 10개 정도의 전극을 삽입할
수 있다.
④환자에게 동통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설명을 한다.
⑤근육활동은 휴식기 동안,바늘삽입기 동안 및 다양한 근육수축 동안 기록된다.
·대상자에게 근육을 계속 이완시키고 있으라고 요구하거나 계속 수축하게 하고 실시한다.
·이완기상태의 근육은 보통 전기적으로 무반응이나 relaxed denervatde muscle에서는 세동
이 나타난다. 파형의 크기 감소는 근육 장애를 의미한다.
⑥근전도와 함께 시행되는 신경전도 검사는 보통 근육의 안정전위 측정 전에 시행한다.
(7) 간호 및 문제해결 활동
①검사 후 간호
·전극을 제거하고 피부를 소독한다.
·전극 부착 부위의 혈종, 감염을 사정하고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필요시 휴식하도록 시간을 제공한다.
·감염: 주치의에게 알리고 처방된 약이나 치료를 제공한다.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움직이
지 않도록 한다.
②비정상 검사 결과
·삽입전위는 탈신경지배(denervated nerve): 근육, 다발성 신경염, 근긴장질환에서 연장된
다.
·세동전위(fibrillation): 개개의 근섬유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활동전위로 말초신경
절단, 전각세포의 사멸, 근이영양증에서 나타난다.
·속상수축전위(fasciculation): 만성적 탈신경 지배나 척수병변에서 나타난다.
16. 생검 (Biopsy)
진단목적으로 또는 질병과정이나 치료효과를 알기 위해 생체 피검 조직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검체는 특수 천자침이나 펀치절개 또는 활액천자 방법으로 채취한다.
- 분류: 검체의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근육생검: 근육병변의 원인을 알기 위한 것
윤활액 생검: 여러 종류의 관절염을 판별하기 위한 것
기타 생검: 골격조직 생검, 결체조직의 병변을 확인하는 피부생검등이 있다.
⑥스테로이드를 주입한 경우에는 특별히 감염에 주의한다.
15.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m,EMG)
특정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알아보기 의해 시행되는 전기 생리적 검사이다. 이 검사는
근육질환이나 근육기능에 영향을 주는 질병을 진단할 때 이용한다.
(1) 정상소견
①안정시 근육 전기 활동
·정상시에는 근육의 전기 활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침전극을 이용한 검사시 침전극을 근육 내로 삽입할 때 나타나는 삽입전위는 2~3초내에
소실된다.
②약한 운동시 근육 전기 활동
·정상운동단위의 전압을 이상성 또는 삼상성파로 나타나서 2~15msec 가량 지속되면 200
㎼~3mV의 강도를 보인다.
③강한 운동시 근육 전기 활동
·운동단위의 발현빈도가 빨라지고 운동단위이 수가 증가된다.
·수축기에 분리되어 잘 보이던 운동단위 모양은 다른 운동 단위와 섞여 그 개개의 모양구
이 어려워지고 기저선을 구별할수 없는 파형을 보인다.
(2) 영향요인
①환자가 검사과정 중 지시를 이해하지 못할 때
②출혈, 부종, 과다한 비만 및 동통이 있을 때
③고령
④근육이완제, 콜린제, 항콜린제와 같은 약제를 투여할 때
(3) 검사 목적 및 적응증
①황문근육 섬유나 세포막을 침범하는 근육 이영양증과 같은 일차 근육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②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을 진단하기 위해
·신경근 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생각되는 신경근육
성 기능 장애로 지각 장애나 위축을 동반하지 않고 장애는 근육근에 국한되며 호흡장애까
지 일으킬수 있다. 신체의 어떤 근육이든지 침습될 수 있으나 특히 눈, 얼굴, 입술, 혀,
인후, 경부의 근육을 침습하는 질환이다.
③다발성 근염(polymyosiyis), 유육종증(saroidosis)과 같은 이차적인 근육 질환을 진단하
기 위해
·다발성 근염: 몇 개 또는 여러 개의 근에 동시에 일어나는 염증으로 퇴행 및 재생성 변화
가 병행되며 조직 손실량에 비하여 훨씬 심한 근쇠약을 수반하는데, 피부병
을 동반할 때 피부근염이라 한다.
·유육종증: 원인 불명의 만성, 진행성, 범발성의 육아종성 세망증으로 피부, 폐, 림프절,
간, 비장, 눈, 손과 발의 소골을 포함한 거의 모든 장기나 조직을 침습한다.
검사소견상 고칼숨혈증과 고감마글로부린 혈증을 나타낸다.
④저칼슘혈증, 갑상선 독성, 파상풍 및 근육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
⑤당뇨병이나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말초성 신경 장애와 같은 신경근육 질환을
진단하기위해
⑥회백수염과 같이 척수각에 있는 운동성 신경원을 침범하는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회백수염:급성 바이러스 질병으로 중추신경계 장애, 목덜미 강직, 수액내 세포증감증 및
마비를 특징으로 근육들의 위축을 수반하는 질병이다.
⑦근위축성 측상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를 진단하기 위해
·추체로의 신경원 및 뇌간과 척수의 운동세포의 진행성인 병소를 특징적으로 하며 상위 및
하위 운동신경의 결손을 보이고 2~3년내에 사망하는 질병이다.
⑧Guillain-Barre증후군과 같은 신경근을 포함한 하위 운동신경원을 침범하는 근육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⑨근육질환 및 신경질환을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4) 금기
①항응고제를 투약했을 때
②전극부착 부위에 감염이 됐을 때
(5) 대상자 준비
대상자 교육: 대상자에게 다음을 설명한다.
①검사소요시간은 검사 부위에 따라 1~3시간이라는 것
②검사 전 3시간 전부터 흡연과 카페인이 섞인 음료 섭취를 금한다는 것
③바늘 삽입 부위가 주로 사지근육이라는 것
④소아는 처방된 진통제(진정제)를 투여한다는 것
신체준비
①환자의 병력과 신경근육계 상태, 질병상태 및 근육기능 정도, 활동범위 및 외상, 과거의 진단 등을 사정한다.
(6) 과정
①대상자가 앙와위로 검사 테이블에 눕도록 한다. 검사실은 소음이나 금속으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게 차단된 곳이어야 한다.
②전극을 피부에 부착한다. 미세한 wire electrode를 포함한 24G바늘을 근육에 삽입한다.
③근육에 전기적 전위를 증폭하여 증폭기를 통해 파형이 스크린에 나타나도록 하고 동시에
magnetic tape에 기록한다. 근육의 전기활동은 측정하기 위해 10개 정도의 전극을 삽입할
수 있다.
④환자에게 동통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설명을 한다.
⑤근육활동은 휴식기 동안,바늘삽입기 동안 및 다양한 근육수축 동안 기록된다.
·대상자에게 근육을 계속 이완시키고 있으라고 요구하거나 계속 수축하게 하고 실시한다.
·이완기상태의 근육은 보통 전기적으로 무반응이나 relaxed denervatde muscle에서는 세동
이 나타난다. 파형의 크기 감소는 근육 장애를 의미한다.
⑥근전도와 함께 시행되는 신경전도 검사는 보통 근육의 안정전위 측정 전에 시행한다.
(7) 간호 및 문제해결 활동
①검사 후 간호
·전극을 제거하고 피부를 소독한다.
·전극 부착 부위의 혈종, 감염을 사정하고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필요시 휴식하도록 시간을 제공한다.
·감염: 주치의에게 알리고 처방된 약이나 치료를 제공한다.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움직이
지 않도록 한다.
②비정상 검사 결과
·삽입전위는 탈신경지배(denervated nerve): 근육, 다발성 신경염, 근긴장질환에서 연장된
다.
·세동전위(fibrillation): 개개의 근섬유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활동전위로 말초신경
절단, 전각세포의 사멸, 근이영양증에서 나타난다.
·속상수축전위(fasciculation): 만성적 탈신경 지배나 척수병변에서 나타난다.
16. 생검 (Biopsy)
진단목적으로 또는 질병과정이나 치료효과를 알기 위해 생체 피검 조직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검체는 특수 천자침이나 펀치절개 또는 활액천자 방법으로 채취한다.
- 분류: 검체의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근육생검: 근육병변의 원인을 알기 위한 것
윤활액 생검: 여러 종류의 관절염을 판별하기 위한 것
기타 생검: 골격조직 생검, 결체조직의 병변을 확인하는 피부생검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