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관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산업연관분석의 의의
2.산업연관표의 체계
3.산업연관표의 작성
4.산업연관분석의 원리
5.산업연관표의 이용
6.산업연관표의 이용확장과 발전 방향

본문내용

{1 } atop {3 }×3 + (- {1} over {6 })×0 }&~~ {{1 } atop {3 }×1 + (- {1} over {6 })×2 }#
{0× 3+{1 } atop {2 }×0 }&~~ {0× 1+{1 } atop {2 }×2 }}= BMATRIX { {1 }& {0 }#
{0 }& { 1} }=I
이므로 이 때 행렬 B는 행렬 A의 역행렬이며 행렬 A는 행렬 B의 역행렬이 되는 것이다.
이제 실제로 역행렬이 계산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하자. 정방행렬 A=
LEFT [ a_ij RIGHT ]
의 역행렬을
{A }^{-1 } = LEFT [ r_ij RIGHT ]
라 하면
r_ij = { {(-1) }^{i+j } LEFT | M_ji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 LEFT | C_ji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단,
LEFT | M_ji RIGHT |,~~ LEFT | C_ji RIGHT |
는 각각
a_ji
의 소행렬식 및 여인수)
가 된다. 즉 행렬 A의 역행렬
{ A}^{-1 }
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A}^{-1 } =BMATRIX { { { LEFT | C_11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 { LEFT | C_21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cdot }&{cdot }&{cdot }&{ { { LEFT | C_n1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 { LEFT | C_12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 { LEFT | C_22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cdot }&{cdot }&{cdot }&{ { { LEFT | C_n2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cdot }&{cdot }&{cdot }&{cdot }& {cdot }& {cdot }#{cdot }&{cdot }&{cdot }&{cdot }& {cdot }& {cdot }#{cdot }&{cdot }&{cdot }&{cdot }& {cdot }& {cdot }# {cdot }&{cdot }&{cdot }&{cdot }& {cdot }& {cdot }# { { { LEFT | C_1n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 { LEFT | C_2n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cdot }&{cdot }&{cdot }&{ { { LEFT | C_nn RIGHT | } over { LEFT | A RIGHT | }} }}
여기서
LEFT | A RIGHT | ≠0
인 경우에만 역행렬
{ A}^{-1 }
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제 앞서 예로 든 2차 및 3차의 행렬에 대한 역행렬을 계산해 보기로 하자.
A=BMATRIX { {1 }& {-3 }#
{2 }& {2 } }
에서 행렬식
LEFT | A RIGHT | =8
이고
여인수를 구해 보면
LEFT | C_11 RIGHT | =2 ~~~LEFT | C_12 RIGHT | =-2 ~~~LEFT | C_21 RIGHT | =3 ~~~LEFT | C_22 RIGHT | =1
가 된다. 따라서
B=BMATRIX { { {2 } over {8 } }& { {3 } over {8 } }#
{ -{2 } over {8 } } & { { 1} over {8 } } }
이 되며
A {A }^{-1 }= {A }^{-1 } A=I
임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B= BMATRIX { {1 }& {0 }& {-1 }#
{-1 }& {2 }& {3 }#
{2 }& {1 }& {5 } }
에서 행렬식
LEFT | B RIGHT |=12
이고
여인수를 구해보면
LEFT | C_11 RIGHT | =BMATRIX { {2 }& {3 }#
{1 }& {5 } }=7~~~~~~~~~~~~LEFT | C_12 RIGHT | =-BMATRIX { {-1 }& {3 }#
{2 }& {5 } }=11
LEFT | C_13 RIGHT | =BMATRIX { {-1 }& {2 }#
{2 }& {1 } }=-5~~~~~~~~~LEFT | C_21 RIGHT | =-BMATRIX { {0 }& {-1 }#
{1 }& {5 } }=-1
LEFT | C_22 RIGHT | =BMATRIX { {1 }& {-1 }#
{2 }& {5 } }=7~~~~~~~~~~~~LEFT | C_23 RIGHT | =-BMATRIX { {1 }& {0 }#
{2 }& {1} }=-1
LEFT | C_31 RIGHT | =BMATRIX { {0 }& {-1 }#
{2 }& {3 } }=2~~~~~~~~~~~~LEFT | C_32 RIGHT | =-BMATRIX { {1 }& {-1 }#
{-1 }& {3 } }=-2
LEFT | C_33 RIGHT | =BMATRIX { {1 }& {0 }#
{-1 }& {2 } }=2
이므로
{ B}^{-1 }=BMATRIX { { {7 } over {12 } }&{ -{1 } over {12 } }& { {2 } over {12 } }#{ {11 } over {12 } }&{ {7 } over {12 } }&
{- { 2} over {12 } }&#{ -{5 } over {12 } }&{ -{1 } over {12 } }&{ {2 } over {12 } }& }
가 되며
B {B }^{-1 }= { B}^{-1 }B=I
의 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역행렬에 관하여 주의하여야 할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정방행렬에 대하여 전부 역행렬이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행렬식이 0이 아닌 경우에만 역행렬이 존재한다는 점이며 또한 어떤 행렬에 대하여 역행렬이 정의되는 경우에는 그 행렬에 대한 역행렬은 단 하나만이 존재하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96페이지
  • 등록일2002.05.21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