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매체중의 하나인 영화를 통해서 본 여성상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장르로서의 영화
2. 우리 시대의 문화
3. 영화 속의 여성 이미지
4. 코르셋에 나타난 대안적 영화 엿보기

본문내용

과는 떨어져서 자신과 대화를 나눈다. 힘과 강요에 의한 판단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이데올로기에 억압되어 흩어져 있던 자아를 통합하는 것이다. 거울에 둘러싸여 있는 장면(심리학에서 '리비도'를 상징하기도 하며 이는 라깡에게 있어 거울상 단계를 말한다 즉 언어의 세계인 상징계를 벗어나 어릴 적부터 그 이미지의 생성 과정을 되밟아 감으로써 그 동안 가지고 왔었던 환상들을 깨 버리는 것이다. 거울상 단계란 상징계이전의 단계이고 상상계이후의 단계로서 자신의 몸을 단순히 살펴보는 단계로서 이를 통해 타자를 의식하는 상징계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 영화에서 나오는 공선주의 회상장면 중 숲 속에서 뛰노는 아이 장면 같은것은 지배적 담론이 형성되기 이전의 공간을 상징하며 그 해소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욕망의 도시를 벗어나 한적한 시골에서 자연과 만나고(왜냐하면 자연도 남성적 사회에 있어서는 지배당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눈길을 걸을 때 발자국이 찍히는 것을 하나하나 새기 듯 그 현재의 직관적 성찰에 충실하다면 이 자본주의 사회의 담론은 벗어날 수 있는 탈주는 가능할지 모른다는 것을 이 영화는 말하고 있다. 조직 사회에 떨어져 있기에 좀 더 자유로울 수 있는 횟집 주인과 슬쩍 지나가는 동성연애자들은 서로를 구속하지도 모략이 난무하지도 않는 이 사회에 대한 능동적인 사회 지켜보기가 가능한 것이다. 이 영화의 결론인 횟집 주인과의 결혼은 소외된 자들이 상호 연대함으로써 새로운 가치관 창출에 대한 희망의 상징이 되는 것이다.
그 밖의 추측들
하나의 주제로서 묶어내기에 벅찬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은 간간한 재미를 주지만 쉽게 전체와 연관되어지지 않고 파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신선함을 더해주는 것들이다.
영화를 보면 꽤나 웃기게 상어 달라고 주정하는 사람이 있다. 상어는 하나의 신화적인 '기호'로써 우리 의식에 내재된 언어의 이미지를 설명하는 것인데 이는 감독이 영화를 만듬에 있어서의 형식에 대한 노골적인 설명이다. 즉, 상어는 기호화되어있어 가상공간화된 인간 언어 현실을 상징한다. 주정꾼이 상어를 말할 때의 상어는 직접적 관계의 상어가 아니다. 이는 언어의 의미에 걸러진 상어, 타자의 생각 속에서만 존재하는 추상적인 가짜상어가 되어져 있어 간접적으로 지켜보기나 상상되어지기만이 가능한 기호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영화에서 횟집 주인은 상어를 주지 못한다. 도다리를 주며 상어라 속이고 주정뱅이는 그것을 상어라 속아야 하는 것이다. 이런 상어에 대해 나타나는 관계를 통해 감독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호가 가지는 속성을 말하고자 했던 것이다.
woman & pride 라는 회사를 공선주가 차린 것은 경제적 토대를 쌓음으로써 시도되어지는 여성일반의 사회에 대한 거부를 말하는 것이다. 즉 여성의 에너지와 집중력을 분산시키고 경제적 ,심리적 부담감들을 강화시키는 자본에 대한 저항인 것이다. 여성들의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작용되어지는 '물질적 토대'는 새로운 가치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고 이는 정신적 기초까지도 제공할 수 있다. 아름다움을 표현하려는 인간의 욕구는 그걸 먼저 경제적으로 자유롭게 실현 시킬 수 있을 때, 개인의 심리적 안정을 넘어서 기존의 문화에 반대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물질적인 토대는 대안적 정신문화창조에 대한 공간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마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은 언어적인 훈련, 경제적 토대와 지배에 대한 상호 의사 소통을 통한 깨닫기 등이 중요하다고 하버마스는 말한다. 이 영화는 사회를 반영하기 위해 사실주의적 재현을 거부하고 전체 상황을 다소 웃기게 그려놓음으로서, 여기서 나타난 이중성은 관객에게 대하여 단지 오락 영화로 그칠 함정을 가지고 있다(물론 이는 관객이 처한 상황이나 반응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맑스주의적인 실천으로서의 리얼리즘이라는 사회적 담론은 이 영화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 하고 있다. '자유주의적 상상력을 가지되 사회와의 동질성의 끈 놓치지 않기' 는 이 영화의 큰 장점이다. 보는 이마다 여러 방면으로 읽힐 수 있음은 좋은 작품의 조건이기도 하니까 말이다.
이 영화를 보며 웃긴다고 해서 웃기다고 떠들지는 말자. 누군가 울고 있을 수도 있으니까.......
1. 주제
대중매체중의 하나인 영화를 통해서 본 여성상에 대한 고찰
2. 주제 설정
대중매체는 현 사회에 대하여 가장 극명한 이해를 보여준다. 그 중에서 영 화를 선택하여 그 형식적 특성과 관련된 여성상에 대하여 고찰하고 대안에 대해 얘기 해보고자 한다.
3. 목적과 동기
몰입되어지는 것으로서의 영화 읽기를 배제하고 새로운 영화 독법을 찾음 으로써 올바른 시각을 기른다.
4. 조사방법
영화의 느낌은 다양하게 읽힐 수 있다. 그러므로 바르게 읽는 법은 설문지 를 통해서는 진실이 드러나기 어려우므로 조원들간의 일정한 이론적 수준을 쌓고 그 실제 비평을 해보기로 한다. 3부분으로 나누어 자료를 모은다.
영화 형식에 대한 것
페미니즘과 현사회 전반에 대한 진단과 이론에 대한 것
한국 영화와 할리우드 영화에 대한 일반적 비평과 그 실례들을 모으는 것
그리고 같이 협의하여 영화 '코르셋'을 분석한다.
그리고 그것이 대중의 이해와 얼마나 차이 나는지 조사해본다.
5. 결과
대중의 이해에 관한 부분에서는 실제 다가가기 보다는 책속에 자료에 그친 부분이 많다. 나머지는 모두 자료를 구할 수가 있어서 할 수 있었다.
6. 느낀점
생각보다 우리의 문제와 관련된 자료가 적어 다른 주제의 자료로서 유추할 수밖에 없어서 조원들이 애를 많이 먹었다.
여성운동 이론서들이 단지 자료 나열에 그치거나 철학적인 내용이 있는 것이 없어 이론을 세우는데 많은 애를 먹었다.
[참고서적]
영화와 소설 속의 욕망이론 권택영 민음사
누가 성정치학을 두려워하랴 서동진 문예마당
상징 폭력과 문화 재생산 부르디외 나우누리 PC통신 철학 포럼
영화현실 1992 가을
페미니즘 /영화/여성 유지나 변재란 여성사
문화론의 문제 설정 강내희 문화과학사
영상기호학 기고티에 민음사
하재봉의 영화읽기 예문
현대성과 현대 문화 현실문화연구 스튜어트 홀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베르나르 뒤쏀 청하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05.21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8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