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태산의 평화교육사상 -최초법어를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소태산의 평화교육관
1. 평화교육의 의미
2. 소태산의 평화교육관
III. 평화교육의 실천과 과제
1. 평화교육의 접근모형
2. 평화교육의 과제와 전망
I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름에 불과하고나 관념적 소망의 대상이 아닌 이상 그것은 우리의 현실에서 실행에 옮겨질 때만이 종교의 본연의 사명에 부합되는 일이라고 보기 때문이다.그러므로 향후 평화교육과 관련하여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하는 부분은 물론 구조적이고 조직적인 노력도 있어야 하고 사회운동차원 또는 의식의 개혁차원에서 노력도 있어야 할 것이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실제적인 문제에 다가서서 소태산의 평화사상이 실제에 옮겨질 수 있는 다양한 계획이 수립되고 아울러 이를 실현에 옮기기 위한 인제개발도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런 노력은 단순히 학교 또는 가정 사회에서만의 몫이라기 보다는 처한 곳곳에서 실현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교화의 방안 차원에서도 심도 있는 모색이 되어져야 하리라 본다.평화교육이 크게 보면 환경이나 평화통일 문제와 같은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도 있지만 사실은 우리가 처한 상황에서 실천가능한 문제도 산적해 있고 이런 문제를 외면하고는 평화교육의 실천은 괴리감마저 느끼게 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그러므로 소태산의 평화교육사상의 실현은 이땅에 비평화적인 요인이 무었인가를 이해하고 동감지대를 형성하며 이를 여하히 극복할 것이가 대응의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함은 당연하다고 본다.
IV. 결 론
이상에서 최초법어를 중심으로 소태산의 평화사상과 평화교육의 의미 그리고 실천 방법에 이르는 내용을 개관하여 보았다.그리고 평화교육사상의 전개와 더불어 우리가 담지해야 할 과제와 향후의 전망은 무엇인가를 살펴 보았다. 이상의 고찰을 토대로 하여 소태산의 평화교육사상의 성격을 밝혀보고 아울러 그 실현방안 및 향후의 과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태산의 평화교육사상은 개인,가정,사회적인 요인에 이르기 까지 총체적 면에서 접근과 안목을 형성해 주고 있다.이런 점에서 평화교육의 평화교육의 접근도 종교의 성격상 개인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이른바 마음의 평화로 부터인 유네스코적인 접근만이 아니라 개인 가정 사회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소태산의 평화교육사상은 힘의 논리에 의한 투쟁이나 정복 갈등보다는 상생상화를 강조하는 이른바 자리이타의 구조,대화를 통한 합리적 방법를 강조하는 특징을 갖고 잇다.
셋째 소태산의 평화교육사상은 개인의 평화창출능력의 신장과 관련하여 시대를 따른 학문의 준비와 정신수양,사리의 정확한 분석 판단력,지행을 대조하는 실천력을 강조함으로써 결국은 과학과 도학의 병진,일심,알음알이 실행의 전인적인 인간교육의 지향점에서 추구되고 있다
네째 가정의 평화교육과 관련해서는 가족 구성원의 의무와 책임의 수행,특히 부모의 경제적 안정을 위한 노력,자녀교육,가족구성원간의 심리적 화목,대화,종교적 신앙,정치사회화 그리고 역사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다섯째 사회교육과 관련하여 강자약자의 자리이타의 공존공영 상생상화의 교육,지도자의 교육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소태산의 평화교육과 관련하여 앞으로 이론적 과제와 아울러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뒤따라아야 할 것이다. 평화교육이 이념제시나 이론교육에 머물지 않고 시레 생활속에서 실천될 때 그 의미를 갖기 떠문이다. 특히 분단하의 우리 상황하에서 평화교육이 추구해야 할 과제인 통일전후의 대비교육,환경교육,정의실천교육,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민주시민교육,폭력을 근원적으로 치유하는 교육 등에 대해 교리에 근거한 이론적 정비와 함께 실제 적용할수 있는 구조화된 프로그램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고는 소태산의 평화교육에 관한 시론적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따라서 교리 전체를 고려한 총체적인 조망과 함께 실천적 프로그램의 개발은 후속과제로 남겨둔다.
* 참고문헌
(단행본)
김성재 편,『평화교육과 민중교육』 서울: 풀빛, 1990.
김팔곤(편),『종교연합운동의 어제 오늘,그리고 내일』김팔곤박사화갑기념논총간행위,1993.
David Hicks(고병헌 역),『평화교육의 이론과 실천』 서울: 서원, 1993.
森田俊男,『平和敎育における平和』 東京: 平和文化,1989.
세계평화교수협의회,『평화사상의 모색』 서울: 일념,1980.
『원불교전서』,이리:원불교출판사,1977.
최상용 편,『현대평화사상의 이해』(평화강좌 3) 한길사, 1976.
헤르만 뢰스(김건환 역),『평화교육학』 서울 : 배영사,1988.
(논문)
강선보,「부버사상의 평화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고대교육문제연구소,『교육문제연구』
5(1993)
김정환,「평화교육의 이론과 과제」,고려대교육문제연구소,『교육문제연구』 1985.
김팔곤,「원불교의 평화관」,원불교수위단회사무처,『원불교사상시론』I,이리:사무단회사무처
,1982.
------,「원불교의 평화관」,개교반백년기념사업회,『기념문총』이리:문총간행위,1971.
김홍철,「원불교의 사회개혁론」,『원불교사상론고』 이리:원광대출판국,1980.
박상권,「소태산의 최초법어연구」 원광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1993.
송천은,「원불교의 평화론」 『종교연합운동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385-388쪽.
오인탁,「평화교육의 이념과 내용」,『기독교사상』 1989,9.
오인탁------,「평화교육과 기독인의 책임」,『기독교사상』 1987.3.
윤응진,「서독의 평화교육론」 한신대신학부,『신학연구』 31(1990),PP.397-425.
윤응진,「한국교회평화교육의 과제와 전망」,『기독교사상』 1993년 11호.
이건인,「원불교교육관」수위단회사무처,『원불교사상시론』2집(1993).
이근혁,「평화교육이념에 비춰본 한국교육의 과제분석」,고려대 석사논문,1990.
이명화,「평화를 지향하는 기독교교육」감신대 석사논문,1983.
이삼열,「평화교육의 철학적 실천방법」,최상용 편,『현대평화사상의 이해』,한길사,1976.
임상빈,「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교육」,이대석사논문,1983.
정영수,「평화교육의 과제와 전망」한국교육학회,『교육학연구』31-5(1993) PP.173-193.
정애경,「평화교육방법론 으로서의 프레이리 교육이론연구」 한신대 석사논문,1991.
정진곤,「현행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김성재(편),『평화교육과 민중교육』 풀빛
,1990
주활,「평화교육론소고」 감신대 석사논문,1990.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5.22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