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의 육종과 변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미생물의 육종과 변이
□ 총 페이지수 : 22
□ 목 차:
차 례
Ⅰ. 서론
Ⅲ. 전개유형의 비교
Ⅱ. 전개유형의 분석
Ⅳ. 서사구조의 변이양상■
1. 산해경본의 전개유형
Ⅴ. 결론
2. 사기본의 전개유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려 있는 자료가 비교적 古形으로 간주되는데, 이것은 소위 정사류의 우왕에 대한 기록과 여러 점에서 차이가 난다. 특히 정사의 모범적인 형태로 중국 二五史의 준거가 된 사마천의 史記는 최초로 우왕설화를 역사로 개변시킨 자료라는 점에서 신화의 역사화 또는 그 변모과정 등을 추적해 볼 수 있는 자료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주로 신화였던 우왕설화가 어떻게 역사로 전변되었느냐 하는 점에 대해 주로 형태나 구조적인 대비를 통해 밝혀 보려 했다. 우왕신화를 文化起源神話 혹은 文化英雄神話로 보며, 그 신화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전제적 작업으로 이러한 연구는 필요했다.
산해경본과 사기본의 우왕신화는 공히 問題의 提起'-> 解決의 試圖'-> 解決'의 과정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이는 설화의 진술방식으로서 전개유형에 속하며, 이러한 단위는 각기 하나씩의 하위단위인 에피소드이기도 했다. 이들 에피소드가 어떻게 연결되어 한편의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느냐 하는 그 방식을 찾아내는 것은 이제 구조적인 이해에 속한다. 따라서 먼저 전개유형을 추출하여 두 개의 이야기를 서로 대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대비과정을 통해 제기된 문제를 서사구조의 변이양상이라는 제하에 산해경본과 사기본을 비교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해경본은 신화요, 사기본은 역사다. 산해경본에 농후한 신화소가 사기본에서는 전혀 거세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는 산해경본이 채록했을 구전신화를 사기본의 기술자는 역사 속에 편입시키기 위해 많은 부분, 특히 신화적인 내용을 삭제하고 대신에 사실적이고, 합리적인 내용을 채웠던 데서 기인한다.
둘째, 산해경본은 설화의식을 기저로 하고 있음에 반해서, 사기본은 역사의식을 기저로 하고 있다. 이 문제는 작품과 관련된 상황을 참고해야할 문제로, 산해경본의 우왕설화는 훨씬 원형적이며, 민중적인 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반면, 사기본의 경우는 이미 유학에 의해서 합리주의를 추구하던 漢代의 사대부 정신이 바탕이 되고 있다.
세째, 산해경본은 초자연과 관련되어 人間:自然:超自然'의 종교적 문맥이 읽어지는 반면, 사기본은 단지 人間:自然'간의 관계에 치중하고 있어 종교성 보다는 현실성, 그리고 인위적인 인간행위나 노력을 말하고 있다.
네째, 산해경본은 신에게 도전해서는 안되며, 그에게 순응하는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어 신본주의적 입장임에 반해, 사기본은 대자연의 천재지변을 인위적인 노력에 의해 다스려 나가는 내용으로 쓰여 있어 인본주의적인 의식이 전제되어 있다.
다섯째, 이상과 같은 두 작품 사이의 차이를 보여 주는 것은 설화를 지탱하고 있는 구조다. 본디 堯,舜,禹에 관한 신화가 따로따로 존재했을 사정을 산해경본의 우왕신화에서 알 수가 있는데, 사기본에 와서는 이들 세 작품이 하나의 설화로 합해지게 되어 부자연스러운 구조를 지니게 되었다. 그 전형적인 예가 사기본에서 구조적으로 있을 수 없는 서사내용의 중복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끝으로, 山海經과 史記는 기록의 시대차가 있고, 물론 사기가 먼저 기록된 것이기는 하지만, 먼저 기록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원형이라고 할 수는 없다. 서사구조나 문맥적 상황 등을 고려한 이상의 연구에서 알 수 있었듯이 산해경본은 오히려 사기본에 비해 설화적 원형에 충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參考文獻
* 김방한 외 3인. 『일반언어학』.서울: 형설출판사, 1982.
* 羅景洙. 韓國建國神話硏究 .全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88.
* 李勳鐘 編譯.『中國古代神話』.서울:汎文社, 1982.
* 張德順 外.『口碑文學槪說』.서울:一潮閣, 1971.
* 憑友蘭. 『中國哲學史』
* 殷孟倫. 司馬遷의 現實主義的 記述態度 . 『司馬遷의 歷史認識』<朴惠淑 編譯>.서울: 한길사, 1988.
* 와츤.B. 위대한 역사가,司馬遷 .『司馬遷의 歷史認識』<朴惠淑 編譯>. 서울: 한길사, 1988.
* 森安太郞(王孝廉譯). 『中國古代神話硏究』. 臺北市:地平線出版社, 1974.
* 折口信夫. "大嘗祭힝本義".『折口信夫全集』 3. 東京:中央公論社, 1955.
* 池田末利.『中國古代宗敎史硏究-制度と思想』.東京:東海大學出版會, 1981.
* Bataille.Georges(조한경 옮김),『에로티즘』(서울:민음사,1989), PP.59-60.
* Dendes.Alan. Yhe Morphology of North American Indian Folktales, FF
Communications No.195. Helsink: Suomalainen Tiedeakatemia Academia Scie
ntiarum Fennica, 1980.
* Dundes.A. Interpreting Folklore.Bloomington:Indiana University Press, 1980.
Frazer. James G. "The Fall of Man".Sacred Narrative(ed by A.Dundes).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1984.
* Greimas. A. Julien(ed by P. Maranda and F.K.Maranda). The Interpretation of
Myth; Theory and Practis, Structural Analysis of Oral Tradition.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71.
* Leach.Edmund. Culture and Communication. London: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 Propp.V.(황인덕 역)."A.Dundes의 재판 해설". 『민담형태론』. 서울:대방출사, 1987
* Raglan. Lord. The Hero; A Study in Tradition, Myth, and Drama.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1979.
* Van Gennep. Arnold(trans by M.Vizedom and G.L.Caffee). The Rites of Passage. Chicaco: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66<4th ed>.

키워드

미생물,   육종,   변이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2.05.30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