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간(Information) 기반한 초국적기업의 재생산전략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문제의 제기와 연구목적
2.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3. 논문의 구성

제 2 장. 공간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조건
제 1 절. 정보·통신혁명에 의한 사회 이행
1. 사회 이행의 이론적 관점
1) 자본운동과의 불연속론적 시각의 검토
2) 자본운동과의 연속론적 시각의 검토
2. 자본축적 위기의 구조
3. 정보·통신혁명에 의한 축적위기 극복
4. 자본 축적체제의 전환: 포디즘에서 유연적 생산체제로


제 2 절. 정보화와 공간구조
1. 자본주의적 공간의 의미
2. 정보화에 의한 공간구조
3. 공간의 불균등발전에 의한 재생산


제 3 장. 초국적기업의 성장과 공간 편성

제 1 절. 정보사회에서의 초국적기업
1. 21세기 기업: 초국적기업의 성장
1) 초국적기업(TNCs)의 의미
2) 초국적기업의 하부구조적 특성
2. 탈규제의 경제공간 논리
3. 초국적 정보유통 공간의 형성

제 2 절. 초국적기업에 의한 공간구조 변화
1. 정보공간: 사이버 공간(cyberspace)의 본질
2. 기업내 네트워크공간의 변화
1) 인트라넷(Intranet)
2) CALS
3. 일상공간에서의 자본 형성


제 4 장. 초국적기업의 공간 재생산

제 1 절. 범지구적 규모의 자본 집중
1. 해외직접투자의 급증
2. 교차소유에 의한 다각화
3. 초국적인 합병·매수(M&A)

제 2 절. 공간재생산의 통제역학
1. 범지구적 공간의 불균형
2. 공간구조에 의한 노동통제
3. 초국적 신화형성의 지구공간

제 3 절. 새로운 공간구조의 활용 형태
1. 정보공간의 자본화
2. 정보도시와 신산업지구의 구축
1) 정보도시(Information City)
2) 신산업지구(New Industrial District)
3. 범지구화와 지역화의 이중주
제 5 장. 결 론

1. 요약 및 결론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본문내용

때문이다.
. 김수행, 「자본의 세계적 재편과정과 노동자계급」, 『이론』(여름호:창간호), 이론, 1992, 95,6쪽.
이렇게 볼 때 현재의 구도는 지역화라는 다중심체(3극) 아래에서 범지구화를 지향하는 초국적자본이 벌이는 무한경쟁의 지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결코 1930년대의 지역경제의 재등장이 아니라 '세계경제의 통합'(Glocalization)으로 나아가는 하나의 단계인 것이다.
현실적으로 3극 역내의 무역(수·출입 총액) 비율을 살펴보면, 미국을 포함한 북미권내 무역은 32.9%, 아시아권과 일본과의 무역은 30.1%, 유럽권내의 EC회원국간 무역은 73.8%를 기록하고 있다.
. P. Hirst and G. Thompson, op. cit., pp.376,7 참조.
3극의 각각 개별적인 추세로 볼 때, EC회원국들의 무역구조는 상당한 폐쇄성을 지니면서 지역내 자본의 규모를 신장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나머지 미국과 일본경제권은 블록내 무역이 30% 정도에 그치는 것을 보면, 오히려 범지구적 자본전략이 융통성있게 발휘되는 국가군에 속한다.
<표 4-15> '3극'(Triad)에 의한 개도국의 지역분할
. 박병규, 「세계경제질서의 변화와 지역주의화의 구도」, 『동향과전망』(봄호: 통권 제 15호),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백산서당, 1992, 32, 34쪽의 도표 인용. '3극'에 대한 투자지분의 더 자세한 사항은 박병규, 「범세계화인가, 지역주의인가」, 『동향과전망』(봄·여름 합본호: 통권 제 19호),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백산서당, 1993, 143쪽의 다른 표 참조.
중남미
아시아
동유럽
기타
미국
아르헨티나, 멕시코, 칠레
베네주엘라, 콜롬비아
볼리비아, 파나마
파키스탄 필리핀
파푸아뉴기니아
사우디아라비아
EC
브라질, 페루
인도네시아 베트남
체코, 소련, 유고
폴란드, 헝가리
가나
일본
한국, 홍콩
태국
피지
범례: 1985-89년중 3극의 직접투자(플로우 기준)가 당해국 직접투자유입의 50%를 초과하는 국가
출처: UNCTC, World Investment Report 1991.
또한 3극에 의한 경제구도로 말미암아 초국적자본의 해외생산망 구축에 있어서 저임금 노동력의 확보와 지리적인 근접성이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게 되고, 결국 특정 지역내의 국가간 위계에 의한 분업체제의 심화를 야기한다. 앞의 <표 4-15>에서 보면 3극의 초국적자본에 의해 개도국들이 분할되는 구도는 지역화에 기반해 있다. 실지로 <표 4-15>의 굵은 선 부분에 해당되는 각각의 국가군은 결국 초국적자본의 축적에 있어서의 공간적 범위임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3극에 의한 FDI가 50%를 초과하는 국가군만을 상정했을 경우, 미국은 주로 중남미지역을, EC는 주로 동유럽지역을, 일본은 아시아지역을 그 기반으로 지역화를 구축하고 있다.
결국 이는 범지구적 공간에서의 새로운 특징인 '단극 다중심주의'(uni-polycentrism) 체제라고 볼 수 있다. 동·서간 냉전붕괴 이후에 자본주의 체제로의 일원화는 단일한 세계시장으로 통합을 지향하는 것이며, 이제 세계는 자본주의의 핵심부 자본만이 우위를 지키는 남·북 관계 및 서·서 관계를 그 골격으로 하게 된다.
. 나라정책연구회編, 앞의 책, 1994, 127-129쪽 참조.
지역통합이 세계의 단일시장을 향한 디딤돌이 된다는 점에서 범지구화와 지역화는 공통의 차원을 공유한다. 초국적기업의 지역화란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에 따른 통합비용과 같은 거대한 비용부담에 따른 한계 전략에 불과할 뿐이며, 궁극적 목표는 범지구화에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초국적기업이 해외진출의 전략 중 중요하게 고려하는 '다양성'(diversity)에 기초한 다문화적인 경영이란, 지역화에 기반한 범지구적 경영방식인 것이다.
. 이장우, 「글로벌 경영- 21세기 글로벌 패러다임」, 『월간무역』(통권 제 350호), 한국무역협회, 1995. 11., 64쪽 참조.
이렇게 볼 때 제 3장 후반부에서 보았던 현재의 기업네트워크 기술의 동원력은, 오히려 이러한 범지구화에 대한 경제비용을 상쇄하면서 범지구적 전략을 거둘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한다. 즉 자본간 경쟁과정에서 초국적 정보공간의 형성은 자본의 범지구화와 지역화의 정도·규모·속도를 기하상승시키는 원동력인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지역화라는 자본확장의 과도기적 상황은 얼마든지 극복될 수 있는 측면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정보·통신기술을 통한 기업의 조직 및 운용방식에서 범지구적 전략을 유연적으로 체화한 초국적기업이 주도하는 세계경제의 단일화로 정리될 것이다. 그래서,
'범지구화'라는 그 자체의 용어는 기만적이다. 거기에는 어떠한 범지구적인 요소도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가상만이 존재한다.... '범지구적'(global)이라는 용어가 '글로컬'(glocal)에 의해 대체되는 한에 있어서, 범지구적인 것과 지역적인 것은 굳게 통합된다. 지역적인 것은 자연스레 범지구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범지구적인 것은 마찬가지로 자연스럽게 지역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 P. Virilio, op. cit., p.3 인용.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초국적기업의 범지구화는 범지구적 전략에 기초하며, 세계소비자 컨셉을 가지고 비용우위 전략의 일종인 표준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의 '효과' (effectiveness)를 극대화하는데 관심을 갖고 있다. 한편 지역화는 단위국가 지향적(multi-domestic/ country-centered) 전략에 기초하며, 주문자 생산(customization, 일부는 modification)을 통한 범위의 경제의 '효율'(efficiency)에 초점을 두고 펼쳐진다고 볼 수 있다.
. 양유석, 앞의 논문, 166-169쪽 참조.
특히 초국적기업은 정보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의해 양 전략을 통합할 수 있는 경쟁력을 이미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미 앞에서 초국적기업의 네트워크공간 변화와 결절점으로서 정보도시의 구축을 통해 충분히 살펴보았듯이, 현재의 지역화를 통한 범지구화의 이중 전략의 통합은 기업내 정보공간에 의해 가능해진다고 볼 수 있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20페이지
  • 등록일2002.05.31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4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