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탁구의 역사
1) 탁구의 유래
2) 우리나라 탁구의 역사

2. 탁구 시설과 용구
1) 탁구 시설
2) 탁구 용구

3. 경기 규칙

4. 탁구의 특징

5. 탁구의 기본자세

6. 심판

7. 그립
1) 펜 홀더 그립
2) 세이크 핸드 그립

8. 주요 기술
1) 스트로크
2) 푸시
3) 서어브
4) 스핀
5) 리시브
6) 드라이브
7) 루프 드라이브
8) 로빙
9) 스매시

9.탁구의 현 상황과 발전방향

본문내용

뒤로 끄는 기미로 코스는 되도록 크로스로 넘기도록 한다.
2) 커트로 받아넘기는 방법
부득이한 경우 이외에는 될수록 코트에서 떨어져서 타구점을 낮추어 잡도록 하며 라켓의 각도와 스윙은 아래쪽을 향하여 루프의 회전과 그 이상의 회전을 가해 힘껏 끊어 내리도록 한다. 이 때에 손목운동이 필요하다.
3) 롱으로 받아넘기는 방법
코트에 가깝게 위치하여 있을 때에는 바운드의 정점 또는 정점에 달하기 전에 백 스윙을 적게 하여 옆으로 타구하는 식으로 강하게 친다. 이 때 라켓각도를 완전히 엎어서 스윙을 빨리하고 보다 강하게 스핀을 걸어서 송구하도록 한다. 코트에서 떨어져 부득이 타구점을 낮추어서 치게 될 때에는 라켓의 각도를 주의하여 엎어 상대방 코트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느리고 낮은 롱으로 가볍게 밀어 주도록 한다.
(8) 로빙
흔히 로브(Lob)라고도 하며 상대방이 넘긴 볼을 높이 끌어 올려서 반구하는 스트로크를 지칭하는 말이다. 움직임에 타이밍이 맞지 않아 시간을 벌고자 할 때 상대방에게서 스매싱을 당했을 때, 상대방을 이리저리 움직여 힘을 소모시키고 피로하게 만들고자 할 때 또는 상대방의 타법을 혼란시키고자 할 때 등에 사용한다.
(9) 스매시
스매시란 높이 떠오른 볼을 위에서부터 강하게 쳐 넘기어 득점을 하는데 결정적인 구실을 하는 타법이다. 대체로 포어 핸드 스매시와 백 핸드 스매시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스매시는 회전운동과 직진운동을 합친 것이다. 어떤 타법도 마찬가지이나 좋은 스매시가 되려면 이 합쳐진 최대의 힘을 발휘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게 된다.
1) 포오 핸드 스매시
우선 오른발을 빗겨 뒤로 30cm 가량 내도록 한다. 몸은 약간 앞으로 굽히고 빗겨 뒤로 틀면서 라켓이 어깨 높이에 오도록 오른팔을 가져온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 코트에 일단 바운드 되어 튀어 올랐다가 떨어지려는 순간의 볼을 자기가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껏 쳐 내린다. 일단 스매시를 한 후에도 곧 기본자세로 돌아와서 다음에 넘어올 볼을 대비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아무리 빠르고 강력한 스매시를 하였다고 해도 볼이 다시 넘어오기 때문이다. 스매시의 스윙은 전력을 다해서 뒤흔들기 때문에 일단 스윙을 하게되면 방향을 바꾸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처음에 엔드 라인을 목표로 하는 것이 득점에 연결되기 쉽다. 그러나 자꾸만 반복하여 그곳으로 보내면 상대편이 그 곳을 미리 지키기 때문에 볼을 보내는 방법을 수시로 불규칙하게 바꾸어야 한다.
2) 백 핸드 스매시
왼 발을 빗겨 뒤로 30cm 가량 내어 두고 몸은 상대편이 자기의 몸을 볼 수 있 을 정도로 왼쪽으로 튼다. 라켓의 끝이 옆으로 향하도록 하며 라켓을 잡은 손의 팔꿈치는 옆구리의 닿을 듯하게 복부를 움추리는 듯하게 앞으로 기우는 자세를 유지한다. 상체는 너무 비틀지 않도록 하고 프리 핸드는 높게 몸의 앞쪽으로 나 가게 한다. 포어 핸드 스매시에서와 마찬가지로 볼이 일단 바운드 되어 최고의 높이에 이르렀다가 떨어지는 순간에 쳐서 넘기는데 세이크 핸드는 오른발을 앞으 로 내딛으면서 쳐 나가고 펜 홀더는 오른발을 내딛는 것보다 좌측 허리를 돌려서 축이 되는 발을 중심으로 몸을 회전시키면서 쳐 나가도록 한다. 내딛는 발의 위 치는 임팩트 되는 곳보다 약간 뒤로하고 좌측 허리를 회전시키면서 정확하게 타 구점에 이르도록 한다. 그러나 왼발을 내밀어 치는 것이 아니고 좌측 허리가 앞 으로 나오므로 몸 전체도 앞으로 나온다. 그러므로 내딛고 치는 형태가 되고 이 것은 다음의 포어 핸드에 재빨리 연결되어 획돌기 쉽게 된다.
백 핸드 스매시를 숙달하게 되면 역학적인 면에서 볼 때 백핸드 스매시는 포어 핸드 스매시보다 더욱 위력이 있게 된다. 왜냐하면 볼의 속도와 강도는 스윙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이 되는 스윙의 범위는 포어 핸드 스매시보다 백 핸드 스매 시가 더 크기 때문이다. 스매시를 할 때에 포어 핸드 스매시든 백 핸드 스매시이 든 백 스핀은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백 스핀을 넣는 것보다 톱 스핀이나 사이드 스핀을 주는 것이 스매시의 성질상 유효하다. 백 스핀을 주면 볼의 속도가 줄기 때문에 스매시 본연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9. 탁구의 현 상황과 발전 방향
내가 어렸을 때만 하더라도 주위에 탁구장이 참 많았다. 그때는 놀이 시설이나 운동시설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탁구장을 자주 갔었던 것 같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탁구장이 하나둘씩 없어지더니 지금은 당구장, PC방 등에 밀려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탁구는 탁구대와 라켓, 그리고 탁구공만 있으면 좁은 공간에서도 즐길 수 있는 스포츠다. 그리고 좁은 활동범위에서 펼쳐지지만 운동 효과는 매우 높은 스포츠이다. 이런 좋은 스포츠가 점점 우리의 주변, 우리의 관심에서 멀어져 간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탁구를 활성화시키고 대중화하기 위해선 우선 예전처럼 탁구장이 많이 생겨 주변에서 쉽게 탁구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요즘은 탁구를 치고싶어 탁구장을 찾을려고 해도 탁구장 찾는 일이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이렇듯 제반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현시점에서 탁구의 대중화는 힘들것이다. 그리고 당구나 PC방과 경쟁하기 위해선 탁구 요금을 좀더 낮춰야 할 것이다. 언젠가 탁구장에 갔다가 비싼 요금에 놀란 적이 있다. 물론 그것이 비싼게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그보다 싼 요금에 즐길 수 있는 놀이들이 얼마든지 많다. 십분당 1,000원 내외인 당구나 시간당 1,000원 내외인 PC방과 경쟁을 하기 위해선 적어도 비슷한 수준의 요금을 책정해야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탁구가 보편화, 대중화되어 주변에서 당구장, PC방만큼 탁구장 보기가 쉬워지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참고 문헌>
저자, 서림스포츠편집부 「실전 탁구 기법」- (서림 문화사: 서울, 2001)
저자, 삼호미디어 편집부 「파워 탁구 교본」- (삼호 미디어: 서울, 2001)
저자, 스포츠서적편집실 「(연속사진으로 엮은) 탁구교본」- (일신서적: 서울, 1990)
저자, 정청희 「탁구」- (동양문화사: 서울, 1982)
저자, 문교부 「탁구」- (서울신문사출판국: 서울, 1975)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6.02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