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변화와 심리적 변화가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는 점을 이해하며 선배로서 느꼈던 방향성을 공유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도 좋다고 본다.
입시라는 부담감을 앞세우기보다는 실질적 사회 경험을 넓힐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한 인간으로서 바르게 성장할 수 있는 가치와 신념을 느끼도록 도와야 한다. 의대에 진학하고도 사람에 대한 존중과 귀중함이 없는 사람이 사회 문제를 일으킨 사례가 있었다. 의과 대학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얻은 사람이었으나 그의 행동은 인간으로서 존중받을 수 없는 행위를 저지른 것이다. 특히 생명을 다루는 직업을 선택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해하는 행동을 했다는 것은 그 사람의 신념과 가치가 올바른 자아 정체감 형성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결국 아무리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라도 인격의 형성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이며 인성이 바로 잡혔을 때 사회에서도 존중받을 수 있는 인물로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가정은 물론 학교와 사회에서는 청소년의 바른 인성을 기르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여 그에 따른 프로그램의 제안으로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기회를 주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나의 역할에 대한 탐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나의 존재와 미래의 내 모습을 상상하기란 어렵다. 이러한 상태에서 성인이 된다면 타인과의 관계 형성이 어려우며 사회적 고립감에 빠지게 되기도 하는 것이다. 마샤의 정체감 지위 이론에 따르면 정체감의 성취는 위기를 경험하였으나 이를 성공적으로 극복하여 위기를 해결한 상태라고 하였다. 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그에 따른 과정을 경험하며 헌신하게 됨으로써 정체감을 성취하게 되는 것이다. 나 역시 진로의 고민 과정에서 실리에 대한 부분으로 위기를 경험했다. 하지만 이 경험을 새로운 진로의 접근으로 극복하여 위기를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자아 정체감 확립을 거두게 된 것이다. 청소년 시기에 경험하는 위기는 자아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준다. 이 시기에 정체감 유실로 이어지게 된다면 의사 결정을 할 때 본인의 의사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으므로 이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샤의 정체감 지위 이론을 통해 본다면 청소년기의 자아 정체감의 발달에는 위기 경험을 어떻게 사로잡았느냐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보게 한다. 따라서 우리는 청소년의 위기를 협소한 시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이를 직접 경험하고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겠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청소년심리 강의안
입시라는 부담감을 앞세우기보다는 실질적 사회 경험을 넓힐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한 인간으로서 바르게 성장할 수 있는 가치와 신념을 느끼도록 도와야 한다. 의대에 진학하고도 사람에 대한 존중과 귀중함이 없는 사람이 사회 문제를 일으킨 사례가 있었다. 의과 대학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얻은 사람이었으나 그의 행동은 인간으로서 존중받을 수 없는 행위를 저지른 것이다. 특히 생명을 다루는 직업을 선택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해하는 행동을 했다는 것은 그 사람의 신념과 가치가 올바른 자아 정체감 형성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결국 아무리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라도 인격의 형성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이며 인성이 바로 잡혔을 때 사회에서도 존중받을 수 있는 인물로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가정은 물론 학교와 사회에서는 청소년의 바른 인성을 기르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여 그에 따른 프로그램의 제안으로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기회를 주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나의 역할에 대한 탐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나의 존재와 미래의 내 모습을 상상하기란 어렵다. 이러한 상태에서 성인이 된다면 타인과의 관계 형성이 어려우며 사회적 고립감에 빠지게 되기도 하는 것이다. 마샤의 정체감 지위 이론에 따르면 정체감의 성취는 위기를 경험하였으나 이를 성공적으로 극복하여 위기를 해결한 상태라고 하였다. 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그에 따른 과정을 경험하며 헌신하게 됨으로써 정체감을 성취하게 되는 것이다. 나 역시 진로의 고민 과정에서 실리에 대한 부분으로 위기를 경험했다. 하지만 이 경험을 새로운 진로의 접근으로 극복하여 위기를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자아 정체감 확립을 거두게 된 것이다. 청소년 시기에 경험하는 위기는 자아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준다. 이 시기에 정체감 유실로 이어지게 된다면 의사 결정을 할 때 본인의 의사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으므로 이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샤의 정체감 지위 이론을 통해 본다면 청소년기의 자아 정체감의 발달에는 위기 경험을 어떻게 사로잡았느냐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보게 한다. 따라서 우리는 청소년의 위기를 협소한 시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이를 직접 경험하고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겠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청소년심리 강의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