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 목 : 허생전에서 볼수있는 경제적원리 및 경제적 분석
□ 총 페이지수 : 12
□ 목 차:
허생전 스토리
독점에 대하여(완전독점시장)
□ 총 페이지수 : 12
□ 목 차:
허생전 스토리
독점에 대하여(완전독점시장)
본문내용
보게 하시오. 그리고 재치가 빠른 사람은 멀리 강남에 가서 장사를 하면서 그 나라의 형편을 살피게 하고 호걸들과 정의를 맺어서 천하를 도모하면 지난날 우리 나라가 당한 부끄러움을 씻을 수 있을 것이오."
"사대부들이 모두 이 나라의 예법을 고집하려고 할 터인데 누가 머리를 잘라서 땋고 오랑캐 의복을 입으려고 하겠습니까?"
그러자 허생이 크게 꾸짖으며 말했다.
"소위 사대부란 것이 무엇이란 말인가. 오랑캐의 땅에서 나가지고 자칭 사대부라고 하니 어찌 어리석지 않은가. 옷은 순전히 흰 것만 입으니 그것은 상제의 의복이 아닌가. 머리털을 송곳처럼 죄어 매는 것은 남방의 오랑캐들이나 하는 짓인데 무엇으로써 예법을 찾으려고 하는가. 장차 이 나라에 전쟁이 일어나면 활을 쏘고 돌을 던져야 할 터인데, 거추장스러운 그 넓은 소매를 고치지도 않고서 그것이 예법이라고만 하고 있을 것인가. 내 그대에게 세 가지를 말하였는데 한 가지도 하지 못하겠다면서 그래도 신임 받는 신하라고 생각하는 모양이군. 이런 놈은 당장 죽여 없애야 해."
하고 좌우를 돌아보며 칼을 찾는 것이었다.
이완은 크게 놀라 일어서서 뒷문으로 도망쳐버렸다.
이완은 다음날 아침 마음을 가다듬고 다시 허생을 찾아갔으나 그의 방은 텅 비고 어디론가 사라지고 없었다.
허생전에 나타난 경제원리
1.독점
- 완전독점: 공급자가 하나이다.
. 독점공급량= 시장공급량,
THEREFORE
시장수요=독점기업 수요함수
. 시장지배력(mkt power: 가격, 수량, 품질 등)을 지니고 price-setter
. 독점에선 공급함수란 개념이 적용 안된다.
- 원인: 진입장벽(entry barriers)
. 규모의 경제: 자연독점
. 원자재 및 기술 등
. 제도: 정부의 인허가
ㅇ독점기업이 가격설정을 하면 공급량은 수요곡선에 따라 결정됨
ㅇ이윤극대화 :
pi`
= 총수입- 총비용 =
P`(Q)
*Q - TC(Q)
- 완전경쟁과 달리 독점기업은 가격을 결정하지만, 가격은 수요변화를 통해 수입에 영향미침.
- 먼저, 총수입과 한계수입을 차례로 살펴봄. (총비용과 한계비용은 앞에서 살폈음)
- 총수입 : 완전경쟁(좌도와 우도 파란선)과 완전독점(중앙 그림과 우도 빨간선) 경우
- 수요함수 :
P = 10-Q`
와 같이 직선이면
RARROW
.
Rev(==P*Q) = 10Q -Q^2`
. 한계수입 MR=10-2Q
ㅇ
pi`
= P(Q)*Q - TC(Q)의 이윤식을 그림으로
RARROW
총수입과 총비용의 차이
ㅇ한계수입=한계비용에서 이윤극대화
- 위 그림에서 총비용과 총수입의 차이를 살피며 이윤이 극대화되는 점을 찾았다. 그런데 이러한 점에서는 총수입의 접선 기울기(한계수입)와 총비용의 접선 기울기(한계비용)가 같게 된다는 것을 살폈다.
- 아래 그림에서는 "총비용과 총수입" 대신 이들의 접선 기울기인 한계비용 곡선과 한계수입 곡선을 이용하여 이윤극대화를 더욱 편리하게 나타내고 있다.
- 즉, 이윤이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한계비용곡선과 한계수입곡선이 만나는 점①에서 생산을 해야 한다. 그리고 ①만큼을 팔릴 수 있도록 가격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수요곡선과 만나는 점②에서 결정해야 한다.
- 참고로, 완전경쟁 시장에서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즉, 한계비용곡선)이 만나는 ③에서 결정되고 ③'만큼 공급하게 된다. 완전독점은 완전경쟁에 비해 가격은 높게 그리고 공급은 적게 이루어진다.
ㅇ 정리 : 완전경쟁과 완전독점의 차이점 비교
-
PI`
= P(Q)*Q - TC(Q) vs.
PI`
=
barP`
*Q-TC(Q)
- 모두 MC=MR에서 이윤극대화: 완전경쟁에선 MR=P이나, 완전독점에선 P
MR임.
ㅇ 사회적 후생 비교 : 독점에 따른 dead-wight loss
- 생산자잉여, 소비자잉여, 독점이윤, 독점비용에 대해 설명
ㅇ 독점비용 : 가격상승, 공급량 감소 => DWL
ㅇ 독점방지 방안 : 반독점법, 가격상한제, 진입허용 등
ㅇ 독점이윤에 대한 과세 : lump-sum tax, sals tax
ㅇ 가격차별화
<예> 극장표, 비행기, 할인권, 장학금, 수량할인 등
<예> 베스트셀러: 200만$ 판권, 출판비=0 (사이버출간?)
책값
수요
수입
30$
10만부
5$
40만부
case1 : 미국과 캐나다
case2 : Hardcover, Paperback
case3 : cyber-celling
ㅇ독점사업자의 이윤극대화 책값은? ㅇ차별가격은?
<전제> : 시장의 구분, 그룹별 탄력성 차이, 이전판매 불가 등
<종류> : 3급 가격차별 : 시장분할
2급 가격차별 : 구매량 차별(non-linear pricing)
1급 가격차별 : 완전가격차별
ㅇ자율 시장기능의 장애: 진입장벽, 자연독점, 공공재, 외부성, 도덕성
ㅇ 자연독점 : 전화와 같은 장치산업: 계속적 한계비용 감소
ㅇ 불완전 경쟁 상태
- 택시 합승 : 공급 및 가격규제와 합승
- 예식장의 횡포 : 끼워팔기: 사진촬영, 음식, 드레스 등
- 진입장벽 : 노조의 횡포: 죽어나는 outsider, 놀아나는 insider.
. 슈퍼마켜 약품 판매와 약사면허 반납, 한약값의 고가화
- 가격규제: 가격상한제(아파트분양), 가격하한제(최저임금), 단일가격
. 인위적 가격동결은 암시장, 품질저하, 용량감소, 끼워팔기 등
. 미국의 60년대 집세동결과 그 악영향
. 전화번호 단일가격의 비효율; 추첨, 뒷거래 등: 경매
ㅇ 공공재 : 비경합성, 비배제성
- 비배타적 non-private goods => 사용제한 불가 => 무임승차
- 민간기업 제공시 실패 => 국가 대행
- 진정한 수준의 수요 모름 : - Revelation mech.
ㅇ 장기의 상업적 거래 : 사후계약?
- 마약 : 환자? 범죄자인가? : 중독성, 불법거래
ㅇ 외부효과(Externality)
- external economy vs, external diseconomy
- 외부효과의 내생화 : 결합생산, 피구비안 tax, 권리부여
(+) 외부효과 (-) 외부효과
ㅇ 환경오염 규제정책: 금지, 허용기준, 시장유인 간접규제
- 간접규제: 상대에게 재산권부여, 요염배출부과금, 정화보조금
"사대부들이 모두 이 나라의 예법을 고집하려고 할 터인데 누가 머리를 잘라서 땋고 오랑캐 의복을 입으려고 하겠습니까?"
그러자 허생이 크게 꾸짖으며 말했다.
"소위 사대부란 것이 무엇이란 말인가. 오랑캐의 땅에서 나가지고 자칭 사대부라고 하니 어찌 어리석지 않은가. 옷은 순전히 흰 것만 입으니 그것은 상제의 의복이 아닌가. 머리털을 송곳처럼 죄어 매는 것은 남방의 오랑캐들이나 하는 짓인데 무엇으로써 예법을 찾으려고 하는가. 장차 이 나라에 전쟁이 일어나면 활을 쏘고 돌을 던져야 할 터인데, 거추장스러운 그 넓은 소매를 고치지도 않고서 그것이 예법이라고만 하고 있을 것인가. 내 그대에게 세 가지를 말하였는데 한 가지도 하지 못하겠다면서 그래도 신임 받는 신하라고 생각하는 모양이군. 이런 놈은 당장 죽여 없애야 해."
하고 좌우를 돌아보며 칼을 찾는 것이었다.
이완은 크게 놀라 일어서서 뒷문으로 도망쳐버렸다.
이완은 다음날 아침 마음을 가다듬고 다시 허생을 찾아갔으나 그의 방은 텅 비고 어디론가 사라지고 없었다.
허생전에 나타난 경제원리
1.독점
- 완전독점: 공급자가 하나이다.
. 독점공급량= 시장공급량,
THEREFORE
시장수요=독점기업 수요함수
. 시장지배력(mkt power: 가격, 수량, 품질 등)을 지니고 price-setter
. 독점에선 공급함수란 개념이 적용 안된다.
- 원인: 진입장벽(entry barriers)
. 규모의 경제: 자연독점
. 원자재 및 기술 등
. 제도: 정부의 인허가
ㅇ독점기업이 가격설정을 하면 공급량은 수요곡선에 따라 결정됨
ㅇ이윤극대화 :
pi`
= 총수입- 총비용 =
P`(Q)
*Q - TC(Q)
- 완전경쟁과 달리 독점기업은 가격을 결정하지만, 가격은 수요변화를 통해 수입에 영향미침.
- 먼저, 총수입과 한계수입을 차례로 살펴봄. (총비용과 한계비용은 앞에서 살폈음)
- 총수입 : 완전경쟁(좌도와 우도 파란선)과 완전독점(중앙 그림과 우도 빨간선) 경우
- 수요함수 :
P = 10-Q`
와 같이 직선이면
RARROW
.
Rev(==P*Q) = 10Q -Q^2`
. 한계수입 MR=10-2Q
ㅇ
pi`
= P(Q)*Q - TC(Q)의 이윤식을 그림으로
RARROW
총수입과 총비용의 차이
ㅇ한계수입=한계비용에서 이윤극대화
- 위 그림에서 총비용과 총수입의 차이를 살피며 이윤이 극대화되는 점을 찾았다. 그런데 이러한 점에서는 총수입의 접선 기울기(한계수입)와 총비용의 접선 기울기(한계비용)가 같게 된다는 것을 살폈다.
- 아래 그림에서는 "총비용과 총수입" 대신 이들의 접선 기울기인 한계비용 곡선과 한계수입 곡선을 이용하여 이윤극대화를 더욱 편리하게 나타내고 있다.
- 즉, 이윤이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한계비용곡선과 한계수입곡선이 만나는 점①에서 생산을 해야 한다. 그리고 ①만큼을 팔릴 수 있도록 가격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수요곡선과 만나는 점②에서 결정해야 한다.
- 참고로, 완전경쟁 시장에서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즉, 한계비용곡선)이 만나는 ③에서 결정되고 ③'만큼 공급하게 된다. 완전독점은 완전경쟁에 비해 가격은 높게 그리고 공급은 적게 이루어진다.
ㅇ 정리 : 완전경쟁과 완전독점의 차이점 비교
-
PI`
= P(Q)*Q - TC(Q) vs.
PI`
=
barP`
*Q-TC(Q)
- 모두 MC=MR에서 이윤극대화: 완전경쟁에선 MR=P이나, 완전독점에선 P
MR임.
ㅇ 사회적 후생 비교 : 독점에 따른 dead-wight loss
- 생산자잉여, 소비자잉여, 독점이윤, 독점비용에 대해 설명
ㅇ 독점비용 : 가격상승, 공급량 감소 => DWL
ㅇ 독점방지 방안 : 반독점법, 가격상한제, 진입허용 등
ㅇ 독점이윤에 대한 과세 : lump-sum tax, sals tax
ㅇ 가격차별화
<예> 극장표, 비행기, 할인권, 장학금, 수량할인 등
<예> 베스트셀러: 200만$ 판권, 출판비=0 (사이버출간?)
책값
수요
수입
30$
10만부
5$
40만부
case1 : 미국과 캐나다
case2 : Hardcover, Paperback
case3 : cyber-celling
ㅇ독점사업자의 이윤극대화 책값은? ㅇ차별가격은?
<전제> : 시장의 구분, 그룹별 탄력성 차이, 이전판매 불가 등
<종류> : 3급 가격차별 : 시장분할
2급 가격차별 : 구매량 차별(non-linear pricing)
1급 가격차별 : 완전가격차별
ㅇ자율 시장기능의 장애: 진입장벽, 자연독점, 공공재, 외부성, 도덕성
ㅇ 자연독점 : 전화와 같은 장치산업: 계속적 한계비용 감소
ㅇ 불완전 경쟁 상태
- 택시 합승 : 공급 및 가격규제와 합승
- 예식장의 횡포 : 끼워팔기: 사진촬영, 음식, 드레스 등
- 진입장벽 : 노조의 횡포: 죽어나는 outsider, 놀아나는 insider.
. 슈퍼마켜 약품 판매와 약사면허 반납, 한약값의 고가화
- 가격규제: 가격상한제(아파트분양), 가격하한제(최저임금), 단일가격
. 인위적 가격동결은 암시장, 품질저하, 용량감소, 끼워팔기 등
. 미국의 60년대 집세동결과 그 악영향
. 전화번호 단일가격의 비효율; 추첨, 뒷거래 등: 경매
ㅇ 공공재 : 비경합성, 비배제성
- 비배타적 non-private goods => 사용제한 불가 => 무임승차
- 민간기업 제공시 실패 => 국가 대행
- 진정한 수준의 수요 모름 : - Revelation mech.
ㅇ 장기의 상업적 거래 : 사후계약?
- 마약 : 환자? 범죄자인가? : 중독성, 불법거래
ㅇ 외부효과(Externality)
- external economy vs, external diseconomy
- 외부효과의 내생화 : 결합생산, 피구비안 tax, 권리부여
(+) 외부효과 (-) 외부효과
ㅇ 환경오염 규제정책: 금지, 허용기준, 시장유인 간접규제
- 간접규제: 상대에게 재산권부여, 요염배출부과금, 정화보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