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의 관점에서 본 여성 정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머리말
2. 여성정책의 개념
3. 신뢰의 정의
4. 연구의 한계
II. 본론
1. 여성정책 행정조직
2. 98년도 여성정책 추진현황
3. 기타 부처의 여성정책 전담 부서의 추진과제
4. 중앙 및 시·도별 여성발전기금 조성현황
III. 결론
. 신뢰의 관점에서 본 여성정책의 평가
2. 여성정책과 신뢰의 담보를 위한 제언

본문내용

조성하였으며 올해에도 50억을 조성하여 현재 100억의 기금을 마련해 놓고 있다. 내년에도 여성특별위원회 조정예산에 50억이 확보되어있다. 여성특별위원회에서는 기금 지원사업으로 올 7월에 총 12개의 프로젝트에 8천만원을 지원한 바 있고, '99년도의 지원을 위해 총 3억 규모로 하여 곧 사업공모를 할 예정이다. 기금 지원을 받은 사업에 대한 평가 등이 중요한데, 이에
대해 여성특위가 기금운영 전반의 기틀을 마련하려 노력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중앙 뿐 아니라 광역자치단체들의 기금조성도 그리 순조롭지 못한 실정이다. 아직 시행규칙이 마련되지 않은 곳도 있고, 대부분이 연도별 조성목표액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9) 국제협력과 통일에의 여성역할 증대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이행평가 및 그 결과에 대만 홍보 등이 순조로웠으며, 여성국제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정책도 추진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IMF로 인하여 여성의 국제교류가 부진한 상황이다. 또한 ILO의 미가입조약 비준 결정이 부분적(제111호)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비준해야할 조항들이 남아있다.
탈북여성의 사회적응 실태조사 및 통일관련 여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남북한 여성단체의 교류활동은 답보상태이다. 정치적 상황도 작용하겠으나 여성 단체의 북한 접촉 신청 건수에 비해 성사된 건수가 적다. 또한 여성 통일전문가 육성을 위한 보다 전문적이며 장기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전체적으로 보면 [제1차 여성정책기본계획]의 수립 및 주요 부처의 여성정책담당관실의 신설 등으로 부처별 여성정책의 체계가 마련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정부 각 부처에서 여성정책이 충실히 추진되기 위해서는 여성정책담당관실이 소속 부처에서 주변 부서가 아니라 중요한 부서로 자리 매김 되어야만 하므로 이들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기타 부처의 경우 여성정책기본계획에 따라 정책을 나열하고는 있으나 구체적인 실행화에 대해서는 큰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 동 계획의 이행에 대한 여성계의 지속적인 모니터와 평가가 필요하다. 끝으로 이제까지 여성정책을 평가하는 작업을 할 때마다 무엇을 준거로 하고, 어떠한 객관적인 지표를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을 해왔다. 어느 한 분야에 제한된 정책도 아니고 다면적이고 방대한 여성정책을 평가하는 틀을 만드는 일은 충분한 연구(예산)와 합의가 필요로 한다. 여성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 더 나아가서는 정부의 모든 정책을 gender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방법론과 도구의 개발이 시급하다.
[ 참 고 문 헌 ]
박통희, (1998. 5), 신뢰와 불신의 역학: 불신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교육부(1998. 9), [제197회 임시국회 제2차 여성특별위원회 보고자료 : 주요업무현
황보고]
김선욱, 김원홍, 김명숙 등(1993), [여성정책담당 국가행정기구의 기능강화 방안]
김선욱(1998), '여성특별위원회의 역할과 과제' 제1차 21세기 여성포럼 [여성특별위
원회 위원장 초청장 간담회 자료] 1998. 5. 14
김선욱(1998), 제34회 여협전국여성대회 발제강연 자료 1998. 9. 30
김원홍 등(1997), [중앙과 지방의 여성정책 연계추진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김재인 등(1998), '현정부의 여성정책 평가 및 새정부의 단기 여성정책 추진과제'
한국여성개발원
김엘림(1996), [여성발전기본법의 내용과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노동부(1998. 9), [제197회 임시국회 여성특별위원회 보고자료 : 노동여성부문주요
업무보고]
농림부(1998. 9), [제197회 임시국회 제1차 여성특별위원회 보고자료 : 주요업무현
황보고]
법무부(1998. 9), [제197회 임시국회 여성특별위원회 보고자료 : 여성정책관련업무
현황]
보건복지부(1998. 9), [제197회 국회 여성특별위원회 보고자료 : 주요업무현황보고]
정무장관(제2)실, [제1차 여성정책기본계획]
정영애(1998), '경상남도 여성정책 평가에 관한 강평' 경상남도 여성정책 평가 세
미나 자료
조순경(1998), '성차별적 구조조정과 여성고용' 한국여성단체연합주최 토론회자료.
1998. 10. 22
여성특별위원회행정자치부(1998. 9), [제197회 국회 여성특별위원회 보고자료 주요
업무현황보고]
여성특별위원회(1998. 6), [제1차 여성정책기본계획 1998년도 시행계획]
행정자치부(1998. 9), [제197회 임시국회 여성특별위원회 보고자료 : 주요업무 현황
보고]
행정자치부(1998), [공직사회의 여성정책 및 남녀평등의식조사] 결과보고서
기타 정부 각 부처 인터넷 홈페이지의 정책자료
각종 법령 및 지침
강이수, 정혜선 (1997), "여성정책과 평등지위의 실현", 「6월민주항쟁과 한국사회
10년」, 당내.
__________(1996b), 「여성발전기본법의 내용과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메리 맥킨토시 (1986), 「국가와 여성억압」, 안마리울프·안네트 퀸 엮음, 강선미
옮김,「여성과 생산양식」, 한겨레.
여성특별위원회 (1998), 「주요업무보고」.
__________(1998), 「제1차 여성정책기본계획 1998년도 시행계획」.
앤 쇼우스턱 사순 편저 (1989), 「여성과 국가」,한국여성개발원.
장하진 (1994), "여성노동정책의 현황과 전망", 「한국사회개혁의 과제와 전망」,
한국사회학회.
장필화 (1990), "여성정책을 위한 기초적 검토 - 여성학적 시각에서", 「여성학논
집」, 제7집
정무장관 제2실 (1997), 「제1차 여성정책기본계획」.
조형 (1996), "법적 양성 평등과 성의 정치" 「양성평등과 한국 법체제」, 이대출
판부.
한국여성단체연합 (1997), 「김영삼정부 여성정책 평가 및 여성정책 발전방향 토
론회」.
여성유권자연맹「새정부의 여성정책」공개토론회 자료 :
한국여성개발원 김양희 수석연구원의「현정부의 98년도 여성
정책 평가」
Roy Lewicki, Daniel J. McAllister and Robert J. Bies ,Trust and Distrust : New Relationship and Realities
I
  • 가격3,3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02.06.10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