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우사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우그룹의 효과

(1)긍정적 효과

(2)부정적 효과

2. 원인

(1)김우중의 잘못된 경영

(2)정경유착이 난무하는 한국경제

(3)채권단의 실수

3. 대우 사태의 영향

(1) 전문경영인들에게 미칠 영향

(2) 임직원들의 일자리문제

4. 대우 사태의 해결

(1)계열분리

(2)전문경영인 체제로의 바꿈

(3)정경유착의 청산

(4)독립된 권력을 가진 그룹 감시의 강화

본문내용

1조6천9백억 원으로 잡았다.
공작기계의 경우 벌써 8월까지 수출물량 계약이 끝나 공장 돌리기에 바쁘다. 지난해에는 중국에 굴착기 1천4백25대를 수출, 현지 건설중장비 시장에서 처음 1위(점유율 22%)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분리과정에서 부실을 털어 내 외국바이어들의 신뢰를 되찾을 수 있었던 점이 가장 큰 자산" 이라'며 "직원들도 대우시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워크 아웃 체제에서 빨리 벗어나기 위해 노력을 보태 나름대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고 말했다.
(2)전문경영인 체제로의 바꿈
金전회장도 처음부터 나쁜 마음먹고 그룹을 망하게 한 것은 아닐 것이다. 황제 같은 권한으로 방만한 차입경영을 하다 1997년 외환 위기시 갑자기 증가한 이자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대우. 대우자동차. 대우중공업 등에서 일제히 자산 불리기 분식회계를 하고 이를 토대로 불법대출을 받아 그 중 일부를 비자금과 해외로 빼돌린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총수 독단 경영을 집사형 경영인들이 공모해 도와줬고 그 결과 주주의 이익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총수 이익을 위해 봉사한 것이 돼 버렸다. 현대 등 다른 재벌도 마찬가지다. 총수의 독단적 경영과 이에 부화뇌동하는 집사형 경영이 계속되는 한 언제 이러한 사고가 발생할지 모른다.
하루속히 책임지고 경영을 하는 명실상부한 전문경영인 체제로 바뀌어야 한다.
(3)정경유착의 청산
마지막으로 정경유착을 근절하기 위한 정치개혁이 시급하다. 어느 기업을 막론하고 부실경영의 뒤에는 정경유착의 비리가 숨겨져 있다. 지대(地代) 를 챙기기 위한 기업의 노력과 정치자금을 필요로 하는 정치권의 요구가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대우의 비자금 조성이 이와 무관하기를 바라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을 개연성이 크다. 현대의 경우에도 경제논리대로 문제를 풀어야지 여기에 정치적 논리로 문제를 다루게 되면 반드시 후회할 날이 올 수 있다.
(4)독립된 권력을 가진 그룹 감시의 강화
그룹을 감시하고 견제할 기구가 없었다. 금융이나 정부라도 이를 감시해야 하나 이른바 정경유착 관행으로 이를 방조할지언정 견제하지 못했다. 개별기업이라면 주주총회와 이사회 등의 견제기능이 작동하고 은행의 심사와 견제가 가능할 것이나 총수 산하 대규모 그룹에 대해서는 견제기능이 작동할 수 없었다. 현대도 그룹경영을 고수하는 한 이러한 가능성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룹경영을 그대로 둔 채 진행되는 현대 지원의 위험성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6.13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