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민여성교육을 위한 사업계획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A. 각 지역 단위 여성학교, 어린이집, 공부방에서 우선적으로 할 수 있는 사업

1. 여성교육

2. IMF 여성실업

3. 생존권

4. 여성복지

5. 10대 여성(청소녀들을 위해서)

B. 부스러기선교회와 빈민여성교육선교원에서 해야 할 일

1. 여성교육

2. IMF시대의 여성실업

3. 생존권· 주거권

4. 여성복지

5. 10대 여성

본문내용

) 부스러기선교회와 빈민여성교육선교원 소속단체 외 여성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민간단체 파악
13) 빈민지역여성의 의식개발과 변화를 위한 지속교육 프로그램 제시
14) 여성지도자 자녀교육(심성훈련)
2. IMF시대의 여성실업
빈민지역의 여성 경우 IMF 이전부터 장기실업에 불안정 고용상태였다. 일정부분 빈민 여성취업에 대한 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의 부재에도 문제가 있다고 본다. 부스러기선교회와 빈민여성교육선교원은 여성가장의 취업과 실업문제에 대해 정부에 지속적인 정책 건의를 해 주기 바란다. 빈민여성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단체의 역할을 다 해야 한다.
1) 빈민여성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 건의
2) 빈민여성 실업과 고용정책에 대한 공청회 마련
3) 빈민지역 여성가장의 실업의 실태 조사
3. 생존권· 주거권
각 단위에서 실직가정과 여성, 아동들을 위한 무료급식소를 운영하여 지역사회 안에서 나눔과 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제안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에서 생존의 어려움에 있는 가정들이 귀농을 희망할 경우 농촌의 단위와 결합하여 귀농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또한 빈민여성지도자들의 생존의 문제도 심각하다. 활동가의 이름으로 일하면서 최저생계비에도 못미치는 활동비를 받으며 빈민지역에서 일하는 여성지도자들이 실제적인 빈민여성이다. 이들이 쉼없이 일할 수 있는 최저생계비를 나누도록 한다.
1) 무료급식실시를 위한 제안 및 정보제공
2) 귀농교육 (인원선발)
3) 빈민여성 지도자들의 최저생계비를 보장을 위한 나눔
4. 여성복지
주로 나온 이야기는 부스러기선교회와 빈민여성교육선교원에서는 빈민여성 지도자들이 계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빈민여성지도자들의 복지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도움을 요청한다.
1) 정책건의
2) 실무자 재교육, 실무자 자녀 장학금, 실무자 장학금
3) 여성담당기관에 전문인력 파견(사회복지사, 의료보건 등)
4) 빈민여성 지도자(활동가)를 위한 쉼터 운영
5. 10대 여성
10대 여성(청소녀)들을 위한 부스러기선교회와 빈민여성교육선교원에 요청하는 내용은 지역단위에서 하기에 역량이 부족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연합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해 주길 요청한다. 문화행사나 캠프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주길 바라며 빈민여성지도자의 자녀들에 대한 지원도 절실하게 필요하다.
1) 성교육실시
2) 캠프실시(딸들을 위한 캠프지원 - 성, 자존감, 여성으로서의 정체성 확립)
3) 실무자 자녀에 대한 장학금 확대 지급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6.13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