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칼빈의 성례론
1. 성례의 정의
2. 성례와 성령
3. 성례의 필요성
Ⅲ. 칼빈의 성찬론
1. 칼빈의 성만찬의 형성
2. 성찬의 필요성
3. 성찬의 표호와 실체
4. 성찬의 영향
Ⅳ. 결 론
Ⅱ. 칼빈의 성례론
1. 성례의 정의
2. 성례와 성령
3. 성례의 필요성
Ⅲ. 칼빈의 성찬론
1. 칼빈의 성만찬의 형성
2. 성찬의 필요성
3. 성찬의 표호와 실체
4. 성찬의 영향
Ⅳ. 결 론
본문내용
92), P. 158
그러므로 성찬을 받는 우리들의 모습들은 어떠해야 하는가? 하나님의 우리에게 주시는 이것을 통해서 우리는 온전한 교제를 해야한 것이다. 또한 우리는 성찬을 받음으로 새로운 영적인 힘을 얻어야만 하는 것이다.
3. 성찬의 표호와 실체
그리스도의 성만찬의 표호는 떡과 포도주이고, 그 표호가 표현하는 실체는 우리 영혼의 유일한 생명양식인 그리스도이시다.
) 나용화, 칼빈의 기독교 강요개설 (기독교문서선교회,1992), P.158
4. 성찬의 영향
성찬의 효과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들에게 주시는 구속과 의와 성화와 영생과 그밖의 모든 은혜들이다.
) 도날드 K백킴 외, p.270
성찬을 통해서 우리가 중보자와의 교제에 이르게 되면 그가 우리를 대신해서 획득한 그 모든 것을 받게 된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살과 피에 참여함으로써 그가 당한 수난을 통해 우리에게 베풀어지는 모든 유익을 누리게 된다.
주의 살과 피가 우리를 위해 주어졌고 흘렸다는 사실과 우리의 구속과 구원을 위해 단번에 행해진 것이라는 사실을 믿게 될 때 성찬의 약속의 말씀에 근거한 유익이 우리에게 주어질 것이다.
Ⅳ. 결 론
이상으로 칼빈의 성찬론을 살펴봄으로써 성찬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수준에까지 낮추심으로 우리의 신앙을 북돋아 주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선하심에 대한 탁월한 본보기임을 알수 있다.
그리스도의 죽음이 은혜를 주는 의미는 첫째로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와 한 몸이 되게 하시려는 것이며 둘째는 예수 그리스도에 실체에 참여 하게된 우리가 그의 모든 은혜에 참여하며 또한 그의 능력을 느끼는데 있다. 이것은 약속의 말씀을 통해서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성찬을 통해서 주의 백성들이 누리게 되는 유익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구속과 의와 성화와 영생과 그 밖의 모든 은혜들이다.
칼빈의 신학의 흐름은 신앙의 확실성을 성령에게 돌린다. 그래서 그는 성찬의 실체인 예수그리스도와 연합하고 교통하며 유익을 누리게 하는 것은 성령의 역사라고 일관하게 말한다.
여기서 한국 교회들의 문제는 무엇인가?
지금 교회들은 일년에 몇 차례 의식을 행하듯이 성찬을 하고 있다. 그러나 초대 교회는 매주 시행한 것을 볼 수가 있다. 우리의 성만찬에 대한 견해를 달리해야하며 우리는 그 칼빈의 성만찬의 의미를 다시 깨닫고 올바른 성만찬을 행하며 또한 믿음으로 성만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올바르게 지도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 교회들은 성만찬의 중요성을 다시 깨닫고, 성만찬을 행해야 할 것이다. 그냥 무슨 때만 아니라 매주 행하는 것이 좋을듯하다.
그러나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매주 시행하면서 나도 보아왔지만, 하다가 보면 이제 형식적으로 의례적으로 습관적으로 행하게 될 수가 있다.
이런 것들을 막기 위해 더욱 성만찬의 중요성을 다시 말해야하며, 올바로 믿음을 가지고 예수님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면서 더욱 찬양과 감사의 제사를 드려야 한다는 것이다.
칼빈의 성례와 성만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고 올바로 행해야 할 것이다.
◎ 참고 도서 ◎
휴 T.커어 편. 유원열 역, 칼빈의 기독교강요 (기독교연합신문사,2000)
해롤드 나이트, 칼빈의 신학사상 (기독교문화협회,1987)
도날드 매킴/이종태, 칼빈신학의 이해 (생명의말씀사,1991)
나용화 저, 칼빈의 기독교 강요 개설 (기독교 문서선교회,1992)
이근삼, 칼빈 칼빈주의 (엠마오,1988)
존 칼빈 원저,박해경 편저, 칼빈의 기독교 강요 요약 (아가페문화사,1998)
포드 배틀즈 서론/ 양낙흥 옮김, 존 발빈 기독교 강요 (크리스챤다이제스트,1998)
김영재, 기독교 교회사 (엠마오,1985)
김성린, 기독교 교리 개설 (개혁주의 신행협회,1988)
그러므로 성찬을 받는 우리들의 모습들은 어떠해야 하는가? 하나님의 우리에게 주시는 이것을 통해서 우리는 온전한 교제를 해야한 것이다. 또한 우리는 성찬을 받음으로 새로운 영적인 힘을 얻어야만 하는 것이다.
3. 성찬의 표호와 실체
그리스도의 성만찬의 표호는 떡과 포도주이고, 그 표호가 표현하는 실체는 우리 영혼의 유일한 생명양식인 그리스도이시다.
) 나용화, 칼빈의 기독교 강요개설 (기독교문서선교회,1992), P.158
4. 성찬의 영향
성찬의 효과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들에게 주시는 구속과 의와 성화와 영생과 그밖의 모든 은혜들이다.
) 도날드 K백킴 외, p.270
성찬을 통해서 우리가 중보자와의 교제에 이르게 되면 그가 우리를 대신해서 획득한 그 모든 것을 받게 된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살과 피에 참여함으로써 그가 당한 수난을 통해 우리에게 베풀어지는 모든 유익을 누리게 된다.
주의 살과 피가 우리를 위해 주어졌고 흘렸다는 사실과 우리의 구속과 구원을 위해 단번에 행해진 것이라는 사실을 믿게 될 때 성찬의 약속의 말씀에 근거한 유익이 우리에게 주어질 것이다.
Ⅳ. 결 론
이상으로 칼빈의 성찬론을 살펴봄으로써 성찬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수준에까지 낮추심으로 우리의 신앙을 북돋아 주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선하심에 대한 탁월한 본보기임을 알수 있다.
그리스도의 죽음이 은혜를 주는 의미는 첫째로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와 한 몸이 되게 하시려는 것이며 둘째는 예수 그리스도에 실체에 참여 하게된 우리가 그의 모든 은혜에 참여하며 또한 그의 능력을 느끼는데 있다. 이것은 약속의 말씀을 통해서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성찬을 통해서 주의 백성들이 누리게 되는 유익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구속과 의와 성화와 영생과 그 밖의 모든 은혜들이다.
칼빈의 신학의 흐름은 신앙의 확실성을 성령에게 돌린다. 그래서 그는 성찬의 실체인 예수그리스도와 연합하고 교통하며 유익을 누리게 하는 것은 성령의 역사라고 일관하게 말한다.
여기서 한국 교회들의 문제는 무엇인가?
지금 교회들은 일년에 몇 차례 의식을 행하듯이 성찬을 하고 있다. 그러나 초대 교회는 매주 시행한 것을 볼 수가 있다. 우리의 성만찬에 대한 견해를 달리해야하며 우리는 그 칼빈의 성만찬의 의미를 다시 깨닫고 올바른 성만찬을 행하며 또한 믿음으로 성만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올바르게 지도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 교회들은 성만찬의 중요성을 다시 깨닫고, 성만찬을 행해야 할 것이다. 그냥 무슨 때만 아니라 매주 행하는 것이 좋을듯하다.
그러나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매주 시행하면서 나도 보아왔지만, 하다가 보면 이제 형식적으로 의례적으로 습관적으로 행하게 될 수가 있다.
이런 것들을 막기 위해 더욱 성만찬의 중요성을 다시 말해야하며, 올바로 믿음을 가지고 예수님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면서 더욱 찬양과 감사의 제사를 드려야 한다는 것이다.
칼빈의 성례와 성만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고 올바로 행해야 할 것이다.
◎ 참고 도서 ◎
휴 T.커어 편. 유원열 역, 칼빈의 기독교강요 (기독교연합신문사,2000)
해롤드 나이트, 칼빈의 신학사상 (기독교문화협회,1987)
도날드 매킴/이종태, 칼빈신학의 이해 (생명의말씀사,1991)
나용화 저, 칼빈의 기독교 강요 개설 (기독교 문서선교회,1992)
이근삼, 칼빈 칼빈주의 (엠마오,1988)
존 칼빈 원저,박해경 편저, 칼빈의 기독교 강요 요약 (아가페문화사,1998)
포드 배틀즈 서론/ 양낙흥 옮김, 존 발빈 기독교 강요 (크리스챤다이제스트,1998)
김영재, 기독교 교회사 (엠마오,1985)
김성린, 기독교 교리 개설 (개혁주의 신행협회,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