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고양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실수를 그가 저지를 것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그는 오직 생각하기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로데릭 어셔는 오로지 느끼기만 한다. 사람의 혼잡을 찾아서 밤새도록 거리를 헤매는 《군중 인간》의 노인 따위는, 앞서의 《문학용어사전》알레고리 항의 <개인적인 의지나 심리를 가지지 않는 추상관념의 화신>으로 생각해도 좋을 정도로 알레고리적이다. 그러나 이 노인이 인간인 것을 그만두고 자동인형이 되어 있는 부분만큼, 무엇인가가 명백하게 되어 있지 않다면 실로 하잘 것 없는 이야기이며, 그렇다면 이 이야기가 오늘날까지 살아 있을 턱이 없는 것이다. 이 작품이 명백히 해준 것은 <군중 속의 고독>이라는 근대 또는 현대 사회의 도식이며, 이 작품이 묘사한 것은 그러한 근대·현대 사회의 맨손으로는 도저히 잡을 수 없는 불길한 현실인 것이다. 거기에 이 작품의 현대적인 의의, 문학상의 미질이 있으며, 포우의 작품의 태반의 의의와 미질도 거기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포우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군중 인간》의 이름없는 노인을 하나의 전형으로 하여 각자가 알레고리에 속하는 것이며, 그 알레고리의 성공 여부와 질에 따라서 그의 작품의 <현실> 묘사의 성공이 좌우되고 작품의 질의 차이가 생겨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포우의 작품을 읽는 즐거움의 다과는 그러한 알레고리컬한 이야기에서 어떠한 심벌리컬한 의미를 파악해 내는가에 달려 있다고도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인간 조형의 재능이 결여되어 있다,>고 하는 말은, 포우와 같은 작가에 대해서는, 사실의 지적이라면 몰라도 비난할 구실은 될 수가 없는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6.15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