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조
2.본관및 시조유래
3.분파도및 분적도
4.족보종류와 구분
5.익제공파
2.본관및 시조유래
3.분파도및 분적도
4.족보종류와 구분
5.익제공파
본문내용
역관이 고개를 끄덕였다. 종준이 들어오는 길에 다시 그 곳에 이르니 새 병풍을 두 벌 펼쳐 놓았으므로 종준이 한편에서는 글씨를 쓰고 한편에서는 그림을 그리니 모두 정묘(精妙)한 경지에 이르러 보는 사람이 모두 감탄하였다고 한다.
그 뒤 종준은 벼슬이 사인(舍人)에 이르렀으나 연산군(燕山君) 때 북계(北界 : 함경도)로 귀양을 가게 되었는데, 고산역 (高山驛)을 지나가다가 옛적 송나라 이사중(李師中)이 바른말을 하다가 귀양가는 당개(唐介)를 송별할 때 지었던 글을 비유하여 <외로운 충성을 다른 이는 따르지 못하리라 자신한다(孤忠自許衆下與)>는 율시(律詩) 한 수를 벽 위에 써 놓고 갔다. 후에 감사(監司)가 이것을 임금에게 올리니 연산군을 원망하는 뜻이 담겼다고 하여 잡아다가 국문하고 죽였다고 한다.
구한 말에 와서는 고종(高宗) 때 총융사(摠戎使)를 거쳐 지삼군부사(知三軍府事)와 어영대장(御營大將)을 지낸 현직(顯稷)과 평안도 암행어사(暗行御史)를 지내고 교정청(校正廳) 당상(堂上)에 올랐던 유승(裕承)이 유명했으며, 희수(喜秀)는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다.
군수(郡守) 유헌(裕憲)의 아들 주영(胄榮)이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과 장례원경(掌禮院卿)을 지낸 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하영(夏榮)은 중추원 고문(中樞院顧問)을 역임하였다.
이조 판서(吏曹判書) 유승(裕承)의 아들 시영(始榮)은 한일합방이 되자 만주로 망명하여 유하현(柳河縣)에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설립, 독립군 양성에 힘썼으며, 1948년 정부가 수립되자 초대 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이승만(李承晩)의 비민주적 통치에 반대하여 부통령을 사퇴했다.
을사조약(乙巳條約)의 폐기를 상소하고 자결을 시도했던 상설(相卨)은 1910년 류인석(柳麟錫) 등과 함께 <성명회(聲鳴會)>를 조직하여 한일합방의 부당성을 통박하는 성명서를 전국에 발송하고 독립운동을 주도하다가 투옥되었으나 이듬해 석방, 이동녕(李東寧) 등과 <권업회(勸業會)>를 조직하고 <권업보(勸業報)>를 발행하여 교포의 계몽과 산업발전에 이바지했다.
그밖의 인물로는 <광복단(光復團)>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벌이다가 순국한 시영(始榮)과 해방 후에 상해(上海)에서 교포의 보호에 진력했던 상정(相定)이 용맹을 떨쳤으며, 신한독립당 감찰위원장을 역임한 규채(圭彩)는 독립운동에 일생을 바친 회영(會榮)·상용(相龍)과 함께 명문의 전통 가문인 경주 이씨를 더욱 빛냈다.
기마도강도
{기마국립중앙박물관.이제현 그림. 73.6×109.4cm. 견본채색. 호복을 입은 5명의 인물이 말을 타고 겨울의 얼어붙은 강을 건너는 모습을 그린 사대부의 여기화로, 14세기 한국 회화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섬세하고 유연한 느낌을 준다. }
2)유적 사진
石祭壇(석제단)
(문화재로 지정됨)
遺墟碑를 세우기 前에 始祖祭(시조제)하던 石壇(석단)
自然岩碑(자연암비)
11785年 乙巳(을사) 7月에 後孫(후손) 永川郡守(영천군수) 集星公(집성공)이 自然岩(자연암)에 가로 瓢巖(표암) 세로 月城李氏(월성이씨) 始祖(시조) 謁平公(알평공) 降處(항처)라 彫刻(조각)하였다
박바위
(문화재로 지정됨)
始祖(시조)께서 初降(초항)하시어 沐浴(목욕)하신 곳으로 傳(전)해 내려온다.
遺墟碑閣(유허비각)
1806年(년) 丙寅(병인) 9月에 後孫(후손) 大匡輔國(대광보국) 崇祿大夫(숭록대부) 原任(원임) 左議政鰲恩君(좌의정오은군) 敬一(경일)께서 하시고 後孫(후손) 正憲大夫(정헌대부) 刑曹判書(형조판서) 兼(겸) 知經筵春秋館事(지경연춘추관사) 五衛部總管(오위부총관) 集斗(집두)께서 書(서) 하셨으며 現(현) 瓢巖薺(표암제)가 있는 곳에 建立(건립)하고 1846年(년) 丙午(병오)에 重修(중수)하셨으며 1915年(년) 乙卯(을묘) 夏(하)에 現(현) 位置(위치)로 移建(이건)되다.
景慕碑(경모비)
所在(소재) : 慶州市(경주시) 東川洞(동천동) 산16번지
建立(건립) : 西紀(서기) 1979년 11월 1일
慶州李氏中央花樹會(경주이씨중앙화수회) 總裁(총재) 秉喆(병철)의 誠金(성금)으로 세웠으며 全州人(전주인) 鷺山(노산) 李殷相(이은상) 先生(선생)께서 글을 지었으며, 題字(제자) 秉喆(병철)께서 쓰시고 鄭夏建(정하건) 先生(선생)께서 쓰셨다.
瓢巖薺(표암제)
所在地(소재지) : 慶州市(경주시) 東川洞(동천동) 산16번지
西紀(서기) 1917年(년) 丁巳(을축) 2月27日 創建發起하여 期成會를 結成하고 8年(년)에 걸친 工事(공사)로 江原道(강원도) 江陵(강릉)에서 大關嶺(대관령) 白松(백송)을 水運(수운)하여 建立(건립), 서기 1925년 乙丑(을축)에 竣工(준공)되었고 書記(서기) 1971年(년)에 重修(중수)하다
光臨臺(광임대)
始祖(시조)의 初降地(초항지)를 保護(보호)하기 爲(위)하여 1985년 國家(국가)에서 세우다.
嶽降廟(악항묘)
所在地(소재지) : 慶州市(경주시) 東川洞(동천동) 산16번지
1971년 辛亥(신해) 十月에 國家(국가)에서 건립한 楊山村長(양산촌장)(及梁部大人(급양부대인))
諱(휘) 謁平始祖(알평시조)의 廟宇(묘우)이다.
용암영당 [ 龍岩影堂 ]
고려 말기의 학자 이제현(李齊賢:1287∼1367)의 사당이다
瓢巖全景(표암전경)
始祖(시조) 諱(휘) 謁平(알평)의 招降地(초항지)이며 六部村長(육부촌장)들이 閼川岸上(알천안상)인 이곳 박바위에서 會議(회의)를 하여 朴赫居世(박혁거세)를 初代王(초대왕)으로 推戴(추대)하고 民主主義(민주주의)의 發祥地(발상지)다. 謁平(알평)께서는 紀元前(기원전) 117年(甲子)에 이곳 瓢巖峰(표암봉)으로 招降(초항)하시어 그 후 首部村長(수부촌장)인 楊山村長(양산촌장)으로 建國會議(건국회의)를 主宰(주재)하시고 朴赫居世王(박혁거세왕)을 政輔弼(참정보필)하셨으며 壽(수)는 幾二百歲(기이백세) 하셨다.
西紀(서기) 32年(儒理王(유리왕) 九年 壬辰(임진))에 楊山村(양산촌)을 及梁部(급양부)로 改稱(개칭)하고 李氏(이씨)로 賜姓(사성)하다.
嶽降廟(악항묘) 光臨臺(광임대) 遺墟碑閣(유허비각) 石祭壇(석제단) 瓢巖 (표암제) 景慕碑(경모비)가 있다.
所在(소재) : 慶州市(경주시) 東川洞(동천동) 산16번지
그 뒤 종준은 벼슬이 사인(舍人)에 이르렀으나 연산군(燕山君) 때 북계(北界 : 함경도)로 귀양을 가게 되었는데, 고산역 (高山驛)을 지나가다가 옛적 송나라 이사중(李師中)이 바른말을 하다가 귀양가는 당개(唐介)를 송별할 때 지었던 글을 비유하여 <외로운 충성을 다른 이는 따르지 못하리라 자신한다(孤忠自許衆下與)>는 율시(律詩) 한 수를 벽 위에 써 놓고 갔다. 후에 감사(監司)가 이것을 임금에게 올리니 연산군을 원망하는 뜻이 담겼다고 하여 잡아다가 국문하고 죽였다고 한다.
구한 말에 와서는 고종(高宗) 때 총융사(摠戎使)를 거쳐 지삼군부사(知三軍府事)와 어영대장(御營大將)을 지낸 현직(顯稷)과 평안도 암행어사(暗行御史)를 지내고 교정청(校正廳) 당상(堂上)에 올랐던 유승(裕承)이 유명했으며, 희수(喜秀)는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다.
군수(郡守) 유헌(裕憲)의 아들 주영(胄榮)이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과 장례원경(掌禮院卿)을 지낸 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하영(夏榮)은 중추원 고문(中樞院顧問)을 역임하였다.
이조 판서(吏曹判書) 유승(裕承)의 아들 시영(始榮)은 한일합방이 되자 만주로 망명하여 유하현(柳河縣)에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설립, 독립군 양성에 힘썼으며, 1948년 정부가 수립되자 초대 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이승만(李承晩)의 비민주적 통치에 반대하여 부통령을 사퇴했다.
을사조약(乙巳條約)의 폐기를 상소하고 자결을 시도했던 상설(相卨)은 1910년 류인석(柳麟錫) 등과 함께 <성명회(聲鳴會)>를 조직하여 한일합방의 부당성을 통박하는 성명서를 전국에 발송하고 독립운동을 주도하다가 투옥되었으나 이듬해 석방, 이동녕(李東寧) 등과 <권업회(勸業會)>를 조직하고 <권업보(勸業報)>를 발행하여 교포의 계몽과 산업발전에 이바지했다.
그밖의 인물로는 <광복단(光復團)>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벌이다가 순국한 시영(始榮)과 해방 후에 상해(上海)에서 교포의 보호에 진력했던 상정(相定)이 용맹을 떨쳤으며, 신한독립당 감찰위원장을 역임한 규채(圭彩)는 독립운동에 일생을 바친 회영(會榮)·상용(相龍)과 함께 명문의 전통 가문인 경주 이씨를 더욱 빛냈다.
기마도강도
{기마국립중앙박물관.이제현 그림. 73.6×109.4cm. 견본채색. 호복을 입은 5명의 인물이 말을 타고 겨울의 얼어붙은 강을 건너는 모습을 그린 사대부의 여기화로, 14세기 한국 회화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섬세하고 유연한 느낌을 준다. }
2)유적 사진
石祭壇(석제단)
(문화재로 지정됨)
遺墟碑를 세우기 前에 始祖祭(시조제)하던 石壇(석단)
自然岩碑(자연암비)
11785年 乙巳(을사) 7月에 後孫(후손) 永川郡守(영천군수) 集星公(집성공)이 自然岩(자연암)에 가로 瓢巖(표암) 세로 月城李氏(월성이씨) 始祖(시조) 謁平公(알평공) 降處(항처)라 彫刻(조각)하였다
박바위
(문화재로 지정됨)
始祖(시조)께서 初降(초항)하시어 沐浴(목욕)하신 곳으로 傳(전)해 내려온다.
遺墟碑閣(유허비각)
1806年(년) 丙寅(병인) 9月에 後孫(후손) 大匡輔國(대광보국) 崇祿大夫(숭록대부) 原任(원임) 左議政鰲恩君(좌의정오은군) 敬一(경일)께서 하시고 後孫(후손) 正憲大夫(정헌대부) 刑曹判書(형조판서) 兼(겸) 知經筵春秋館事(지경연춘추관사) 五衛部總管(오위부총관) 集斗(집두)께서 書(서) 하셨으며 現(현) 瓢巖薺(표암제)가 있는 곳에 建立(건립)하고 1846年(년) 丙午(병오)에 重修(중수)하셨으며 1915年(년) 乙卯(을묘) 夏(하)에 現(현) 位置(위치)로 移建(이건)되다.
景慕碑(경모비)
所在(소재) : 慶州市(경주시) 東川洞(동천동) 산16번지
建立(건립) : 西紀(서기) 1979년 11월 1일
慶州李氏中央花樹會(경주이씨중앙화수회) 總裁(총재) 秉喆(병철)의 誠金(성금)으로 세웠으며 全州人(전주인) 鷺山(노산) 李殷相(이은상) 先生(선생)께서 글을 지었으며, 題字(제자) 秉喆(병철)께서 쓰시고 鄭夏建(정하건) 先生(선생)께서 쓰셨다.
瓢巖薺(표암제)
所在地(소재지) : 慶州市(경주시) 東川洞(동천동) 산16번지
西紀(서기) 1917年(년) 丁巳(을축) 2月27日 創建發起하여 期成會를 結成하고 8年(년)에 걸친 工事(공사)로 江原道(강원도) 江陵(강릉)에서 大關嶺(대관령) 白松(백송)을 水運(수운)하여 建立(건립), 서기 1925년 乙丑(을축)에 竣工(준공)되었고 書記(서기) 1971年(년)에 重修(중수)하다
光臨臺(광임대)
始祖(시조)의 初降地(초항지)를 保護(보호)하기 爲(위)하여 1985년 國家(국가)에서 세우다.
嶽降廟(악항묘)
所在地(소재지) : 慶州市(경주시) 東川洞(동천동) 산16번지
1971년 辛亥(신해) 十月에 國家(국가)에서 건립한 楊山村長(양산촌장)(及梁部大人(급양부대인))
諱(휘) 謁平始祖(알평시조)의 廟宇(묘우)이다.
용암영당 [ 龍岩影堂 ]
고려 말기의 학자 이제현(李齊賢:1287∼1367)의 사당이다
瓢巖全景(표암전경)
始祖(시조) 諱(휘) 謁平(알평)의 招降地(초항지)이며 六部村長(육부촌장)들이 閼川岸上(알천안상)인 이곳 박바위에서 會議(회의)를 하여 朴赫居世(박혁거세)를 初代王(초대왕)으로 推戴(추대)하고 民主主義(민주주의)의 發祥地(발상지)다. 謁平(알평)께서는 紀元前(기원전) 117年(甲子)에 이곳 瓢巖峰(표암봉)으로 招降(초항)하시어 그 후 首部村長(수부촌장)인 楊山村長(양산촌장)으로 建國會議(건국회의)를 主宰(주재)하시고 朴赫居世王(박혁거세왕)을 政輔弼(참정보필)하셨으며 壽(수)는 幾二百歲(기이백세) 하셨다.
西紀(서기) 32年(儒理王(유리왕) 九年 壬辰(임진))에 楊山村(양산촌)을 及梁部(급양부)로 改稱(개칭)하고 李氏(이씨)로 賜姓(사성)하다.
嶽降廟(악항묘) 光臨臺(광임대) 遺墟碑閣(유허비각) 石祭壇(석제단) 瓢巖 (표암제) 景慕碑(경모비)가 있다.
所在(소재) : 慶州市(경주시) 東川洞(동천동) 산16번지
키워드
추천자료
환경과학(청주대학교 중간고사 족보)
[A+]부경대사회심리학 족보
[영남대] 한국미술의 족보와 이해(사진을 한글파일로..)
미국과 미국인 최종본 (족보)
프랑스 문화와 예술 퀴즈 족보
조선대 프랑스문화 예술 족보
사회학에의 초대 기말 족보
자연재해 및 방재 족보
15년형 최신 성의과학 종합강의노트 족보! 이거하나면 끝!
(A+) 자원과환경 족보 (에너지자원,원유,석탄산업,석유,원자력발전,신에너지,물의 기원,지구...
KCU 부자학 최신 기말고사 족보(2014)
신용관리와 소비생활 시험범위 (족보) - 총 정리 01편 (가계와 경제생활, 일생의 4대 재무목...
신용관리와 소비생활 시험범위 (족보) - 총 정리 02편 (판매전략과 소비행동, 비이성적 소비...
KCU소리탐험 기말고사 범위 A+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