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종문학분석) 나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줄거리

2.어휘 및 구절 이해

3.작품 해제

4.작품 해설

5.작품 이해

본문내용

희망으로 바꾸려는 옥희도의 예술혼의 산물이자 절망의 나락에서 가까스로 스스로를 건져 낸 화자의 내면 세계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오랜 여행 끝에 - 절망인지 모를 망연함. : 화자가 오랜 동안의 자신의 절망과 방황에 종지부를 찍고 삶에 대한 새로운 희망의 의지를 깨닫는 대목. 그러나 그것을 망연함이라고 말함으로써, 그간의 고통과 갈등을 짐작할 수 있다.
▶ 작품 해제
갈래 : 장편 소설
배경 : 한국 전쟁 중 서울 도심지
성격 : 전후 소설. 체험적. 시대 증언적
경향 : 일종의 성장 소설
주제 : 청춘의 성숙 과정과 진정한 삶에 대한 깨달음
▶ 작품 해설
이 작품은 온 민족이 암담했던 시절(6·25)을 살아 내면서 인간다움 내지는 가치를 실현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미군 PX의 종업원 이경은 두 오빠를 자기 실수로 죽게 했다는 죄책감과, 두 아들에 대한 회상 속에 살아가는 어머니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고독한 인물이다. 미군 애인의 초상화를 그려 먹고 사는 옥희도 역시 고독한 인물이다. 이 두 사람은 서로의 고독을 확인하고 가까워진다. 그러나 접점에서 맴돌며 사랑을 나누곤 했던 두 인물은 마침내 제 갈 길로 간다.
옥희도는 진정한 화가가 되기 위한 길을 가고 이경은 태수와 결혼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그러나 두 사람은 이렇게 헤어진 것은 아니다. 옥희도는 나목을 그림으로써 진정한 화가가 되었고, 그 나목을 고목으로만 보았던 이경은 옥희도의 유작전에서 그것이 나목이었음을 확인하고 과거의 제 모습과 자신에 대한 옥희도의 의미를 뚜렷이 자각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점에서 이 소설은 청춘의 성숙을 다룬 것이다.
▶ 작품 이해
■ "나목"의 시각적 심상
이 작품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시각적 심상이 있다. 그것은 '부우연' 휘장·'부우연' 캔버스와 같은 '부우옇다'는 심상이다. 이것은 이경이 옥희도의 눈에서 본 '황량한 풍경의 일각 같은 것'과 같은 심상이다. 외부 세계가 부어옇게 보이는 것은 세계를 모래 바람 같은 것이 뒤덮었거나 눈에 무엇이 덮였을 때이다. 옥희도와 이경은 후자의 경우이다. 옥희도가 그린 그림이 부우연 캔버스에 고목이었던 것은 옥희도가 그 황량한 풍경의 일각을 그림에 투사했기 때문이다. 반면 이경은 제 눈의 그것을 없애지 못했기 때문에 나목이 고목으로 보였고 평범하고 안정된 생활 끝에 그것이 없어지고 나자 고목이 나목으로 보였던 것이다.
■ 객관적 상관물(客觀的 相關物)
T.S.엘리엇이 실생활에 있어서 정서와, 문학 작품에 구현된 정서의 절대적 차이를 강조하는 입장에서 이용한 문구로서 '어떤 특별한 정서를 나타낼 공식이 되는 한 떼의 사물, 정황, 일련의 사건으로서, 바로 그 정서를 곧장 환기시키도록 제시된 외부적 사실들'을 말한다.
개인의 감정과는 상식적으로 직접적 관계가 없는 어떤 심상, 상징, 사건에 의하여 구현된다는 사상, 즉 개인 감정의 예술적 객관화의 사상이 강조된 것이다.
그러한 객관화를 위해 이용된 심상, 사건, 상징 등이 바로 객관적 상관물이며, 이 작품 속에 나오는 '나목'이 그 한 예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6.19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