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영어교육의 문제점과 해결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새로운 영어교육과정 편성, 운영 및 교재 개발 등 전반적인 영어교육의 제도 개선
2. 초등이중언어학교(Korean-American Bilingual Public School)를 인가
3. 우리말과 역사과목을 제외하고는 모든 과목을 영어로 가르쳐야 한다.
4. 원어민 영어교사(Standard English Speaker)를 초빙하여 영어교육을 맡겨야 한다.
5. 영어교육은 수단과 방법을 위한 기술교육이다.
6. 영어봉사단 유치
7. 원어민 영어교육자료에 한국말 사족을 달거나 한인교사의 개입이 없어야 한다.
8. 영어교재(English Textbook)는 편집하지 않은 본고장 교과서를 그대로 채택해야 한다.
9. 언어는 암기로 하는 것이 아니고 가슴으로 하는 것이며 생활에서 터득해야 한다.
10. 어린이 외국어 공부는 카세트테이프로는 안 된다.
11. 초등이중언어학교는 기숙사(Dormitory School)학교가 이상적이다.
12. 이중언어교육(Korean-American Bilingual Education)으로 지도자 양성교육


*한글97

본문내용

장하게 되며 결국 외국에 맞는 인력으로 훈련시키는 꼴이다. 때문에 이들은 심한 경우 조국에서 적응하기가 힘들어 결국 외국에서 외국을 위해 살아가도록 방치할 수밖에 없다. 반면 이중언어교육은 우리 나라가 필요로 하는 우리의 인재를 기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기유학과 이중언어교육의 차이는 여기에 있다.
끝으로 조기유학이 가져오는 득과 실을 간단히 검토해 보고자 한다. 나의 경우도 이런 저런 이유에서 아이들을 초등학교 졸업 후 곧바로 유학을 보냈다. 그러나 내 아이들은 내가 조기유학에 걸었던 내 뜻과 달리 두 아이 모두 외국에서 살아가게 됐다. 그런데 사실을 말하자면, 내 아이들은 한국에 나왔다가 실망하고 되돌아갔다. 내 아이들의 말을 빌리면 한국사람들은 극단적으로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이어서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그들의 에고적인(egocentric) 행태를 보게 된다며 놀라워했다. 내 아이들은 이미 그쪽에서 그들의 교육을 받고 그들의 사고방식으로 살아가게 자랐던 것이다.
엄밀히 따지고 보면 영어교육은 영어교육 행정가들의 지혜와 아이디어의 문제이지 결코 예산만 핑계 댈 문제는 아니다. 이중언어교육을 공고히 하자는 것은 초기언어교육이야말로 가장 바람직한 언어교육의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시대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과다한 사교육비와 조기유학과 같은 외화낭비가 필요 없는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방안을 국가차원에서 마련하여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 그렇게 할 때 국가의 미래를 짊어질 고급인력이 양성되고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 우리 교육에 대대적인 교육혁명이 하루속히 일어나야 한다고 믿는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6.21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