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目 次
國文抄錄
Ⅰ. 序 論
1.연구목적
2.연구방법 및 범위 Ⅱ. 理論的 背景
1. 照明具의 역사적 考察
2. 照明具의 일반적 考察
1) 조명의 特性
2) 조명의 分類
① 조명의 背光에 따른 분류
② 조명의 用途에 따른 분류
3) 조명등의 디자인 分析
3. 壁의 기능과 壁 裝飾燈의 意義
1) 벽의 기능
2) 벽 장식등의 의의.
Ⅲ. 試作品 製作
1. 내용적 측면
2. 조형적 측면
3. 기술적 측면
Ⅳ. 結 論
參考文獻
參考圖版 作品寫眞
英文抄錄
國文抄錄
Ⅰ. 序 論
1.연구목적
2.연구방법 및 범위 Ⅱ. 理論的 背景
1. 照明具의 역사적 考察
2. 照明具의 일반적 考察
1) 조명의 特性
2) 조명의 分類
① 조명의 背光에 따른 분류
② 조명의 用途에 따른 분류
3) 조명등의 디자인 分析
3. 壁의 기능과 壁 裝飾燈의 意義
1) 벽의 기능
2) 벽 장식등의 의의.
Ⅲ. 試作品 製作
1. 내용적 측면
2. 조형적 측면
3. 기술적 측면
Ⅳ. 結 論
參考文獻
參考圖版 作品寫眞
英文抄錄
본문내용
-+-----+-----+
300 +-----+-----+-----+-----+-----+-----+-----+-----+-----+
200 +-----+-----+-----+-----+-----+-----+-----+-----+-----+
100 +-----+-----+-----+-----+-----+-----+-----+-----+-----+
0 +-----+-----+-----+-----+-----+-----+-----+-----+-----+
1 2 3 4 5 6 7 8 time
A : 2 차 소성 그래프 B : 1 차 소성 그래프
5) 조 립
조명등으로서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燒成이 완료된 후 마지막 組立 過程이 중요하다. 本 작품들은 조명 및 壁 장식 효과를 위한 燈이므로 조형형태에 알맞은 밝기의 전구의 선택과 벽걸이용의 경우는 적절한 부착 판넬(Panel)을 필요로 하는데 規格品이 없는 관계로 이것은 직접 제작하였다. 물론 試作品의 제시를 위해 벽 附着用이나 壁걸이用을 편의상 판넬의 有無로 구분하지는 않았다. 빛의 밝기는 눈부심이 거의 없도록 하고 은은한 빛의 연출을 위해 일반 白熱燈(30W,60W,100W)이 아닌,小型電球(7W이하)의 裝飾用 電球나 소형 형광등의 일종인"三波長 螢光 電子電球"로 15W라는 적은 에너지로 일반 螢光燈의 밝은 밝기를 내는 것을 사용하였다.
各 試作品의 조형형태에 따라, 한 개 내지는 여러 개의 전구를 함께 사용하였는데, 여러 개를 사용한 電球라해도 전체 50W를 넘지 않도록 했다. 일부는 透刻 부위의 直接光線을 피하고자 기물의 내부에 韓紙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반대로 設置 電球의 빛을 최대한 사용하고자하여 電球 부위의 판넬 면에 反射物體로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기도 했다. 다음은 각 試作品의 圖面과 설치된 전등의 조립 構造를 제시한 것이다.
Ⅳ. 결 론
本 論文은 실내 벽 장식을 위한 陶製 照明燈의 개발을 위한 자료이다. 이것은 현대의 실내공간에서 조명의 기능과 장식을 통한 조형 요소를 갖추게하여 무의미한 공간에서 감성적인 개성 공간으로 꾸밀 수 있는 소재로 적합하다고 사료되며 이에따라 본인은 실내 환경의 새로운 요소로 그 활용을 높여보고자 하였다.
도제 장식등의 개발은 문화수준의 향상과 함께 대중의 일상용품에 대한 美的 價値와 稀少 價値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이에 부응하여 착안된 것으로 현재 합성수지,금속,유리,목재등으로만 제작되고 있는 장식燈에서 보다, 재료적인 특성과 함께 새로운 조형성을 기능성과 함께 모색한다면 粘土材는 결과물로서 현대 생활에 개성적인 실내 분위기를 연출 시킬 수 있다고 본다.
造形物에 있어서 기능은 그 조형의 構造的 形態에 따를 수 밖에 없지만, 裝飾的 性向이든 機能的 性向이든 도형적 표현의 자유로움으로 접근을 시도하고, 그 속에서 조형적 실용성이 갖는 槪念의 범위를 좀더 확대해 보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었다.
이와같은 방향에서 모색된 본 연구 과제는 실제의 과정에서 다음과같은 몇까지 결과를 얻게 되었다.
1. 燈器의 발생과 발전단계를 考察함으로서 주거환경과 인간생활의 변천에 따른 燈器의 다양성을 고찰해 볼 기회가 되었고 아울러 照明器의 설치 조건에 따라 그 구조성이 바뀌어짐을 알게 되었으며,
2. 단순 조명기구에서 벗어나 현대에서는 多目的性과 合理性의
추구로 審美性과 實用性을 적절히 조화시키면서 나아가 하나의 感性을 담은 조형물로써 요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3. 실제 제작의 과정에서 조명에 적절한 다양한 소지의 연구와 빛의 투사범위에 있어 다양한 투각 방법및 조명 형태에 대한 새로운 변화와 경험을 갖게 하였고,
4. 벽걸이용의 소재로써 가벼워야하고 도자 재료가 갖는 조형적 특질을 살리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했고,
5. 照明燈의 조형은 빛과의 연관성에서 찾아야 하는 점으로 도자 조형만으로서가 아닌 실제 조립단계까지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했다.
앞으로 본인의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하여 보다 벽걸이 照明燈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산업도자로서의 대중성을 높일 수 있는 소재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갖으리라 본다.
참 고 문 헌
1. [ 韓國 美術史 ] , 김원룡 , (범문사 1977)
2. [ 韓國의 古燈器 ] , 한국전기(주) , 1968
3. [ 美術과 視知覺 ] , 루돌프 아른하임 , (기린원 1989)
4. [ 世界大百科辭典 ] , 박양조 역 . 할레이 저 , 학원사. 1874
5. [인테리어 디자인 辭典] , 建設理工學社 , 1982
6. [ 실내 디자인 ] , 아놀드 프리만 , 兄弟社 , 1976
7. [ 藝術 그리고 産業 ] , 허버트 리드 , Lonon:Faber & Faber ,1936
8. [ 現代美術의 흐름 ] , 루시 스미드 , 김춘일 역 ,미진선서, 1987
9. [ 陶磁藝術의 새로운 視覺 ] ,가드 클락, 신광석 역 , 미진사, 1986
10. [ 人間과 無意識의 象徵 ] , 칼 구스타프 융 編, 집문당 , 1983
11. [ 월간 공예 ] , 디자인 하우스 , 6월호 , 1988
12. [ 陶製 전기 스텐드 램프 개발연구 ] , 인병득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 석사 학위 논문 , 1987
13. [ 壁의 표현과 기능에 관한 연구 ] , 정영길 ,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1982
14. [ 조명기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 김판수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1978
15. [ 빛을 응용한 陶磁造形에 관한 硏究] ,김연희 , 국민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1989
< 작품. 1> < 작품. 2 > < 작품. 3 >
< 작품. 4 > 110*490*70 망간 Matt유 조합토 480*480*58 염화물 투광소지
315*315*78 산화철 조합토 430*430*78 산화철
조합토 800*350*150 투광소지
圖 1) 圖 2) 圖 3) 圖 4) 圖 5) 圖 6,7) 圖 8) 圖 9) 圖 10 圖 11)
圖12) 圖 13) 圖 14) 圖 15) 圖 16) 圖17) 圖 18) 圖 19) 圖 20) 圖 21)
圖 29
참 고 도 판
1. .......50
2. .......120
300 +-----+-----+-----+-----+-----+-----+-----+-----+-----+
200 +-----+-----+-----+-----+-----+-----+-----+-----+-----+
100 +-----+-----+-----+-----+-----+-----+-----+-----+-----+
0 +-----+-----+-----+-----+-----+-----+-----+-----+-----+
1 2 3 4 5 6 7 8 time
A : 2 차 소성 그래프 B : 1 차 소성 그래프
5) 조 립
조명등으로서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燒成이 완료된 후 마지막 組立 過程이 중요하다. 本 작품들은 조명 및 壁 장식 효과를 위한 燈이므로 조형형태에 알맞은 밝기의 전구의 선택과 벽걸이용의 경우는 적절한 부착 판넬(Panel)을 필요로 하는데 規格品이 없는 관계로 이것은 직접 제작하였다. 물론 試作品의 제시를 위해 벽 附着用이나 壁걸이用을 편의상 판넬의 有無로 구분하지는 않았다. 빛의 밝기는 눈부심이 거의 없도록 하고 은은한 빛의 연출을 위해 일반 白熱燈(30W,60W,100W)이 아닌,小型電球(7W이하)의 裝飾用 電球나 소형 형광등의 일종인"三波長 螢光 電子電球"로 15W라는 적은 에너지로 일반 螢光燈의 밝은 밝기를 내는 것을 사용하였다.
各 試作品의 조형형태에 따라, 한 개 내지는 여러 개의 전구를 함께 사용하였는데, 여러 개를 사용한 電球라해도 전체 50W를 넘지 않도록 했다. 일부는 透刻 부위의 直接光線을 피하고자 기물의 내부에 韓紙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반대로 設置 電球의 빛을 최대한 사용하고자하여 電球 부위의 판넬 면에 反射物體로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기도 했다. 다음은 각 試作品의 圖面과 설치된 전등의 조립 構造를 제시한 것이다.
Ⅳ. 결 론
本 論文은 실내 벽 장식을 위한 陶製 照明燈의 개발을 위한 자료이다. 이것은 현대의 실내공간에서 조명의 기능과 장식을 통한 조형 요소를 갖추게하여 무의미한 공간에서 감성적인 개성 공간으로 꾸밀 수 있는 소재로 적합하다고 사료되며 이에따라 본인은 실내 환경의 새로운 요소로 그 활용을 높여보고자 하였다.
도제 장식등의 개발은 문화수준의 향상과 함께 대중의 일상용품에 대한 美的 價値와 稀少 價値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이에 부응하여 착안된 것으로 현재 합성수지,금속,유리,목재등으로만 제작되고 있는 장식燈에서 보다, 재료적인 특성과 함께 새로운 조형성을 기능성과 함께 모색한다면 粘土材는 결과물로서 현대 생활에 개성적인 실내 분위기를 연출 시킬 수 있다고 본다.
造形物에 있어서 기능은 그 조형의 構造的 形態에 따를 수 밖에 없지만, 裝飾的 性向이든 機能的 性向이든 도형적 표현의 자유로움으로 접근을 시도하고, 그 속에서 조형적 실용성이 갖는 槪念의 범위를 좀더 확대해 보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었다.
이와같은 방향에서 모색된 본 연구 과제는 실제의 과정에서 다음과같은 몇까지 결과를 얻게 되었다.
1. 燈器의 발생과 발전단계를 考察함으로서 주거환경과 인간생활의 변천에 따른 燈器의 다양성을 고찰해 볼 기회가 되었고 아울러 照明器의 설치 조건에 따라 그 구조성이 바뀌어짐을 알게 되었으며,
2. 단순 조명기구에서 벗어나 현대에서는 多目的性과 合理性의
추구로 審美性과 實用性을 적절히 조화시키면서 나아가 하나의 感性을 담은 조형물로써 요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3. 실제 제작의 과정에서 조명에 적절한 다양한 소지의 연구와 빛의 투사범위에 있어 다양한 투각 방법및 조명 형태에 대한 새로운 변화와 경험을 갖게 하였고,
4. 벽걸이용의 소재로써 가벼워야하고 도자 재료가 갖는 조형적 특질을 살리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했고,
5. 照明燈의 조형은 빛과의 연관성에서 찾아야 하는 점으로 도자 조형만으로서가 아닌 실제 조립단계까지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했다.
앞으로 본인의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하여 보다 벽걸이 照明燈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산업도자로서의 대중성을 높일 수 있는 소재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갖으리라 본다.
참 고 문 헌
1. [ 韓國 美術史 ] , 김원룡 , (범문사 1977)
2. [ 韓國의 古燈器 ] , 한국전기(주) , 1968
3. [ 美術과 視知覺 ] , 루돌프 아른하임 , (기린원 1989)
4. [ 世界大百科辭典 ] , 박양조 역 . 할레이 저 , 학원사. 1874
5. [인테리어 디자인 辭典] , 建設理工學社 , 1982
6. [ 실내 디자인 ] , 아놀드 프리만 , 兄弟社 , 1976
7. [ 藝術 그리고 産業 ] , 허버트 리드 , Lonon:Faber & Faber ,1936
8. [ 現代美術의 흐름 ] , 루시 스미드 , 김춘일 역 ,미진선서, 1987
9. [ 陶磁藝術의 새로운 視覺 ] ,가드 클락, 신광석 역 , 미진사, 1986
10. [ 人間과 無意識의 象徵 ] , 칼 구스타프 융 編, 집문당 , 1983
11. [ 월간 공예 ] , 디자인 하우스 , 6월호 , 1988
12. [ 陶製 전기 스텐드 램프 개발연구 ] , 인병득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 석사 학위 논문 , 1987
13. [ 壁의 표현과 기능에 관한 연구 ] , 정영길 ,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1982
14. [ 조명기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 김판수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1978
15. [ 빛을 응용한 陶磁造形에 관한 硏究] ,김연희 , 국민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1989
< 작품. 1> < 작품. 2 > < 작품. 3 >
< 작품. 4 > 110*490*70 망간 Matt유 조합토 480*480*58 염화물 투광소지
315*315*78 산화철 조합토 430*430*78 산화철
조합토 800*350*150 투광소지
圖 1) 圖 2) 圖 3) 圖 4) 圖 5) 圖 6,7) 圖 8) 圖 9) 圖 10 圖 11)
圖12) 圖 13) 圖 14) 圖 15) 圖 16) 圖17) 圖 18) 圖 19) 圖 20) 圖 21)
圖 29
참 고 도 판
1. .......50
2.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