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폭력의 역사: 근대 국가의 형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두 갈래의 전통: 군사학과 정치학

II. 역사 속의 전쟁

III. 서구에서의 전쟁과 국민국가의 형성

본문내용

군사 중심적 중앙집권화
(2) 18세기 전쟁술의 변화
* 기술적 향상과 보병 및 포병의 전술 변화: ① 머스켓 격발법의 개량으로 창병 불필요. 정방형 밀집대형에서 선형으로. 17세기 모리스의 10열횡대, 아돌푸스의 6열횡대에서 3열의 선형대형으로 보병전술 변화. ② 대포제조기술에 있어서의 일련의 개량. 기동력 증가로 야전공격용으로 본격적 사용. 포병전술은 귀족적 군사덕목인 용기 위계 복종 등을 부르조아적 계산 실험의 덕목으로 대체.
* 그러나 병참보급문제 및 통신문제가 해결되기 이전인 18세기는 여전히 '제한전쟁(limited war)'의 시대.
(3) '국민전'과 '총력전'의 시대로
* 절대주의 국가의 제한전: 국민 전체의 무장화에 대한 절대군주의 반감과 공포. 제한된 무장.
* 프랑스 혁명으로 탄생한 시민군('국민방위군')으로부터 '국민전' 사상의 현실화. "정치적 권리는 곧 군사적 의무". 제한전쟁에서 무제한적 총력전으로. 국민총동원령(1794년 75만 병력 동원).
* 프랑스 혁명군의 재정문제: 공포정치시대의 국가의 강제력+공화국 프랑스에 대한 국민적 자긍심과 민족주의. 재정적 난관을 타개하기 위한 방책으로서의 주변지역에 대한 군사적 침략(이른바 '혁명수출정책') 단행. 이는 전쟁을 위해 사회전체가 조직화되고, 사회의 유지를 전쟁에 의존하던 18세기 유럽 국가들의 일반적 관행의 연속.
5. 19세기: 산업화와 '軍事至上主義'의 출현
* 화기의 발전과 '공격전'으로부터 '방어전'으로의 전환: 19세기 중반 유럽 각국에 개인용 라이플총의 도입(사정거리, 화력, 정확도의 향상)과 화기의 대량 생산화로 직립전투자세 도입, 참호전 발전, 화려한 제복에서 실용적 위장복으로, 밀집대형 소멸.
* 철도혁명: 19세기 중반 프러시아에 의해 최초로 군사적으로 이용. 1866년 오스트리아 전쟁, 1870년 보불전쟁에서의 프러시아의 승리원인. 전쟁에서의 '시간계획'의 도입. 시간 공간계획에 입각한 대규모 계획전쟁이 가능해짐.
* '전쟁계획(war planning)'의 도입: 국가의 산업력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전쟁이라는 단일 목적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는 우월한 관리능력이 군사력의 중심문제로 부상. '전면적 동원(total mobilization)'과 '군사지상주의'의 대두. 인구가 국력의 실질적 지표로 등장. 인구가 각국 전쟁계획수립가들의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
* 해군경쟁: 19세기 중반 범선에서 철갑증기범선으로 대체(돛의 소멸). 팍스 브리타니카의 소멸.
* 파국적 결말: 1 2차 세계대전--'정치로서의 전쟁'의 역설.
cf. 국가, 자본, 전쟁의 역사적 상관관계
[관료제]
관료기구 축적 조세 추출 능력의 증가
행정 재정 개혁 복합전쟁의 관리 및 지원
[자본] 직업전쟁을 위한 전쟁기술의 [무기]
세입 요청 변화
--- Bruce D. Porter, War and the Rise of the State: The Military Foundations of Modern Politics, 58쪽에서 인용.
<참고문헌>
1. 주요 논저들
John Keegan, A History of Warfare, 유병진 역, {세계전쟁사}, 까치, 1996
들뢰즈/가타리, {천의 고원}(국역본 미간행) 中 "제12장. 1227년 : 유목론 논고--전쟁기계"
박상섭, {근대 국가의 군사적 기초 1500∼1900}, 대한발전전략연구원, 1995({국가와 전쟁}으로 한울에서 발간)
Gianfranco Poggi,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tate, 박상섭 역, {근대 국가의 발전}, 민음사, 1995
Norbert Elias, State Formation and Civilization,
쟈크 르 고프, 유희수 역, {서양 중세 문명}, 문학과지성사, 1992
Anthony Giddens, Nation-State and Violence, 진덕규 역, {민족국가와 폭력}, 삼지원, 1991
Perry Anderson, Lineages of the Absolutist State, 김현일 외 역, {절대주의 국가의 역사}, 소나무, 1993
Michael Mann, Sources of Social Power, vol. 1: A History of Power from the Beginning to AD 1760(1986); vol. 2: The Rise of Classes and Nation-States, 1760-1914(1993), Cambridge Univ. Press
Bruce D. Porter, War and the Rise of the State: The Military Foundations of Modern Politics, The Free Press, 1994
2. 기타 문헌들
윤형호, {전쟁론--평화와 실제}, 연경문화사, 1994
몽고메리, {전쟁의 역사} I II, 책세상, 1996
김홍철, {전쟁론}, 민음사, 1991
Quincy Wright, A Study of War(2nd ed.), Univ. of Chicago Press, 1965
이종학, {현대전략론}, 박영사, 1972
귄터 블루멘트리트, 류제승 역, {전략과 전술}, 한울, 1994
노병천, {도해세계전사}, 21세기 군사연구소, 1995
전쟁기념사업회, {한민족 역대 전쟁사}, 행림출판, 1992
국방군사연구소 편, {중국군사사상사}, 1996
이종학, {현대전략론}, 박영사, 1972
칼 슈미트, 김효전 역, {로마 가톨릭주의와 정치형태/ 홉스 국가론에서의 리바이어턴}, 교육과학사, 1992
클라우제비츠, 이종학 역, {전쟁론}, 일조각, 1987
마키아벨리, [군주론], {최신판 세계사상전집2}, 성창출판사, 1988
그람씨, 이상훈 역, {그람씨의 옥중수고1--정치편}, 거름, 1986
웅틴 스키너 외, 강정인 편역, {마키아벨리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3
김재근, {배의 역사}, 정우사, 1980
페르낭 브로델, 주경철 역, {물질문명과 자본주의I: 일상생활의 구조}, 까치, 1995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06.27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