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길놀이
2.서막고사
3.제1과장 - 사자춤
4.제2과장 - 말뚝이 춤
5.제3과장 - 목중춤
6.제4과장 - 상좌춤
7.제5과장 - 양반. 말뚝이 춤
8.제6과장 - 노승.취바리 춤
9.제7과장 - 미얄영감. 할미 춤
2.서막고사
3.제1과장 - 사자춤
4.제2과장 - 말뚝이 춤
5.제3과장 - 목중춤
6.제4과장 - 상좌춤
7.제5과장 - 양반. 말뚝이 춤
8.제6과장 - 노승.취바리 춤
9.제7과장 - 미얄영감. 할미 춤
본문내용
고향을 떠나 방황하던 영감은 용산삼개집이란 주모를 만나 새 생활을 꿈꾸고 즐기려고 하는 사이 할미는 영감을 애타게 찾아다니다 상봉하나 용산삼개집이 할미에 대한 불손한 언사(동작)가 원인이 되어 가정불화가 생기고 할미는 쫓겨난다. 그것을 시원히 여기고 춤을 추나 동네 어른인 남강노인이 등장해 짚신과 유서를 전해준다.
용산삼개집이란 첩문에 억울하게 쫓겨나 강물에 투신 자살하게된 자신의 처지를 옛 중국의 시인이며 충신인 굴워의 죽음에 비유하여 표현한 유서는 음미할 만한 내용이다. 이렇듯 할미가 강물에 투신자살함이 밝혀지고, 남강 노인의 권유로 영혼천도(극락왕생)를 위한 지노귀굿으로 죽은 할미의 넋을 달래준다. 마지막 망생의 공수는 화해와 재생을 상징하며 춤사위에서 나타나는 면은 타 탈춤에서는 볼 수없는 것이고 남편의 외도, 영감을 찾기 위한 할미의 방황, 자식들의 죽음과 처첩간의 갈등을 통해 봉건적인 가족관계에 나타난 극적 대립의 모든 요소를 응축, 표현시키고 있으며 현재는 장구잡이의 매개로 영감과 할미의 대화가 진행되나 예전에는 일반 관중들이 했었다는 사실에 미루어 이는 탈놀음이 연희자만의 공연이 아닌 관중과 연희자가 어우러진 한 판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용산삼개집이란 첩문에 억울하게 쫓겨나 강물에 투신 자살하게된 자신의 처지를 옛 중국의 시인이며 충신인 굴워의 죽음에 비유하여 표현한 유서는 음미할 만한 내용이다. 이렇듯 할미가 강물에 투신자살함이 밝혀지고, 남강 노인의 권유로 영혼천도(극락왕생)를 위한 지노귀굿으로 죽은 할미의 넋을 달래준다. 마지막 망생의 공수는 화해와 재생을 상징하며 춤사위에서 나타나는 면은 타 탈춤에서는 볼 수없는 것이고 남편의 외도, 영감을 찾기 위한 할미의 방황, 자식들의 죽음과 처첩간의 갈등을 통해 봉건적인 가족관계에 나타난 극적 대립의 모든 요소를 응축, 표현시키고 있으며 현재는 장구잡이의 매개로 영감과 할미의 대화가 진행되나 예전에는 일반 관중들이 했었다는 사실에 미루어 이는 탈놀음이 연희자만의 공연이 아닌 관중과 연희자가 어우러진 한 판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