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이해와 감상
2.심화 자료
3.바리데기
4.바리공주
2.심화 자료
3.바리데기
4.바리공주
본문내용
것은 바리공주신을 청배하는 기능도 있겠으나 죽은 사람의 혼령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의미가 강하다.
동해안 지역 오구굿에서는 바리공주가 저승 세계를 여행하는 동안 많은 원령(怨靈)들을 천도(薦度:죽은 사람의 넋이 정토나 천상에 나도록 기원함)하는 내용을 보여 준다. 또한, 〈바리공주〉를 무조전설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바리공주가 무신(巫神)이 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바리공주는 죽은 사람을 살려 내는 위대한 일을 하였다. 이것은 무당이 가진 권능 중에서 병을 다스리는 의사로서의 권능을 인정받은 것이다. 가장 위대한 의술은 죽은 자를 살려 내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사령제에서 〈바리공주〉가 구연되는 것은 죽은 자를 부활시키고자 하는 산 사람의 희망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바리공주는 개인적으로는 아버지를 살려 낸 효행을 하였고, 사회적으로는 국왕을 부활시켜 국가의 기틀을 공고히 하는 공훈을 세웠다.
즉, 개인적 효녀로서의 바리공주가 국가의 공신으로서 집단적 추앙을 받는 영웅이 되고, 다시 모든 사람의 죽음을 관장하는 신이 되어 영속적인 숭앙의 대상이 되었다.
이처럼 이 무가는 개인에서 집단으로, 다시 인류 전체로 숭앙의 범위가 확대되는 원리를 보여 준다. 지금까지 조사된 바리공주무가의 자료를 지역별로 정리하면 [표] 와 같다. ≪참고문헌≫ 關北地方巫歌(任晳宰·張籌根, 文化財管理局, 1965), 韓國巫歌의 硏究(徐大錫, 文學思想社, 1980), 韓國巫歌集 Ⅰ·Ⅱ·Ⅲ·Ⅳ(金泰坤, 集文堂, 1980),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6).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해안 지역 오구굿에서는 바리공주가 저승 세계를 여행하는 동안 많은 원령(怨靈)들을 천도(薦度:죽은 사람의 넋이 정토나 천상에 나도록 기원함)하는 내용을 보여 준다. 또한, 〈바리공주〉를 무조전설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바리공주가 무신(巫神)이 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바리공주는 죽은 사람을 살려 내는 위대한 일을 하였다. 이것은 무당이 가진 권능 중에서 병을 다스리는 의사로서의 권능을 인정받은 것이다. 가장 위대한 의술은 죽은 자를 살려 내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사령제에서 〈바리공주〉가 구연되는 것은 죽은 자를 부활시키고자 하는 산 사람의 희망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바리공주는 개인적으로는 아버지를 살려 낸 효행을 하였고, 사회적으로는 국왕을 부활시켜 국가의 기틀을 공고히 하는 공훈을 세웠다.
즉, 개인적 효녀로서의 바리공주가 국가의 공신으로서 집단적 추앙을 받는 영웅이 되고, 다시 모든 사람의 죽음을 관장하는 신이 되어 영속적인 숭앙의 대상이 되었다.
이처럼 이 무가는 개인에서 집단으로, 다시 인류 전체로 숭앙의 범위가 확대되는 원리를 보여 준다. 지금까지 조사된 바리공주무가의 자료를 지역별로 정리하면 [표] 와 같다. ≪참고문헌≫ 關北地方巫歌(任晳宰·張籌根, 文化財管理局, 1965), 韓國巫歌의 硏究(徐大錫, 文學思想社, 1980), 韓國巫歌集 Ⅰ·Ⅱ·Ⅲ·Ⅳ(金泰坤, 集文堂, 1980),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6).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