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정치분야의 전망과 비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Ⅱ. 세계질서, 국가, 그리고 정부

Ⅲ. 21세기의 민주주의

Ⅳ. 맺는 말

본문내용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하여 세계적 관리운영이 요청될 것이다. 21세기에 세계의 국가간 위계질서는 미국이 중추적 위치에 있는 단극-다극 구조로부터 점차 수 개의 강국에 의한 세력균형이 이루어지는 다극구조로 이행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화 시대에 국가의 재구성은 국가활동을 수행하는 정부의 효율성 증진, 분권화, 하의상달과 의사결정의 유연화, 고객중심의 서비스 지향, 시민참여의 확대, 투명성 제고, 국가와 시장의 균형적 관계 정립, 국가와 시민사회의 동반적 관계 형성 등의 방향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21세기에 있어서 민주주의의 미래를 포괄적으로 전망하자면, 국가의 지방 또는 중앙 수준에서 참여민주주의가 확대되면서 대의민주주의를 보완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민주주의를 심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여러 가지로 경주될 것이고 또한 그렇게 되어야 한다. 즉 민주주의 심화에 기여하는 적절한 제도와 문화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경제적 평등의 확보, 국가의 재구성, 진보적 시민문화의 육성 등이 필요하다. 21세기에 민주주의 문제는 국가의 수준을 넘어서 제기될 것이다. 따라서, 세계적 민주주의 프로젝트에 관한 구상과 실천이 부단히 수행되어야 한다.




◈ 國內文獻
강정인 (1999). "21세기 민주주의의 철학적, 이념적 지표". 정책포럼. 가을호,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기든스, 앤서니 (한상진, 박찬욱 공역) (1998). 제3의 길, 생각의 나무.
______ (박찬욱 역) (2000). 질주하는 세계, 생각의 나무.
나이, 조지프 (박순철 역) (1999). "국가이익의 재정의," Foreign Affairs, July/August(emerge 새천년, 1999, 10, 156~166).
______ (2000). "21세기도 미국의 세기인가," 조선일보 1월 7일, 8면.
나카니시 데루마사 (2000). "21세기도 미국의 세기인가," 조선일보 1월 20일, 8면.
네이스비트, 존 (장상용, 홍성범 공편역) (1988). 메가트렌스, 고려원.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1999). 주요 선진국의 새 천년 비전.
임혁백 (1999). "세계화와 민주주의: 기회와 제약," 안병영, 임혁백 편, 세계화와 신자 유주의: 이념, 현실, 대응, 나남출판.
정창영 (1999). "세계화의 진전과 시장, 정부의 관계," 정책포럼, 가을호,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피터스, 비 가이 (정용덕외 공역) (1998). 미래의 국정관리, 법문사.
케네디, 폴 (변도수, 이일수 공역) (1993). 21세기 준비, 매일경제신문사.
◈ 外國文獻
Bell, Daniel (1977). "The Future World Disorder: The Structural Context of Crises," Foreign Policy, 27, 109~135.
Boyer, William W. (1990). "Political Science and the 21st Century: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PS: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s, 23, 1, 50~54.
Czempeil, Ernst O. and James N. Rosenau (eds.) (1992).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Orde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eld, David (1995). Democracy and the Global Order: From the Modern State to Cosmopolitan Governance, Cambridge, Polity Press.
______, Anthony McGrow, David Goldblatt and Jonathan Perraton (1999). Global Transformations, Cambridge, Polity Press.
Huntington, Samuel P. (1991). The Third Wave: Democratizat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Norman, Ok.,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______ (1999). "The Lonely Superpwer," Foreign Affairs, March/April.
Ikenberry, G. John (1999). "Globalization: Patterns, Sources, and Implications," in Chung-in Moon and Jongryn Mo (eds.),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in Korea: Assessments and Prospects, Yonsei University Press.
Osborne, D. and T. Gaebler (1992). Reinventing Government, Reading, Addison-Wesley.
Rhodes, R. (1996).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Political Studies, 54, 652~667.
Rosenau, James N. (1995). "Sovereignty in a Turbulent World," in Gene M. Lyons and Michael Mastanduno (eds.), Beyond Westphalia? State Sovereignty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Stewart, J. and G. Stoker (eds.) (1989). The Future for Local Authorities as Community Government, London, Macmillan.
Waltz, Kenneth N. (1999). "Globalization and Governance," PS: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s, 32: 4, 693~700.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71페이지
  • 등록일2002.07.05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8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