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태 성욕자들의 성욕을 만족시켜 주는 창녀 일을 하게 한다. 소년의 누이 역시 그에 대한 사랑으로 이의를 달지않고 그의 말에 복종한다.
선과 악으로 뚜렷이 구분된 할리우드 폭력영화에 익숙한 관객들은 이런 애매하고 모호한 감독의 인간관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어쩌면 짜증이 날 수도 있다. 트란 안 홍 감독이 영화 `씨클로'를 통해서 전달하려는 의미는 무엇일까. 그의 태생이 동양인 이라는 사실은 그의 작품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묻고 싶다. 왜냐하면 동양에는 선과 악을 뚜렷이 구분하는 것이 어리석다는 불교의 불이(不二) 사상이 있기 때문이다.
영화 `씨클로'는 관객에게 인간 자체은 선과 악이 뒤섞인 존재이며 사회 역시 선과 악이 뒤섞인 존재라는 것을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은 결국 처단되는 권선징악 사상은 여전히 지켜지는 원칙이 되고 있다. 그가 `씨클로'를 통해 보여주는 폭력은 바로 우리 자신 속에 도사린 악에 대해서 생각하게 한다. 그리고 사회가 인간을 폭력적으로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인간이 만들어야 할 사회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있다. 답을 내기 어려운 질문이다. 그는 이 어려운 질문을 상징적 패턴을 사용해서 관객과 자신에게 묻고 있다.
선과 악으로 뚜렷이 구분된 할리우드 폭력영화에 익숙한 관객들은 이런 애매하고 모호한 감독의 인간관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어쩌면 짜증이 날 수도 있다. 트란 안 홍 감독이 영화 `씨클로'를 통해서 전달하려는 의미는 무엇일까. 그의 태생이 동양인 이라는 사실은 그의 작품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묻고 싶다. 왜냐하면 동양에는 선과 악을 뚜렷이 구분하는 것이 어리석다는 불교의 불이(不二) 사상이 있기 때문이다.
영화 `씨클로'는 관객에게 인간 자체은 선과 악이 뒤섞인 존재이며 사회 역시 선과 악이 뒤섞인 존재라는 것을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은 결국 처단되는 권선징악 사상은 여전히 지켜지는 원칙이 되고 있다. 그가 `씨클로'를 통해 보여주는 폭력은 바로 우리 자신 속에 도사린 악에 대해서 생각하게 한다. 그리고 사회가 인간을 폭력적으로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인간이 만들어야 할 사회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있다. 답을 내기 어려운 질문이다. 그는 이 어려운 질문을 상징적 패턴을 사용해서 관객과 자신에게 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