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과 비용함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비용의 기초개념

제2절 장기비용함수와 장기비용곡선

제3절 단기비용함수와 단기비용함수

본문내용

의 기초개념
【경제학적 비용】경제학의 비용은 경제원칙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의됨
·합리적 선택의 기준으로 사용
ː회계학적 비용 : 발생된 비용만 계산
ː경제학적 비용 : 다른 선택을 하지 않을 최소한의 수입 기준
·이 이상의 수입만 발생하면 선택을 바꿀 동기가 없음
제2절 장기비용함수와 장기비용곡선
【등비용곡선】동일한 자본금의 최대투입가능한 요소투입량의 집합
※ 무차별곡선이론에서 예산선과 완전히 동일한 개념
TC = C(N, K) = r×K + W×N
⇒ K = -(
W over r
) N +
TC over r
ː예등비용곡선 : 두 축의 절편을 개념적으로 유도하여 그리는 것이 유익
※ 일정 자본금으로 노동과 자본만 최대로 투입가능한 수량
ː고용가능영역 : 주어진 자본금으로 등비선 밖에서 고용 불가능
N0를 고용하면 주어진 자본금으로 K0를 넘는 투입은 불가능
ːN투입의 한계기회비용 : N를 한 단위 추가로 투입할 때 포기할 K량
【등비선의 이동】등비선의 변동 역시 절편값의 변화를 추적하여 그리는 것이 유익
ː요소가격의 상승 : 주어진 자본금으로 최대 구입 가능한 해당 투입물이 줌
·요소가격이 하락하면 반대
요소가격이 불변인 요소축의 절편은 불변(기울기 변화)
ː자본금의 상승 : 두 투입요소 모두 절편값이 밖으로 동일률 이동(평행이동)
【장기비용극소화】교환가치로 측정된 노동의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을 일치
※ 무차별곡선이론에서 효용극대화(지출극소화)와 동일
【극대산출량의 원리】비용극소화의 원칙과 최대산출량의 원칙은 쌍대관계
※ 수익극대화 경제원칙
ː접근의 차이 : 제약조건은 다르지만 합리성 달성기준은 일치
【장기확장선】자본금을 늘리면서 생산량극대화점을 연결한 곡선의 집합
ː장기생산의 효율성 : 장기에는 비용극소화가 이루어짐
※ 장기확장선에서 MRTSnk가 일정
ː단기확장선 : 단기에는 자본량이 고정되므로 노동으로만 생산량 조절
※ 수평의 평태를 보임
·자본량이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비용극소화도 불가능
(a' → b → c' → d' → . . . )
·장단기 확장선이 만나는 곳 → 효율성이 극대로 일치(b점)
·장기확장선에서 멀어질수록 → 효율성 차이가 커서 극소비용차도 커짐
※ 단기비용은 극소화된 비용이 아님
【총비용곡선】확장선에서 생산량과 극소비용을 연결한 곡선
ː장단기 총비용곡선 : 포락선 관계
※ LTC ≤ STC
ː장단기 평균비용곡선 : 포락선 관계
① LTC = STC일 때 LAC = SAC
② LAC = SAC일 때 단기평균비용의 극소점과 만나지 않음(s, h점)
③ LAC극소점에서 SAC극소점과 일치 → 최적시설규모
④ 최적시설규모 좌우측에서 SAC의 극소점 위치에 유의
ː장단기 한계비용곡선 : 교차하는 관계
※ LTC = STC에서 LAC = SAC, LMC = SMC
【효율성과 비용】규모의 보수에 따라서 LAC의 진행방향이 결정됨
ː효율성과 비용의 역관계 :
·1차동차(효율성 불변) → LAC 불변
·1차 초과동차(효율성 증대) → LAC 하락
·1차 미만동차(효율성 감소) → LAC 상승
ː규모의 경제 : 투입비용 증가율보다 생산량 증가율이 높음
※ 규모의 변화처럼 투입요소를 동일율로 변화시킬 필요가 없음
ː범위의 경제 : 투입기술의 유사성, 투입물의 중복 사용으로 인하여 일정한 상품군에
서는 같이 생산할 때 효율성이 증대
ː최소효율규모 : 규모의 경제에서 1차동차로 막 진입하는 생산량
·신고전학파에서는 경험적이라고 주장하지만, 근거가 희박
※ 오일러 완전배분정리를 정당화시키기 위한 장치
제3절 단기비용함수와 단기비용곡선
【단기비용의 구성】고정요소에 투입되는 고정비용이 존재
ː단기총비용 :
STC = TFC + TVC
ː단기평균비용 : STC를 Q로 나눔
SAC = AFC + AVC
ː단기한계비용 :
SMC = 0 + MVC
【단기생산성과 비용의 역관계】노동생산성과 가변비용은 역관계
[보론] 요소대체탄력성과 동차생산함수
【요소대체탄력성】비용극소화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생산요소로 대체하는 민감도
ː곡율과 요소대체 탄력성 : 곡율이 클수록 요소대체탄력성이 높음
ξ =
{{K over N } 변화율} over {{W over r}변화율}
: 동일한 w/r변화 충격에 대해 K/N이 크면 탄력적
=
{{K over N } 변화율} over {{MRTSnk}변화율}
: 비용극소화에서 W/r = MRTSnk
ː소득분배율의 변화 : 탄력성의 직관이 적용됨
【동차함수의 성질】일반적으로 동차함수는 다음 성질이 성립
ː규모의 변화 : 투입물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생산량 변동
·a에서 a'나 b에서 b'로 이동
ː동차함수의 성질 : 규모의 변화시에 MRTnk가 불변
·MRTSnk = f(K/N)
ː동조함수의 성질 : 동차함수와 동일
※ 동차함수를 함수변환한 것이 동조함수
·동조함수이기만 해도 MRTSnk, MRSxy가 동일하면
원점을 통과하는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오일러의 정리】1차동차에서만 성립하는 정리 ※ 전미분과 혼동 주의
Q = Q(N, K) Q =
partialQ over partialN N
+
partialQ over partialK K
ː한계생산력설과 결합 : 한계생산량을 실질보수로 책정한다는 분배논리
·노동의 한계생산력은 실질임금, 자본의 한계생산력은 실질이자
·오일러 정리 + 한계생산력설 → 생산량은 생산요소에 완전배분됨
【생산함수의 분류】요소대체탄력성이 중요 기준
ː모두 1차동차 : 신고전학파는 사회착취론과 논쟁을 피하기 위해 모두 1차동차
ː완전대체관계 : 1차동차, 요소대체탄력성 = 무한대
Q = Q(N, K) = aN + bK
ː완전보완관계 : 1차동차, 요소대체탄력성 = 0
Q = Q(N, K) = min
RIGHT( N over a , ~~ K over b LEFT)
ːC-D형 생산함수 : a + b 차 동차, 요소대체탄력성 = 1, MP체감 ※ 전형적
Q = Q(N, K) = ANaKb
ː고정대체탄력성(CES) 생산함수 : k차동차, 요소대체탄력성 = 1/(1+ρ)
※ ρ값을 변형하면 다른 생산함수로 전환됨
Q = Q(N, K) = A(aN-ρ + (1-a)K-ρ)-k/ρ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07.05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